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중학생들의 직업 포부와 획득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생들의 직업 포부와 획득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ccupational Aspiration and Its Strategy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 Residing in Seoul and Busan
Authors
박율향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중학생직업 포부획득전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udent's future occupation will be considerab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their occupational aspiration, the concreteness of attainment strategy, and the possibility of its realization. In this study, such a level of students' occupational aspiration and attainment strateg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background factors to the attainment strategy are viewed closely, and any correspondence and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and its attainment strategy are intended to be groped for. As for background factors in the study, the following factores are established; socio-constructive factors such as the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area(region), and sex, and socio -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chool record, persons having influenced occupational choice, media having influenced such occupational choice, the reasons for choosing a certain occupation.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raised as follows: First,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tudent's will influence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the whole background variables will explain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in some degree and then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will be lanking . Second,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tudent's will influence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the whole background variables will explain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in some degree and then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will be lanking. Third,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and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will have positive correlation. To get the answer, 982 subject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Pusan were collected from the 2nd grade classes at middle schools, which are both male and female. Then, questionnaires concerning their background factors, occupational aspiration, the attainment strategy of their future occupation were distributed, then collected and analytically studied on. As for data process, the work of average scores-making has been done according to each item regard to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etc., and final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therough the program regression of SPSSPC + , F-test, t-test, and method correlation coefficients. Since the analytical work of data,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rawn out :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nfluencing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which are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rea, sex, in socio-constructive factors and all the factors except the form of a family in socio-psychological factors; i.e., school record, persons having influenced occupational choice, media of such influencing, the order of birth, the reasons of their occupational choice.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explained 26.0% of the total variation, concerning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and among those variables, scores at school explained 12.9%, a highest explainable percentage, then students' father's occupation, subjects in the media influencing their occupation choice, father in the persons having influenced as such, social necessity and importance in the reasons of such choice, and area(region) in the order from the high influence. Accordingly, the level of students' occupational aspiration could be identified as a complex process in which both socio-constructive factors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are influential. Second, with regard to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only father's occupational rank among socio-constructive factors was identifi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and the persons having influenced occupational choice, such media, the form of a family, the order of birth, and the resons of occupational choice in socio-psychologic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having pursuasive power.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explained 28.0% of the total variance concerning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and among them(factors), interests/aptitude in the reasons of occupational choice explained 6.3%, a highest, influence, then TV/Radio in the media, the order of birth, pay in the reasons of occupational choice in order from the highest influence. Father was a variable which influences both occupational aspiration and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significantly. Third, in the result of analytically studying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and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i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431, and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no correlation between them exists. Such a result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aspiration and strategy that even though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should not be high, its cause is considered to be researched more precisely in the future. The following are some of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significantly while conducting this study : First, as indicated by a fact that only some 30 kinds of occupations were listed for the level of students' occupation, most students have a tendency to choose most approachable occupation phenomenally rather than to choose or give effort to approach various occupation. Second generally, most male students want professional, technical occupation related to science and engineering which have been solely occupied by men, and most female students want teaching profession which has been commonly favored by women as a proper occupation for women. Third, the fact that the most influential background to the choice of occupation was school record indicated that a concept exists in the students' mind that school record should be better than any other capabilities, it can make possible for students to proceed into university and graduate from it, and it gives chance to get better job. Fourth, what the influence of the media to the choice of occupation suggests us is that the students influenced by subjects, novels or biographies have a high level of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while the students influenced by video/movie have a low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however, a high level of the attainment of occupation. That means that, in the strategic aspect, the information about occupational attainment through media rather than through the method of occupational attaiment suggested by textbook, whether the information is affirmative or negative, has more pursuasive power to the students. Fifth, the influence by fathers in the choice of students' future occupation appeared to be so dominant. Therefore, fathers who provide a professional model and its strategy should recognize their role in their children's choice of occupation to be so significant. Sixth, although both socio-constructive factors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 socio-psychological factors except the profession of father influence significantly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That menas that students'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is so influenced by the fictional characteristic of not considering their own talent or aptitude or by the oppression of parents or other persons.;학생들의 장래 직업은 그들이 갖는 직업포부수준과 획득전략의 구체성과 실현가능성에 상당히 영향을 받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직업포부수준과 그 획득전략에 미치는 배경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의 일치성 여부와 격차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배경적 요인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지역, 성별과 같은 사회구조적 요인, 그리고 성적을 통한 자신감,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 영향을 준 매체, 출생순위, 가족형태, 직업선택의 이유와 같은 사회심리적인 요인 등으로 규정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의 각 배경변인은 직업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배경변인 전체는 직업포부수준을 어느정도 설명해 줄 것이다. 그리고 배경변인들이 직업포부수준을 어느정도 설명해 줄 것이다. 그리고 배경변인들이 직업포부수준을 어느정도 설명해 줄 것이다. 그리고 배경변인들이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순위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의 각 배경변인은 직업획득전략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배경변인 전체는 직업획득전략을 어느정도 설명해 줄 것이다. 그리고 배경변인들이 직업획득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순위가 있을 것이다. 세째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 전략은 정적 상관관계에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에 대답하기 위하여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98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학생이 가진 배경적 요인, 직업획득전략등을 묻는 질문지를 배포 회수하였다. 자료처리는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 문항들의 평점화 작업을 거쳤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SPSSPC+ 프로그램인 회귀분석(regression), F검증(F-test), t검증(t-test), 상관(correelation)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자료를 분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구조적 요인에서는 부모의 학력과 직업위계, 가정의 월수입, 지역, 성별이 그리고 사회심리적 요인에서는 가족형태를 제외한 성적,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과 영향을 준 매체, 출생순위, 직업선택의 이유가 직업포부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비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생들의 전체배경변인은 직업포부수준에 관한 총 변량의 26.0%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성적이 12.9%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직업, 교과목,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 중에서 아버지, 직업선택이유에서 사회적 필요성과 중요성, 지역, 가정의 월 수입 등의 순서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학생들의 직업포부수준은 사회구조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이 모두 작용하는 복합적인 과정임이 발견되었다. 둘째, 직업획득전략에서는 사회구조적 요인 중에서 아버지의 직업위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회심리적 요인에서는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과 영향을 준 매채, 가족형태, 출생순위, 그리고 직업선택의 이유가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학생들의 전체배경변인은 직업획득전략에 관한, 총 변량의 28.0%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그 가운데 직업선택이유에서 흥미/적성이 6.3%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매체에서 TV/라디오, 출생순위, 직업선택 이유에서 보수 등이 영향력이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아버지는 직업포부나 획득전략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변인이었다. 셋째,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431로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간에는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포부수준이 높다고 하여 직업획득전략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포부와 전략의 격차를 의미하는 바,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그 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들 중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시사점 및 가지를 정리해 보았다. 첫째, 수많은 직종 중에서 학생들의 직업수준에서 나온 직업의 종류가 30여 가지 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말해 주듯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에 접근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현상적으로 가장 접근하기 쉬운 직업을 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자신의 소질을 살리고 다양한 직업의 종류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진로지도 가 요청된다. 둘째, 남학생은 오랫동안 남성적인 직업으로 독점화되어온 과학.공학관련 전문기술직을 원하는 학생들이 많고 여학생은 '여성에게 적당한 직업'으로 통용되어 온 교사직을 선호한다, 셋째,직업포부수준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배경이 성적이라는 사실은, 다른 어떤 능력 보다도 성적이 좋아야 하고 성적이 좋아야지만 좋은 대학을 졸업해서 좋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의식이 학생들에세 내재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학생들 개인이 가진 다양한 자질과 개성이 곧 학교성적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학생들에게 확인시켜 줄 필요가 있다. 네째, 직업선택에 영향을 준 매체의 영향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는 교과목이나 소설/전기의 영향을 받은 학생일수록 직업포부수준은 높지만 직업획득 전략은 낮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비디오/영화의 영향을 받은 학생일수록 직업포부수준은 낮아도 그 획득전략이 높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전략적인 측면에서 학교교과에서 제시하는 직업획득의 방법보다, 매체를 통한 직업획득의 정보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생들에게 더 구체적이고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 진다는 의미이다. 학생들에게 보다 설득력이 있고 흥미로운 직업정보제공을 일선학교에서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학생들이 직업선택에 영향을 받는 사람에서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에서 공히 아버지의 영향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가정에서 자녀들에게 직업적인 모델과 전략을 제공하는 아버지는 자신의 역할을 보다 중요하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직업포부수준에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 모두가 영향을 미치지만 직업획득전략에서는 아버지의 직업을 제외하고는 사회심리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링게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 전략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자신의 소질이나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직업포부수준의 허구성(현실상태를 무시한 욕구일 가능성)내지는 부모나 여타의 제약에 의한 강제(비자발성)이 학생들의 직업획득전략에서 그대로 가시화된 셈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