View : 603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Title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Authors
안라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교육기관유아스트레스 행동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특히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학급의 활동형태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기 성별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학급의 활동형태는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학급의 활동형태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어떠한가? 5-1. 상집단의 학급활동형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어떠한가? 5-2. 하집단의 학급활동형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8곳을 1차로 선정하여 질을 측정한 후, 상집단과 하집단을 각각 한곳씩 선정하였다. 관찰대상 유아는 우수한 질에 속하는 상집단의 유아 30명(여아 15명, 남아15명)과, 질이 좋지 않은 유아교육기관에 속하는 하집단의 유아 30명(여아 15명, 남아 15명)을 합한 총 60명의 유아였다. 관찰은 연구자와 한명의 관찰자가 각 기관당 10일에 걸쳐 하루일과동안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을 시간표집법에 의해 관찰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질을 평정하기위한 도구로 Holloway와 Reichart-Erikson(1988)의 ECOI(Early Childhood Observation Instrument) 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관찰은 Burts 등(1990)이 제작한 CCSBI(Classroom Child Stress Behavior Instrument)로 하였다. 관찰자료는 빈도, 백분률, 상관관계, t검증, 이원분산분식,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상집단과 하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인 스트레스 행동은 하집단의 유아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집단의 유아가 상집단의 유아보다 소극적 스트레스 행동, 타인에 대한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 물체에 대한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이 많이 나타났고 자신에 대한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에서는 상집단과 하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유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행동은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인 스트레스 행동은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체에 대한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은 남아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소극적 스트레스 행동, 자신에 대한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 타인에 대한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에서는 남아와 여아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성별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상집단과 하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학급활동 형태는 상집단과 하집단에서 차이가 있었다. 상집단에서는 흥미영역, 대집단 활동, 음률 활동, 간식, 평가, 동화 듣기와 개인적 이동 시간이 많이 나타났고 하집단에서는 일일공부하기, 정리 정돈, 기다리기, 목적없는 활동, 처벌이 많이 나타났다. 5. 학급의 활동형태에 따라 나타난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상집단에서는 처벌, 기다리기, 목적없는 활동, 대집단 활동, 개인적 이동에서 높게 나타났고 하집단에서는 모든 학급활동형태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특히 목적없는 활동, 기다리기, 처벌, 정리정돈, 대집단 활동, 일일공부하기에서 높은 스트레스 행동을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and children’s stress behavior, and especially to invesgate whether children’s stress behavior is related to classroom activity in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the question of this study as follows: 1. Does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2. Does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sex? 3. Does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with the quality of the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children’s sex? 4. Does the classroom activity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5. How about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revealed according to the classroom activity? 5-1. How about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revealed according to the classroom activity in the high group? 5-2. How about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revealed according to the classroom activity in the low group? After 8 kindergarden were selected and the qualities were tested, each of good quality classes and good quality ones were selec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0 children from a good quality class and a poor quality class and poor quality one(15 boys and girls from a each of two classes). Children’s stress behavior was observed for 10 days by time sampling method during the observ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T-test, F-test by Two way ANOVA and M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children’s behavio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there are much of passive stress behaviors, self with others stress and self with object stress. In self with object stress behavior, there is sta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 2. In the stress behavior according to children’s sex, self with object stress was prevalent in the boys. 3. In the children’s stress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with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 institutions and children’s sex, there is sta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group. 4. In the classroom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Center, Whole group, Music, snack, Evaluation, Private movement were prevalent in the high group. Workbook, Arrangement, Waiting, Aimless activity, Punishment were prevalent in the low group. 5. In children’s stress behavior according to the classroom activity, Punishment, Waiting, Aimless activity, Whole group, Private movement were prevalent in the high group, and all classroom activity were prevalent in the low group. Especially Aimless activity, Whole group, Workbook were preval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