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20대 여성의 피혁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20대 여성의 피혁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eather Clothing Related Purchasing Behaviors of Women in their 20’s
Authors
홍현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피혁의류의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구매행동을 파악, 비교하고, 피혁의류와 직물의류에 대한 인식과 피혁의류의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의 인식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피혁업계에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수립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1차 예비조사 단계에서는 80명을 대상으로 피혁의류 소유도와 구매·비구매 이유를 자유 기술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기초 자료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피혁의류의 소유경향과 구매행동, 직물의류와의 비교, 수입·국내브랜드의 인식비교를 위해 60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본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단계에서는 20대 여성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회수된 최종 390부를 본조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 요인분석, t-test, x²-test,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혁의류 소유경향을 알아본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의 피혁의류 소유자는 총 273명(70.0%)이고 비소유자는 117명(30.0%)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연령대는 20대 후반, 거주지역은 강남생활권, 가장의 직업이 경영관리직이고 총 월수입이 700만원 이상인 중상층 이상의 20대 여성이 피혁의류 소유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유자의 피혁의류 구매이유는 ‘예뻐서, 멋져서’의 구매이유가 가장 많았으며, 비소유자의 비구매 이유로는 ‘필요성을 못 느껴서’ 가 가장 많았다. 피혁의류 소유자들의 소유현황을 살펴보면, 소유자의 총 소유 벌 수 평균은 2.53벌로 나타났다. 소유자의 소유 스타일로는 재킷 스타일이 가장 많았으며 색상으로는 검정색, 양피, 일반적 피혁을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이 구입한 구매장소는 백화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하는 재킷의 가격대로는 20~50만원 미만의 가격대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소유자의 피혁의류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만족한다’ 가 50.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피혁의류에 대한 구매행동을 알아본 결과, 연구 대상자의 57.9%가 앞으로 피혁의류를 구매할 것이라고 구매의향을 밝혔다. 피혁의류 선택기준으로는 자신에게 어울림이 가장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나타난 반면 과시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 별로는 심미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비소유자가 소유자보다 피혁의류의 실용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20대 여성의 피혁의류 선호 스타일로는 재킷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비소유자는 재킷 스타일, 소유자는 재킷 이외의 스타일의 구매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색상은 검정색으로 나타났고, 소유자보다 비소유자가 검정색을 더 선호하였다. 그리고 동물에 따른 종류로는 양피, 가공방법으로는 일반적 피혁을 가장 선호하였고, 비소유자는 일반 피혁과 스웨이드 등의 특정 종류를 선호하는 반면 소유자는 종류에 상관없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피혁 재킷으로 가장 선호하는 가격대로는 20~50만원 미만 이였으며, 비소유자는 50만원 미만, 소유자는 50만원 이상의 가격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구매장소는 백화점을 가장 선호하였고, 피혁의류 정보원으로는 매장 디스플레이가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나타났고, 비소유자는 방송·인쇄매체 광고와 컴퓨터, 소유자는 과거의 구매경험이 중요한 정보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피혁의류와 직물의류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알아본 결과, 연구 대상자의 38.2%가 직물의류를 선호하였고 32.8%가 피혁의류를 선호하였으며, 29%가 ‘모르겠다’고 응답하여 직물의류를 피혁의류보다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피혁의류 소유자는 피혁의류를 선호하였고, 비소유자는 직물의류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혁의류에 대한 인식을 직물의류와 비교한 결과 피혁의류가 ‘가격이 비싸다’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색상이 다양하다’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요인 별로 살펴본 결과, 20대 여성들은 직물의류에 비해 피혁의류가 싱징성 측면에서 더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소유자가 비소유자보다 실용성, 심미성, 감각적 성능과 품질, 상징성의 모든 요인에서 피혁의류가 더 좋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피혁의류의 수입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국내브랜드와 비교한 결과, 수입브랜드가 ‘가격이 비싸다’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유자가 비소유자에 비해 수입브랜드의 피혁의류에 대한 인식이 좋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요인 별로 살펴본 결과, 20대 여성들은 수입브랜드의 피혁의류가 상징성측면에서 가장 좋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유자가 비소유자에 비해 실용성, 심미성, 감각적 성능과 품질 면에서 수입브랜드의 피혁의류가 더 좋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혁의류와 직물의류의 브랜드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직물의류는 수입브랜드가 국내브랜드보다 선호도가 높았고, 피혁의류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는 ‘모르겠다’의 응답이 55.9%로 가장 많았다. 피혁의류의 브랜드 선호에 따른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가장직업이 경영관리직 집단일수록 수입브랜드를 선호하고, 서비스·판매·생산관리직은 국내브랜드, 전문직과 전문기술직은 국내와 수입브랜드 모두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인직업으로는 경영·전문·전문기술직은 국내와 수입브랜드 모두 선호, 사무직은 국내브랜드를 선호하고, 대학생은 뚜렷한 선호를 보이지 않고, 대학원생은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월수입이 500만원 미만의 집단은 국내브랜드의 피혁의류를 선호하고 700만원 이상 집단의 경우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만원 이상의 집단은 수입브랜드 선호 현상이 뚜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계층은 중하류층은 국내브랜드를 선호하였고, 중류층은 국내브랜드를 선호하나 ‘모르겠다’의 응답도 유의하게 많았고, 중상층 이상의 집단은 수입브랜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wa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20’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leather industry with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a more specific and concrete marketing plan and vitalizing the industry by identifying and comparing purchasing behavior of leather clothing owners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and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awareness about leather clothing and woven clothing and between awareness about foreign brands and domestic brands of leather clothing. This study i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irst preliminary research obtained basic data about 80 women’s ownership of leather clothing and reasons for purchasing and not purchasing leather clothing, using an essay questionnaire. Based on this data, this study carried out secondary preliminary research to examine tendency of leather clothing ownership and purchasing behavior, and to compare leather clothing with woven clothing and awareness about foreign brands and domestic brands. With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research, the questionnaires of this research were drawn up. In the research, 440 women in their 20’s were surveyed, and the data of 390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is study identifi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made analysis of variance (ANOVA), factor analysis, t-test, x²-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273 respondents (70.0%) out of the total (390) had leather clothing and 117 (30.0%) did not have any leather clothing.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al variables, women belong to the middle class were most likely to own leather clothing, who were in their late 20’s, living in Gangnam area in Seoul, whose the head of family had a managerial job, and whose household had more than monthly income of 7 million won. The most reason for purchasing leather clothing was that the clothes looked “cute or stylish,” and the most reason for not purchasing leather clothing was that respondents “did not need it.” This study found out that leather clothing owners had 2.53 pieces on the average. In terms of style, jacket style topped others, and the favorite color, material, and process method were black, sheepskin and general method. Most respondents bought their clothing at the department stores, and at prices of 200,000 to 500,000 won. In relation to satisfaction, most respondents (50.2%) said “satisfied” Second, 57.9%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a mind to buy leather clothing in the future. Chose leather clothing, women most considered whether the clothing looked good on them, and least considered whether the clothing could show their wealth.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purchase leather clothing was beauty,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much more of utility than leather clothing owners. Jacket style was the most favorite style of women in their 20’s,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wanted to buy jacket style leather clothing while owners wanted other styles. The favorite color was black, and owners prefer black more than non owners. Respondent preferred sheepskin and general process method,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showed preference of general type or a certain type, such as suede, while leather clothing owners did not care about process type. Most respondents wanted leather jacket of 200,000 to 500,000 won. Non leather clothing owners preferred prices fewer than 500,000 won and owners prefer prices larger than 500,000 won. The favorite shopping place was department stores, and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was displayed clothing. Non leather clothing owners used advertisements on TV commercials, the print press, and the Internet while owners past purchasing experience as their source of information. Third, about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of leather clothing and woven clothing, 38.2% of respondents preferred woven clothing, 32.8% leather clothing, and 29% said “no.” This means people preferred woven clothing over leather clothing.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leather clothing owners preferred leather clothing and non owners preferred woven clothing. In terms of awareness about leather clothing and woven clothing, the most awareness was “expensive” and the least was “coming in various colors.” Women in their 20’s had awareness that leather clothing was better than woven clothing in terms of symbolism, while, compared with non owners,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that leather clothing was better than woven clothing in every aspect such as utility, beauty, function, quality, and symbolism. Fourth, Comparing awareness of foreign brands and domestic brands showed that the highest awareness was that products of foreign brands were “expensive.”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better of foreign brands than non leather clothing owners. Respondents thought products of foreign brands were better in terms of symbolism. Compared with non owners,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that leather clothing was better than woven clothing in the aspect of utility, beauty, function, and quality. In relation to woven clothing, respondents showed preference foreign brands to domestic brands. Most people (55.9%) said “no” regarding brand preference of leather clothing, When reviewing relationship between brand preferences and demographical variables, this study found out that when the head of a family had a managerial job, more women preferred foreign brands, when the job is related to service, sales, or production control, respondents preferred domestic brands, when special or professional job, women preferred both foreign and domestic brands. When a respondent herself had a managerial, professional or technical job, she preferred both brands, when she was an office worker, she preferred domestic brands, university students showed no distinctive preference, and graduate students preferred foreign brands. In addition, respondents’ family made monthly income fewer than 5 million won, they preferred domestic brands. In case of monthly income larger than 7 million won, they preferred foreign brands, while the group with monthly income over 20 million won showed distinctive preference over foreign brands. Women of the lower-middle class preferred domestic brands, those of the middle class preferred domestic brands, but they also said “ no“ as much, and those from the upper-middle and above classes preferred foreign bra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