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 사례 연구

Title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Extensive Reading of Short Stories by a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
Authors
오하나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효율적인 영어 읽기 능력을 습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글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영어 교실 상황에서 학습자는 교과서 이외의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거의 갖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교실 현장에서의 영어 읽기 수업이 교과서의 본문을 해석하고 본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문제 풀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는 읽기 자료를 스스로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읽어나가는 다독(extensive reading)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교실 현장에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적합한 효율적인 다독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단계를 거쳐 다양한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흥미로운 읽기 자료를 선택하여 교실 밖에서 자율적으로 읽을 수 있는 다독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설계된 다독 모형을 단편 소설을 활용하여 실제로 적용해보고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습자 한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학습자는 이전에 단편 소설을 활용한 읽기 활동을 한 경험이 없으며 읽기 능력이 낮은 수준이다. 연구 기간은 총 6개월이고 연구 절차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4개월 간의 다독 모형 설계 과정을 통해 학습자에게 적합한 다독 모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고, 2개월 동안의 다독 모형 적용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과 읽기에 대한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학습자는 다독 모형 설계 기간 동안 중편 소설 1권과 단편 소설 1권을 활용하여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독 모형의 적용 기간 동안에는 단편 소설 여덟 편으로 읽기 활동을 하면서 읽기 활동지를 작성하고 구두 보고 활동과 이해도 점검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사전 및 사후 독해 능력과 독해 속도 평가, 읽기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 설문, 읽기 습관 설문, 읽기 활동지에 대한 설문, 다독 활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설문 조사 후 면담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언급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장기간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편 소설을 활용한 효율적인 다독 모형이 무엇인지 연구한 결과 교사는 크게 4단계를 거쳐 다독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읽기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파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학습자에게 보다 적합한 수준의 읽기 자료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실 밖에서 자가 읽기 활동을 하면서 읽기 활동지와 주간 읽기 목록표를 작성하여 읽은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학습자는 소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와 함께 구두 보고 활동을 수행하여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 혹은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을 표현하는 기회를 가진다. 곧이어 이해도 점검 활동을 통해 소설의 주인공, 주요 어휘 및 표현, 그리고 줄거리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며 보다 효율적으로 읽은 내용에 대해 회상하고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학습자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우선 학습자가 다독을 하면서 작성한 읽기 활동지에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는 차시를 거듭할수록 활동지를 영어로 작성하였고 복합하고 어려운 내용을 인물 관계도를 그리며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다독 활동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과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에 관하여 언급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모르는 어휘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려고 하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내용 파악을 위주로 다독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는 이 과정에서 읽은 내용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테면 단어의 뜻을 문맥에서 파악하여 읽기, 전반적인 내용 파악에 주력하기, 그림이나 삽화를 보고 전체적인 내용을 예상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다독 활동의 읽기 자료로 단편 소설을 활용하였으므로 문학 작품을 읽어나갈 때 효율적인 읽기 방법도 도출해 내었다. 이를테면 학습자는 주인공의 이름을 기록하며 읽기, 인물 관계도 그리기, 소제목으로부터 전반적인 내용 예상하기, 사건의 진행 순서를 기억하며 읽기 방법을 활용하였다. 한편 사전 및 사후 독해 능력 평가 결과 사후 평가 점수가 사전 평가 점수 보다 20점 향상되었고 읽기 속도에 있어서 사전 평가 결과 1분당 99단어에서 사후 평가 결과 1분당 103단어로 변화하였다. 이 같은 한번의 사전 및 사후 독해 능력 평가와 독해 속도 평가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읽기 능력의 향상도를 측정하였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평가 결과 나타난 점수의 차이는 다독 활동이 독해 능력과 속도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는 기존의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에 대한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면, 사전 및 사후 설문 응답과 면담 분석 결과 학습자의 영어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학습자는 스스로 흥미로워 보이는 문학 작품을 선택하여 읽었으므로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도를 잃지 않고 꾸준히 유지해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읽기 수업 시간 후에도 스스로 읽기를 더 하고 싶어 하는 자발성과 자신감 또한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읽기 습관에 있어서 특히 뜻을 모르더라도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읽기 전략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덟 편의 단편 소설을 다독하면서 전체적인 내용 파악을 보다 중요시하며 읽어나갔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읽기 능력이 낮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는 장기간의 연구 기간 동안 학교 수업 이외의 공간에서 교과서 이외의 자료로 읽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을 높이고 효율적인 읽기 방법을 스스로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정독뿐만 아니라 다독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흥미있는 읽기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구체적인 다독 모형을 설계하여 실행한다면 학교 수업의 읽기 활동에서도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An efficient acquisition of English reading skills requires reading a wide variety of writing. In our country's English classroom situations, however, learners have few chances to read reading materials other than textbooks in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manner, since English reading instruction just focuses on text interpreting and problem solving in preparation for college admission. Hence they cannot afford to do extensive reading that provides an exciting experience for them to be exposed to various reading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xtensive reading model tailored to learner characteristics in an attempt to assist learners to do extensive reading by utilizing short stories instead of merely sticking to textbook-centered intensive reading in accordance with existing educational practices. And it's also meant to apply an extensive reading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in class in order to determine its impact on a learner's reading skill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n eight-grade middle school student. He had never be engaged in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and he lagged behind in terms of reading skills, as his GPA was 50. This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a sixth-month period of time and largely in two different stages. What kind of extensive reading model would be appropriate for learners was investigated over four months to design a model, and then the devised extensive reading model was applied for two months to see if that brought any changes to his overall reading skills and reading-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Dur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extensive reading model, the learner was engaged in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reading activities after a short novel and a short story were select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he kept a reading journal and made an oral reading report while he read eight selected short stories, and his comprehension level was checked. His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speed and reading interest were evaluated, and he was surveyed to find out his confidence, reading habits and opinions on reading journal and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After the survey was conducted, an interview was held, and what he said in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long-term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vised extensive reading model, teachers can progress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with four stages. First of all, teachers recognize students' overall attitudes toward reading during the first stage. And students can choose reading materials tailored to their level of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second stage. In the third stage, students read selected short stories out of the class with writing reading journals and a weekly reading diary. In the fourth stage, students do the oral reading report to represent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 reading material and comprehension checkup activity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characters, vocabularies and the plot of the short story. Second, as for the impact of the extensive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on overall reading skills, there was a change in the reading journal he wrote in the course of extensive reading. He got to use more English in keeping the journal as this study proceeded, and arranged the complicated contents of the stories by drawing a diagram of charact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his description of what difficulties he faced in the middle of extensive reading and how he tided over the difficulties, he tried less over time to look up unfamiliar vocabularies in a dictionary, and he concentrated on figuring out what the stories were about. In that process, he tried to improve his reading comprehension in various ways, such as grasping the meaning of words in contexts, getting a big picture of the stories, and predicting what they were about by utilizing pictures or illustrations. As short stories were selected as extensive reading materials, he came up with efficient reading methods. For instance, he wrote down the names of the main characters, drew up a diagram of character relationship, used subtitles to guess what the stories were about, and kept in memory the order of incidents. When a pre- and post-evaluation were carried out, he showed a rise of 20 point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posttest, and read the books seven seconds faster on the posttest. The one-time pre- and post-tests couldn't guarantee that he definitely made progress in overall reading skills. However, the score gaps lent credibility to the finding of earlier studies that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encouraged learners to undergo a favorable change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ed. Third, what changes the extensive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brought to his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English reading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re-survey, post-survey and interview data, he showed an improvement in confidence about English reading, and he had growing interest in that. As he chose the seemingly interesting literary works at his option, he was able to keep reading the books with interest. And he wanted to read more books and remained confident even after the reading classes. In terms of reading habits, he acquired a reading strategy to grasp the meaning of strange vocabularies in context while he read the eight short stories focusing on getting a big picture of the sto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extensive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had a favorable impact on the reading skill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who has fallen behind in reading skills. Specifically, he showed interest and confidence in reading materials other than textbooks in out-of-school spaces while he participated in the long-term study, and he proved that it's possible for learners to acquire an efficient reading method on their own. School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produce the same results if teachers offer diverse and intriguing reading materials for learners to do both intensive and extensive reading and if they design and apply an extensive reading model in add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