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인지발달론적인 입장에서 본 어린이의 꿈에 관한 연구

Title
인지발달론적인 입장에서 본 어린이의 꿈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인지발달론어린이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만 5, 6, 7세 어린이들의 꿈의 내용과 꿈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Ⅰ. 연령에 따른 어린이들의 꿈의 내용은 어떠한가? Ⅰ-1. 꿈속의 배경 Ⅰ-2. 꿈속에서의 상호작용 Ⅰ-3. 꿈속에 등장하는 대상 Ⅱ. 연령에 따른 어린이들의 꿈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Ⅱ-1. 꿈의 존재 Ⅱ-2. 꿈의 비실재성 Ⅱ-3. 꿈의 비가시성 Ⅱ-4. 꿈의 내부적인 기원 Ⅱ-5 꿈의 내부적인 위치 Ⅱ-6. 꿈의 비물질성 Ⅱ-7. 꿈의 자기원인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개 유치원과 1개 국민학교에 다니는 만 5, 6, 7세 어린이 90명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면접지였다. 이는 piaget에 의해 제시되고, Kohlberg DeVries 등에 의해 사용된 바 있는 7개 항목에 따른 9개의 질문 문항이다. 대상아동과의 개별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로는 연령에 따른 꿈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를 구하였고 꿈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빈도, 백분율을 구하고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어린이들의 꿈의 내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1. 5세, 6세에는 배경이 없는 꿈을 꾸는 어린이가 많았고, 7세에는 배경이 있는 꿈을 꾸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Ⅰ-2 5세, 6세에는 상호작용이 없는 꿈을 꾸는 어린이가 많았고 7세에는 상호작용이 있는 꿈을 꾸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Ⅰ-3. 연령에 관계없이 단일대상이 등장하는 꿈을 꾸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Ⅱ. 어린이들의 꿈에 대한 이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Ⅱ-1. 꿈의 존재에 대해서는 5, 6, 7세 어린이 모두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Ⅱ-2. 꿈의 비실재성에 대해서는 5세에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어린이가 가장 많았고, 6세, 7세에는 완전히 이해하는 어린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Ⅱ-3. 꿈의 비가시성에 대해서는 이해하지 못하는 어린이가 5세에서 1명, 7세에서 1명이었으며, 그 외의 모든 어린이가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Ⅱ-4. 꿈의 내부적인 기원에 대해서는 5, 6, 7세에 이해하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Ⅱ-5 꿈의 내부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5세에 이해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어린이가 많았고, 6세, 7세에는 완전히 이해하는 어린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Ⅱ-6 꿈의 비물질성에 대해서는 연령에 관계없이 이해하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Ⅱ-7. 꿈의 자기원인에 대해서는 5 , 6세에 이해하지 못하는 어린이가 많았고, 7세에는 이해하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tent and understanding of dream for children.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ontent of children's dream? 2. What is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drea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90 childrens of 5, 6 and 7 years old in two kindergardens and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interview with 7 items which initiated by Piaget, and adapted by Kohlberg and DeVries. And data which were obtain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s content of dream. 1-1. Many children of 5 and 6 years old were lacking in settings, while many children of 7 years old had a dream having settings. 1-2. Many children of 5 and 6 years old were lacking in interaction, while many children of 7 years o l d had a dream having interaction. 1-3. Many children irrespective of age, had a dream apparing single object. 2.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dream. 2-1. All children of 5, 6 and 7 years old had no understanding on existence of dream. 2-2. Most of children 5 years old had partial understanding on insubstantiality of dream, and most of children of 6 and 7 years old had a full understanding on it. 2-3. Nearly all children had an understanding an invisibility of dream, except children of 5 and 7 years old respectively. 2-4. Many children irrespective of age had an understanding on the internal origin of dream. 2-5. Many children of 5 years old had or had no understanding on internal location of dream, and most children of 6 and 7 years old had a full understanding on it, 2-6. Many children irrespective of age, had an understanding on immateriality of dream. 2-7. Many children of 5 and 6 years old had no understanding on self-casuality, but many children of 7 years old had an understanding on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