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리코나의 통합적 품성교육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 연구

Title
리코나의 통합적 품성교육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ral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of Lickona
Authors
박선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경희
Abstract
본 논문은 리코나(Thomas Lickona)의 통합적 품성교육론(Educating for Character)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 도덕교육 내에서 품성교육은 이미 실현되고 있지만, 그 효율성은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도덕성 실천을 강조하는 품성교육을 이론에 국한하여 교육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론적인 품성교육이 아닌 본래 품성교육의 목적에 따라 실천적 도덕교육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는 도덕성 쇠퇴로 인한 도덕성 위기의 현실로 평가되고 있다. 도덕성 쇠퇴가 비인간화와 비도덕성 문제들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도덕성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도덕성 문제는 학생들에게서까지 점차 크게 나타나며, 가정과 학교가 아닌 사회에서까지도 문제시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과 중요성에 비해 실제 도덕교육에서는 도덕성에 대한 실천적인 면모가 부족하기 때문에, 품성교육을 통해 도덕교육을 심화할 필요가 있다. 품성교육은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강조하며, 훌륭한 품성(Character)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도덕적 발달을 이끌어내며, 도덕적 인간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품성교육론을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리코나의 통합적 품성교육론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고 있다. 리코나는 전통적인 품성교육을 인지 발달 이론과 상호 보완하는 통합적인 입장을 펼치며, 보다 실효성 있는 도덕교육 형태를 꾀하였다. 그는 품성의 형태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교실·학교·가정 사이의 통합적인 형태를 주장하였다. 여기서는 이러한 리코나의 이론을 제시하고, 통합적 도덕교육방법의 구체적인 방안을 펼침으로써 도덕교육의 실천적 면모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통합적 도덕교육방법의 구체적 방안 이론과 이를 실천하고 있는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방법을 탐색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리코나의 통합적 품성교육론에 따른 구체적 도덕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인 도덕교육 방안은 Ⅳ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덕적 사유와 토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협동학습, 봉사활동학습, 가정과 학교를 연계한 교육의 형태이며, 이에 대한 중요성은 이를 실제 도덕교육에 적용하기 위함에 있다. 이 방안들을 통해 현대 사회에 있어 품성교육(Character Education)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학생들을 도덕적 인간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실제 도덕교육 현장에서 위의 방안들을 적용하여 실천적 면모를 강조한 품성교육의 실현을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thesis is to study the moral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 education theory of Thomas Lickona. Although the character education is being already realized in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it is a reality that its efficiency is dropping. This can be thought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stressing morality practice is being educated by limiting only the theory. Accordingly, the present thesis tries to study a practical moral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riginal character education instead of this theoretical character education. The contemporary society is being evaluated as a reality of morality crisis due to morality decline. The morality decline causes problems of dehumanization and immorality, so the importance of morality is getting more highlighted. This morality problem gradually appears to students largely, and it is regarded as important to the society as well as families and schools. But because an practical aspect about morality is insufficient in actual moral education compared to these problems and importance, there is a necessity that the moral education should be deepened through the character education. The character education stresses practice of moral behavior and has a purpose for training of excellent character. The character education draws moral development of students and educates them to go forward to a moral person. The present thesis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of Lickona leading the character education theory in advance. Lickona shows an integrated standpoint complementing the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with the recognition development theory mutually and attempted a more effective moral education form. He recognized a form of character integrally and asserted an integrated form between classroom·school·home even in an educational method. Here, the practical aspect of the moral education was tried to stress by suggesting the Lickona's theory and showing detailed plans of integrated moral education's method. Also, the practical method of the actual education site was investigated by suggesting detailed plan's theories and its practice cases of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method. Accordingly, the present thesis suggests a detailed moral education's method according to the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and thus trie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about it. The detailed moral education's method has forms such as moral thinking and discussion, story-telling, cooperative learning, volunteer activity & learning and education linking homes with schools being suggested in the Chapter Ⅳ, and the importance about this is that this is applied to the actual moral education.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s stressed and students are educated as moral persons through these methods. The re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stressing a practical shape is expected by applying the above-mentioned methods in the actual moral education site together with th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