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교준-
dc.creator신교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질적인 영아기 탁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기초로서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발달에 초점을 두고, 교사들이 현직 교육에 대해 가지는 기대경향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2. 현직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영아반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현직교육의 교육형태에 대한 영아반 교사들의 기대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현직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영아반 교사들의 기대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 216명이다. 연구도구로는 Robinson(1990)이 영아기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용한 교사용 면접들과 Peterson(1990)이 영아기 탁아교사 훈련에서 사전, 사후 평가 도구로 사용한 질문지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두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x(^)2, 사후검증을 위한 Scheffe 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에 대한 현직교육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기관 및 단체로부터 현직교육을 받은 경우를 보며, 약 반수이상의 교사를(55.6%)이 영아교육에 관련된 현직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직교육에 참여한 회수는 대부분 1,2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87.5%). 현직교육을 실시한 주관부서로는 보건사회부가 가장 많았고(27.9%), 그 다음은 대학(12%)이나 유아교육 관련 단체(11%)에서 실시한 현직교육에 참석한 경우였다. 그리고 어린이집에서 자체적으로 현직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19.4%). 교사의 학력이나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2. 영아교육에 관한 현직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현직교육이 필요하다는 반응이 전체의 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현직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많은 교사들이 현재 영아교육에 관련된 교육자료나 교육과정이 부족한 것을 첫번째 이유로 지적하였고 보육교사 양성과정에 영아교육에 관련된 교과목이 부족한 것도 현직교육이 필요한 주요한 이유라고 하였다. 교사의 학력이나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3. 영아기 보육교사들이 현직교육의 교육형태에 대해 가지는 기대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회수에 대한 기대를 보면, 과반수 이상의 교사들이(61.1%)동ㄱ하계 방학마다 교육이 실시되기를 희망하였다. 교육방식에 대한 기대에서는 실기중심의 '웍샾'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소그룹 토의에 대한 선호도 높았다. 다음으로 강사진에 대한 기대로는 현장 경험이 많은 교사나 원장을 희망한 교사와(0.7%), 유아교육 전공교수를 희망한 교사가 많았다(40.3%). 현직교육을 주관하는 행정부서로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육부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교사의 학력이나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4. 현직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영아기 보육교사들의 기대는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발달에 대한 기초지식, 교육과정 운영방법, 관찰기술으 ㅣ발달, 자원 및 교구 활용방법 등 4개 범주 모두에서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major expectations of infant/toddler caregiver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to the caregivers' expectations for the in-servi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 1. How is the present situation of in-service education for infant/toddler caregivers? 2. How are the infant/toddler caregivers' expectations for necessity of in-service education?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regever' 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3. How are the infant/toddler caregivers' expectations for the form of in-service education?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regev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4. How are the infant/toddler caregivers' expectations for the contents of in-service education?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regiver' 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The subjects for present study were 216 infant/toddler caregivers in Seoul. Infant/toddler caregivers' expectations were access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e questionaire which was used in present study was compouned of the questionnaire devised by Robinson(l990) and the questionnaire devised by Peterson(l984). The researcher had modified them for this study and used. The analyzing methods of data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 the half of infant/toddler caregivers had been received in-service education about infant/toddler education. But most of them had participated in in-service programs just one or two times and only a few caregivers had regularly participated in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2. Infant/toddler caregivers recognized that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iInfant/toddler caregivers was much needed. Moreover, many of infant/toddler caregivers felt heartly not only necessity of in-service education but also the shortage of infant/toddler curriculums and educational reference materials. 3. The tendency of infant/toddler caregivers about in- service program's educational forms was as follows: On the training method, many of infant/toddler caregivers considered workshop or lecture administering in forum style as the most ideal training method. On the training frequency, many of infancy caregivers want to receive in-service education in every vacation. Many of infancy caregivers favorit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or director as the training provider. And on the auspices agency, many of infancy caregivers want the Administration for Education.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ctations for conten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caregivers' educational background. In comparison by caregivers' educational backgrou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all the four concern are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giver's care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영아기 탁아프로그램 = 6 B. 영아기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발달과 현직교육 = 17 C. 관련 연구 = 28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 대상 = 37 B. 연구 도구 = 37 C. 연구 절차 = 39 D. 자료 분석 = 4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1 A. 영아반 보육교사들에 대한 현직교육의 현황 = 42 B. 현직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45 C. 현직교육의 교육형태에 대한 기대 = 49 D. 현직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기대 = 54 Ⅴ. 논의 및 결론 = 60 A. 논의 = 60 B.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6 부록 = 75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0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어린이집-
dc.subject영아반-
dc.subject교사-
dc.subject현직교육-
dc.subject기대-
dc.title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의 현직교육에 대한 기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ANT/TODDLER CAREGIVERS' EXPECTATIONS FOR IN-SERVICE EDUCAT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