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지식교육에서의 발생적 인식론의 의미

Title
지식교육에서의 발생적 인식론의 의미
Other Titles
(THE) MEANING OF GENETIC EPISTEMOLOGY IN KNOWLEDGE EDUCATION
Authors
이미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인식론교육학지식교육교육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Piaget의 발생적인식론이 지식교육에 대하여 함의하는 바를 연구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하고 있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생적인식론에 기초하여 볼 때, 교육에 있어서 앎의 주체로서의 아동개인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논의되어야 할 것인가? 둘째, 발생적인식론에 있어서 앎의 대상으로서의 환경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세째, 앎의 주체와 대상을 의미있게 관련지을 수 있는 교육과정의 본질은 무엇이며 그러한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은 어떻게 논의되어야 할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Piaget의 발생적인식론의 요체인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의 본질과 교육과정의 문제를 관련짓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앎의 주체로서의 아동개인을 구성과 정형화의 지속적 과정을 통하여 인식행위에 있어서 자율성을 갖는다. 개인이 중심이 되는 구성작용은 Piaget의 발생적인식론이 선험적인식론이나 경험적인식론과는 구분되는 제3의 인식론으로써 종합적 관점을 형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아동이 자신의 자생적 성숙과 외재적 환경과의 경험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하는 평형화의 과정을 통해 발달해 간다는 Piaget의 관점은 그의 이론이 종래의 성숙론과 환경론의 대립되는 견해들을 종합하는 이론임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앎의 주체로서의 아동개인은 세계와 단절된 원자론적인 의미에서의 개인이라기보다는 환경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작용하면서 자율조정성을 가지고 변증법적 통합과 동적 균형을 추구하는 개인이라고 본다. 개인이 행하는 앎의 대상이 되는 환경은 생물학적 배경을 갖고 있는 용어로써 이것은 실재(reality)를 의미한다. 실재는 물리적 세계(material world)와 타지자들(other subjects)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동의 경험에는 물리적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물리적 경험과 사회적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경험이 포함된다.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수업의 사태를 고려할 때 교사가 아동들에게 가르치는 지식은 앎의 대상으로서의 환경의 개념에 상응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교육과정은 아동의 구조와 지식의 구조간의 동적 균형을 지향하는 역동적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또한 각 발달단계에 있는 아동이 동화와 조절의 결과로 형성한 내재적 원리와 학문에 내재된 일반적 원리를 일치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Piaget는 인식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주체에 의해 구조화된 실재(structured reality)라고 보았으며. 그의 지식관은 절대적이고 고정적인 지식의 실체를 주장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구조와 지식의 구조간의 동적 균형을 추구하는 구성으로서의 지식을 강조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 지식의 구조를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가르칠 때, 인식의 대상으로서의 지식의 구조는 역동적인 교육과정속에서 항상 주체의 주관적 요소와 관계되며, 따라서 지식은 발견되거나 습득되는 것이라기보다는 형성되는 것이다. 학교에서 아동에게 가르치는 지식과 아동개인의 지적 구조는 계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아동은 자신의 구조로 지식을 구성해 간다. 따라서 지식을 가르친다는 것은 고정적인 지식의 체계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아동과 지식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에 아동이 참여하여 질적 변형을 이루도록 하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질적 변형을 교육의 목적을 아동의 구조발달의 가속화가 아닌 '정교화'에 관련시킬 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of Piaget's genetic epistemology to knowledge education. The questions in this study are phrased as follows. 1. What is the role of the individual child as a subject of knowing? 2. What is the meaning of environment as the object of knowing? 3. What is the nature of curriculum to relate meaningfully the subject and object? What content and method are recommendable for this curriculum? Consequently,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relate the nature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child and the environment and the nature of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n individual child has his own autonomy in knowing through his continuous process of construction and equilibration. The act of construction means that Piaget's theory forms the third epistemology synthesizing a priori view and the empirical view about knowing. The concept of equilibration means that the two conflicting conceptions about development are overcomed by the role of the subject. Because equilibration is process intending the state of equilibrium between the autogenetic maturity of a child and the experienc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Consequently, the individuality in the interaction of knowing means the dialectical unification and dynamic equilibration with a child's auto-regulation rather than the individuality in some atomic sense. The word, environment as the object of knowing is come from Piaget's biological view. In fact, it means 'reality'. This reality consists of with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experience with soc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education at school, knowledge taught for children is corresponded the concept of environment. Regarding this, curriculum is the dynamic process intending active equilibration between the structure of children's existing concept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from the external. Also it is a process of unifying the internal principles of a child as the result of his assimilation and accomoda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of sciences. Piaget sees the object as the structured reality by the subject. So his view of knowledge is related to the continuous construction of knowledge. His view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knowledge as the entity of absolute and fixed. Therefore, the reality as the object of knowing always includes the subjective elements by the subject. Knowledge is to be formed rather than to be found. There is a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child and the knowledge which is taught him. Therefore the meaning of 'teaching knowledge' is different from transmitting the organized system of knowledge. 'To teach knowledge' means to intend qualitative transformation by a child's engagement into the dynamic process between he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Such qualitative transformations can be possible when the educational aims are related to the refinement of a child's intellectual structures rather than the acceleration of their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