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조희선-
dc.creator조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76-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교육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며 이에 교사의 위상과 역할도 변화되어 학교현장에서는 현시대에 맞는 새로운 자질과 능력을 갖춘 교사를 요구한다. 또한 현대의 미술교육은 창의성 교육 뿐 아니라 미술 이해와 감상을 강조하며 그 영역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입시위주로 인한 주지교과 중심의 현장 교육환경에서 현행 중등 미술교육은 수업시수 부족과 학교 지원의 미약으로 그 입지가 점점 약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교사 재량에 따른 효율적인 미술교육 운영이 필요해지면서 교사의 끊임없는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 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발전과 실행을 위해 현장성 있는 다양한 미술과 교사연수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위해 사회기관으로 대중 미술교육을 선도하는 미술관에서의 연수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되어 이에 대한 실태 분석 및 연수에 대한 중등 미술교사들의 요구 조사를 통한 기초 자료 제시와 함께 미술관 교사연수의 개선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자료 및 여러 연구물을 조사·분석하여 미술과 교사연수와 미술관 교육의 개념 및 실태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미술관 연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국내 사례로 중등교사 연수가 이루어지는 국립과 사립의 대표 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과 삼성미술관 Leeum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국외 사례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의 대표 미술관의 교사대상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이를 통한 시사점을 분석한다. 셋째, 현직 중등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중등교사 대상 미술관 연수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보다 활성화 있게 발전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설문지의 구성은 중등 미술과 연수에 대한 인식 조사를 포함하여 미술관 연수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문항과 미술관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및 제안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무선 표집의 방법으로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근무하는 중·고등학교 현직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115부를 회수하여 통계처리를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통계 분석에 의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중등 미술교사들은 현직 미술연수에 관심과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여러 연수기관 중 미술관을 바람직한 연수기관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 미술관 연수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참여에 있어서 시간 및 공간이동의 문제, 연수내용과 현장교육과정의 비연계성 및 비활용성, 연수기관의 부족을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보았다. 미술관 연수 경험 교사들은 전문적 지식 함양 및 운영방법에 대한 부분에는 만족도가 높았으나, 연수내용의 교과지도 연계 및 현장 활용성에 대한 부분에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술관 연수 경험 여부와 상관없이 미술관 연수 개선방안에 관한 의견 조사 결과 대부분의 중등 미술교사들은 미술교사 대상 미술관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며, 미술관 교사 프로그램으로 현장 미술교과 지도와 연계된 교사연수를 가장 선호하였다. 미술관 연수의 교육방법으로 강의중심보다는 현장체험, 실기 중심, 사례 및 연구발표와 같은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고, 연수의 운영방법으로 현장 출석보다는 찾아가는 미술관 및 온라인/오프라인을 병행한 방법을 선호하였다. 교사들이 바라는 미술관 연수내용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미술 전반에 대한 이해, 미술사 교육, 미술관에 대한 이해, 감상활동지 제작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강사로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미술관 학예사와 교육이론 및 수업능력이 뛰어난 적격교사가 가장 많이 활용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지적하는 미술관 연수의 개선되어져야 할 문제점으로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부족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았고, 연수시간 및 시간배정 문제, 연수내용의 비현실성, 연수강사의 자질, 형식적 연수, 연수기회의 부족, 연수체계의 비연계성, 연수의 사전홍보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중등 미술교사들의 미술관 연수에 있어 가장 개선되어질 것으로 요구되는 내용을 종합해 보면 현장 활용성의 문제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술관 중심의 형식적인 학교연계 프로그램으로의 교사연수가 아닌 학교현장과 실질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현실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바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중등 미술교사를 위한 미술관 연수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중등 미술교사 대상 미술관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미술교사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미술 연수 프로그램이 상시적으로 운영되어 연수 기회 확대와 함께 현장에서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교사를 통한 학교연계 미술관 교육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 둘째, 미술관 교사연수는 교사들의 현장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교사들의 요구를 사전에 충분히 수렴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방법, 담당강사 선정, 현장여건 등을 고려한 연수내용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 미술교육을 이해하는 전문성 있는 미술관 교육전문가(educator)에 의한 효율적인 교육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오프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으로 미술관 연수를 운영하여 지역적으로 한정된 미술관 연수에 교사들이 시·공간적인 제약을 덜 받고 연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일회적인 행사성 교육이 아닌 연수 전·후로도 계속 연결될 수 있는 효율적인 미술관 연수 홍보 및 운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네트워킹 및 자료이용을 위한 온라인 사이트 운영이 필요하며, 미술관 자료실을 공개하여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중등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인식 전환 및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미술관의 보다 실험적이고 다양한 미술연수 운영으로 중등교사의 연수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사회·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문화관광부, 지역 교육청, 사회교육기관 및 대학교육기관, 그리고 타 미술관 등과 같은 기관끼리 서로 연계한 미술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상호 협력체제의 운영으로 보다 다양하고 전문화된 교사연수의 활성화를 이뤄 교사들의 연수 기회 확대 및 미술관 교육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중등 미술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이에 적합한 교육방법, 담당강사 선정, 현장여건 등을 고려한 연수내용으로 운영될 때 교사뿐 아니라 미술관의 입장에서도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현장교사들의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술관이 이를 교사연수 프로그램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현장 미술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기회의 확대 및 발전을 가져올 수 있길 바란다.;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look for a way to improve and to encourage teachers' training programs at art museums for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by providing preliminary data from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needs survey. It has been researched with the goal of operating divers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art teachers to promote desirable growth and realization of secondary art education. For this, teachers' programs at art museum that allow first-hand experience as a public art education institute should be encourage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follows : First, referring to various books, previous research data, and online documents, theoretical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background and actual condition of in-service education for secondary art teachers and art museum education. Second, to observe the current condition of teachers' programs at art museums, a case study was performed firstly at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where secondary teachers' training programs are held periodically, as domestic case. Then for a foreign case and its implication for domestic art museums, research on teachers' programs at representative foreign art museums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Japan used. Third, to seek improvement that helps to develop secondary teachers' training program at art museum more actively, a survey of current secondary art teachers was used to research and analyze their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For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20 randomly selected secondary art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115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consolidated and processed as a statistical data analysi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2.0 program. The summary of data analysis results as follow : Most secondary art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eel the need of in-service art training and believe that an art museum is the most desirable institute for learning. However, despite their interest on teachers' program at art museums, many worry about practical obstacles such as space-time matter, irrelevancy of curriculum between school and museum education, and lack of teachers' programs at art museums. Although teachers with training program experience sta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programs, operation methods, and building professional knowledge, it was downturned by irrelevant contents when applied to teach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Result of survey proved that secondary art teachers feel it necessary for training in art museums and preferred teachers' program as a bridge course with school curriculum, regardless of training program experience. They preferred field experience, practical training, presentation of case studies, and discussion over lectures a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training program. Also, traveling museums and operating programs using both online and offline were preferred over in-class lectures as operating method. Teachers want training via understanding art through current events, art history, understanding of art museum, and creating activity sheet for art appreciation. Also, museum curators and professional school teachers with excellent teaching skills are appropriate instructors for training. Many art teachers selected the following as points of improvement for art museums: lack of diverse programs, limited training periods and schedule issues, impractical training contents, quality of training instructors, formal training, lack of training opportunities, discrepancy in training system between art museums and schools, and lack of publicity. Teachers pointed out that due to irrelevancy in contents, current training programs cannot be applied to actual teaching at secondary schools. Therefore, realistic training programs relevant to school curriculum are necessary. Based on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drawn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at art museums for secondary art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First,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is necessary for secondary art teachers at art museums. Applying their requirements, professional and diverse ar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held frequently in order to expand training opportunities and to provide a place for active discussions to solve various problems and issues of art education in current schools. This will also help build an active relationship between art museum and schools. Second, teachers' training programs at art museums should be developed with contents that are relevant to curriculums of current schools. Applying teachers' requirements, it should be operated with educational contents with proper education methods, instructors, and environment by trained professional museum educators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for schools. Third, providing both online and offline programs are recommended to avoid space-time obstacles. Fourth, support systems such as before and after training are necessary. This requires operating an online site for teachers' networking and an effective use of resources. Also, opening offline resource centers to the public would be ideal. Fifth, it is necessary to divert social con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with an active interest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expand training opportunities of secondary art teachers, political support is needed to enable art museums to operate more experimental and diverse art training programs with less burden of operating expense and manpower. Sixth, it is necessary for art museums to develop interactive programs with other institute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social education institute, college education institute, and other art museums with the goal of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and developing more diverse and professional programs.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secondary art teachers at art museums should be operated focusing their requirements with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instructors, and environment so that it brings effective results on both ar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rt museum education.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helpful resource for futur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secondary art teachers at art museu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중등 미술과 교사연수 = 5 1. 교사연수의 개념 및 필요성 = 5 2.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중등 미술과 연수 현황 = 10 B. 미술관에서의 중등 미술교사 연수 프로그램 = 18 1. 미술관과 미술교육 = 18 2. 중등 미술교사를 위한 미술관 연수 프로그램 = 24 Ⅲ. 연구방법 = 59 A. 조사대상 = 59 B. 조사도구 = 60 C. 자료처리 및 분석 = 62 IV. 연구결과 = 63 A. 미술과 연수에 대한 인식 = 63 B. 미술관 교사연수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 71 C. 미술관 연수 개선방안 = 79 V. 결론 = 93 참고문헌 = 100 부록 = 104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53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 미술교사 연수 프로그램 실태 및 요구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술관 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Actual Condition and Need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Training Programs at Art Museums-
dc.creator.othernameCho, Hee Sun-
dc.format.pageⅹ,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