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 실태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 실태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UDENTS' ECONOMIC LITERACY
Authors
이재인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고등학생경제이해력사회생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생들의 경제이해력을 측정하여, 학생들의 경제 이해 수준을 알아보고 그 개선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분석의 구성은 첫째, 인지적 영역에 대하여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제 개념 이해도를측정하였다. 둘째, 경제개념 이해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대상이면서도 그 수행력이 낮은 고등학생에 대해서는 경제 개념군별, 하위 개념별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과 지방의 학생들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과학적인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학교(76%)에 비해 중·고등학교(54%) 학생들의 경제개념 이해도는 그 성취 수준이 낮다. 개념군별로 살피면, 국민학교는 미시와 국제경제 분야가 약하고, 중학교는 미시분야, 고등학교는 거시와 국제경제 분야의 이해수준이 약했다. 둘째, 고등학생은 고3(경제내용 학습이 끝난 후)이 고2(경제내용학습 전)에 비해 인지적 영역에서 25.9%포인트 만큼 이해력이 높았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0.16%포인트 높았다. 세째, 경제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생 개인적 특성(학급성적)이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외 사회경제적 배경요인(지역차이, 母의학력 차이), 교사의 경제학 배경지식의 유무가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학교 경제교육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 職前·後 경제교육 내용에 있어 교사교육체제의 양적·질적인 변화가 있어야 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성취 수준에 근거한 다양한 학습보조자료의 개발과, 정부·민간기업 그리고 각 지역 사회의 미래지향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means of appreciating level of students' economic literacy, to find how mu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major economic concepts and how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such concepts. Analysis used in this study follows the next steps. First, I measur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gree of understanding of major economic concepts in the cognitive domain. Second, I presented the comparison made according to the 'concept cluster and sub-concept cluster of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of major economic concepts. And finally, Statistical approach reveals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understanding. I used question and answer sheet as a major method to get information from selected teachers and students in Seoul and Wonju kun in Kang Won do and processed collected data through M.R.A.(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show lower degree of understanding that elementary ones. Concept cluster comparison reveal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got the lower-than-the average score in micro international economy, middle school students in micro economy and high school students in macro and international economics. Second, High school students, after being educated on economy, 25.9% point increase in cognitive domain and 0.16% increase in affective domain. Thir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students' comprehension of economic concepts i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records and sex).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community types, his or her mother's knowledge on economics and teacher's are also significant. Thus I conclude that for the betterment of economic education at school are required such things: teachers with effective and proper economic knowledge, a variety of supplementary books on economics, and futuristic investment on economic educations by government, civilian enterpries and comm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