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유아의 그룹게임으로서 삼목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유형

Title
유아의 그룹게임으로서 삼목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유형
Other Titles
The Learning Course of Children that Appears in 'Tic-Tac-Too'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and the children's learning course that appears in 'Tic-Tac-Toe' through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 1. What about the tendency of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 1-1. What abou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1-2. Does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age? 1-3. Does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a kind of play board ? 2. What about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2-1. What about the required time generally to play 'Tic-Tac-Toe'? 2-2. Does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show any difference by age ? 2-3. Does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a kind of play board ? 3. What about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3-1. What about the number of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3-2. Does the number of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show any difference by age? 3-3. Doe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children's each behavior type that appears in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show any difference by age? 4. What about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4-1. What about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4-2. Does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show any difference by age? 4-3. Does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a kind of play boar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young children 120(60 couples) who went to S kindergarten and D kindergarten that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area. They were 30 couples each of 3-year-old and 5-year-old young children by age, and girl's couples and boy's couples by sex were each 30 couples. 20 couples used 3×3 board and 20 couples used 5×5 board at all 12 plays, and 20 couples used 3×3 board at first 6 plays and then used 5×5 board at next 6 plays.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o be appeared in 'Tic-Tac-Toe' was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ildren's learning course that appears in 'Tic-Tac-Toe'. Not only DeVries and Fernie(1990)'s analysis of each children's comprehension for 'Tic-Tac-Toe' was used to analyzed, but also the 8 kinds of categories to be shown by analyzing the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for the game through Fernie and DeVries(1990)'s analysis of the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for the game through the social logic game-'Guessing Game' and the nonsocial logic game-'Tic-Tac-Toe' were used basically by researcher's translation. Frequent analysis,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obtained for this study.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behavior type to be appeared in 'Tic-Tac-Toe' was shown the low level behavior type mainly while the high level behavior type was shown little. When examining by each behavior type, the behavior types such like 'imitates game form' and 'takes turn regularly/consistently' were shown continuously in playing 'Tic-Tac-Toe' to almost couples specially.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ed in 'Tic-Tac-Toe' was difference by age. 3-year-old young child showed mainly 'imitates game form' and 'takes turn regularly/consistently' while 'has a competitive attitude' was appeared sometimes. The other side, 5-year-old young child showed mainly four behavior types 'has a competitive attitude', and 'knows/recognizes that the first line wins' as well as 'imitates game form' and ''takes turn regularly/consistently'. And the behavior types such like 'blocks opponent sometimes', 'sets up two-way wins', or 'shifts between two-way setups and blocking as the situation requires' were used to be appeared. Besides, in the case of 3-year-old young child, the behavior types such like 'blocks opponent sometimes', 'usually blocks when necessary', or 'sets up two-way wins' didn't appear entirely but they were appeared from 5-year-old young child only. The children's behavior type that appeared in 'Tic-Tac-Toe' was not difference by a kind of play board.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tendency of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As a result,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one inning was very short, but the standard deviation was very big.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was appeared differently by age. 3-year-old young child costed about 2 times to compare with 5-year-old young child to play 'Tic-Tac-Toe' and the deviation was shown greatly more than 3 times.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was not appeared differently by a kind of play board. Third, the children's behavior types to be appeared in 'Tic-Tac-To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As the result, the number of children's behavior types in 'Tic-Tac-Toe' were increased generally as passing frequency/time, but deviations more than one were appeared each playing time. As passing frequency/time, the numbers of behavior types to be appeared in 'Tic-Tac-Toe' were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Usually, the number of behavior types to be appeared in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were increased as repeating fluctuation to all the young children of 3-year-old and 5-year-old. And the couple of 3-year-old young children were increased the behavior types more than two times before the first while the couple of 5-year-old young children were not increased greatly. Also, the first time to begin 'Tic-Tac-Toe', 5-year-old young child displayed the behavior types more than two times to 3-year-old young child, but the difference became decreased greatly. Next,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for each children's behavior type by age appeared differently in playing 'Tic-Tac-To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As the result, both all of 3-year-old and 5-year-old young child showed the increased frequency in appearing each behavior typ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As increasing the experience of 'Tic-Tac-Toe', the frequency of behavior types such like 'imitates game form', 'takes turn regularly/consistently' and 'has a competitive attitude' was appeared mostly the same between 3-year-old and 5-year-old young child gradually. The high frequent behavior types according to age were shown as 3-year-old young child was appeared orderly to ''imitates game form', 'takes turn regularly/consistently', 'has a competitive attitude' , and 'knows/recognizes that the first line wins'. And 5-year-old young child was appeared orderly to 'imitates game form', 'takes turn regularly/consistently', 'has a competitive attitude' , 'knows/recognizes that the first line wins' 'blocks opponent sometimes' , 'sets up two-way wins', and 'usually blocks when necessary'. And the behavior types to be appeared in 'Tic-Tac-Toe' were not exposed in order of 'easy to difficult' recognizably. Fourth, the required time to play 'Tic-Tac-Toe' was researched to be de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The required time of the gam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was shown difference by age, and then both 3-year-old and 5-year-old young child were shown the required time decreased of the gam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But the required time of the game was not only decreased continuously, and the required time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nings. The required time by age wa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At the opening part of playing 'Tic-Tac-Toe', 3-year-old young child was required more than two times to 5-year-old young child,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mostly of the required time by age at the last 12th inning. The required time of the gam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requency/time was not shown any difference by a kind of play board.;본 연구에서는 삼목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 삼목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통하여 삼목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학습과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은 어떠한가? 1-1.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은 게임 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어떠한가? 2-1.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2-2.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게임 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은 어떠한가? 3-1.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의 수는 어떠한가? 3-2.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의 수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3.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난 유아의 각 행동 유형의 출현 빈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어떠한가? 4-1.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어떠한가? 4-2.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3.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게임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S 유치원과 D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120명(60쌍)으로, 연령에 따라 만 3세와 5세가 각 30쌍, 성별에 따라 여아 쌍과 남아 쌍이 각 30쌍이었으며 12회 모두 3×3판을 사용하는 쌍이 20쌍, 5×5판을 사용하는 쌍이 20쌍, 처음 6회는 3×3판을 사용하고 다음 6회는 5×5판을 사용하는 쌍이 20쌍이었다. 삼목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삼목게임에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하기 위하여 DeVries와 Fernie(1990)가 삼목게임에 대한 각 유아의 이해에 대해 분석한 것과 Fernie와 DeVries(1990)가 사회적 논리게임인 추측게임(Guessing game)과 비사회적 논리게임인 삼목게임(Tic-Tac-Toe)을 통해 게임에 대한 유아들의 사고를 분석한 것에서 나타난 8가지 범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목 게임에서 나타난 유아 행동 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낮은 수준의 행동유형이 주로 사용되고 높은 수준의 행동유형은 적게 사용되었다. 각각의 행동 유형별로 살펴보면 특히 ‘게임의 형태 따라 하기’, ‘순서/차례 지켜 게임하기’와 같은 행동 유형은 거의 모든 쌍이 삼목게임을 할 때 계속 나타났다. 삼목 게임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 유형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만 3세는 ‘게임의 형태 따라 하기’, ‘순서/차례 지켜 게임하기’가 주로 나타나고 ‘경쟁적인 태도 보이기’가 가끔 나타났다. 반면 만 5세는 ‘게임의 형태 따라 하기’, ‘순서/차례 지켜 게임하기’뿐만 아니라 ‘경쟁적인 태도 보이기’, ‘이기는 첫 번째 줄 알기/인식하기’까지 네 가지 행동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방의 공격을 가끔씩 막기’나 ‘양 방향으로 이길 수 있는 자리에 (바둑돌) 놓기’, ‘상대방의 공격을 거의 대부분 막기’와 같은 행동 유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만 3세의 경우, ‘상대방의 공격을 가끔씩 막기’, ‘상대방의 공격을 거의 대부분 막기’, ‘양 방향으로 이길 수 있는 자리에 (바둑돌) 놓기’와 같은 행동 유형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만 5세 유아들에게서만 나타났다. 삼목 게임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 유형이 게임 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삼목게임을 1회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짧지만 표준편차가 매우 컸다.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만 3세는 5세와 비교하여 삼목게임을 하는데 약 2배 정도의 시간을 소요하며 편차는 3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게임판의 종류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난 유아의 행동 유형의 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회수/시간이 경과하면서 삼목게임에서 유아가 나타내는 행동 유형의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매 회 1개 이상의 편차가 나타났다. 회수/시간이 경과하면서 삼목 게임에 나타난 행동 유형의 수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만 3, 5세 모두 회수/시간이 경과하면서 나타나는 행동 유형의 수는 증감을 반복하면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만 3세 쌍의 경우 나타나는 행동유형의 수가 처음보다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만 5세 쌍의 경우는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또한 삼목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 만 5세는 만 3세 보다 2배 이상의 행동 유형을 나타냈지만 회수/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차이는 크게 줄었다.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에 나타난 유아의 각 행동 유형의 출현 빈도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만 3세와 5세 모두 회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행동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는 모두 증가하였다. 삼목게임에 대한 경험이 늘어나면서 ‘순서/차례 지켜 게임하기’, ‘경쟁적인 태도 보이기’와 같은 행동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는 점차 만 3, 5세가 거의 같아졌다. 연령에 따라 높게 나타나는 행동 유형의 순서를 살펴보면 만 3세는 ‘게임의 형태 따라 하기’, ‘순서/차례 지켜 게임하기’, ‘경쟁적인 태도 보이기’, ‘이기는 첫 번째 줄 알기/인식하기’ 순이었고, 만 5세는 ‘게임의 형태 따라 하기’, ‘순서/차례 지켜 게임하기’, ‘경쟁적인 태도 보이기’, ‘이기는 첫 번째 줄 알기/인식하기’, ‘상대방의 공격을 가끔씩 막기’, ‘양 방향으로 이길 수 있는 자리에 (바둑돌) 놓기’, ‘상대방의 공격을 거의 대부분 막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삼목게임에서 나타나는 행동 유형은 인지적으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의 순서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넷째, 먼저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회수/시간 경과에 따른 연령별 게임 소요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만 3, 5세 모두 회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게임 소요시간은 계속 감소만 하지 않고 회에 따라서는 소요시간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게임을 시작한 초반에는 만 3세가 5세에 비해 삼목게임을 하는데 2배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했으나 마지막 12회에는 연령에 따른 게임 소요시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회수/시간의 경과에 따라 삼목 게임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게임판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