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김명선-
dc.creator김명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43-
dc.description.abstract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21^(st) century requires creative, self-directed and open-minded talents who produce knowledge through new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do so, knowledge inquiry activities, where the students actively create new insight from the prior knowledge, gain greater attention against the present test oriented education system in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KERIS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designed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in the form of the inquiry learning integrated with a cyber study aiming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 In recognizing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on English education, much effort has been expended abroad on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it. However, many subjects other than English have introduced and applie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inquiry model to English education of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s on inquiry tasks, inquiry processes and English writing attitude. The community based inquiry approach is consisted of collaborative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setting up an inquiry plan for subjects, making a hypothesis, searching information, evaluating, and testifying the hypothesis. The tool of internet enriches learning condition enabling the blended learning of on- and off-line class, a mixture of individual and cooperative work, combination courses and diversity of learning texts and tools.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unlimited time and space, access and search of various information, and mutual interaction benefit of the Internet, much more educational benefits can be expected. This approach will guide Korean English education from 'learning about language' into 'learning through language' as a prototype of various and active learning and teaching system.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English inquiry learning o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carrying out small groups and blended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tasks. During five weeks, 8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mall group and community based English inquiry learning. Each participant conducts 6 steps of inquiry learning and learning and three tasks. When they complete the three tasks, they are required to summit complete work through papers or a web-site. The final tasks a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ies(content, structure, grammar & vocabulary, mechanics),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study the participation process, effects on English learning attitude and changes of the learners' respons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results of the small group inquiry learning tasks, the community based learning shows higher evaluation scores in aspects of English writing abilities.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structure a variety of ideas and information is relatively more distinguishable throughout active participation, interacting and allotting the tasks, and less error in grammar and mechanics are found due to the computer assisted task accomplishment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small group. Second, during the six steps of inquiry learning,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process revealed that the small groups showed a lower level of the task performance within the limited time of the class in an earlier stage. However, they enabled to write consistent and cohesive texts in cooperation with their team members of distinctive ideas and in-depth thought processes. Participators in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on the other hand, produced various idea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an earlier stage, and developed hypothesis related to the subject by means of the mind mapping and multimedia-assisted program. Moreover, they created a more active and positive classroom atmosphere in contrast with that of the small groups. Third, as the result of survey of the effects of learning attitudes in English writing employing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the meaningful change transpir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terest, confidence, learning attitude and computer mediated English learning except for community activity and English writing ability. Finally, the post in-depth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ive survey studying the change of students' satisfaction after the inquiry learning prove that a majority of the learners show highly positive responses towards the blended learning using computers and the online learning website, the collaborative learning within the communities and the learner based inquiry learning. On the other hand, unavoidable arguments among community members and technical problems of computers can be problematic factors which interrupt students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mmunity based English learning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English writing ability and computer mediated online lear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the small groups. In particular, the allotted tasks and team work in the process of inquiry survey activities help the learners to implement creative ideas and reflect the deepening thought process on writing. Besides, communication in use of target language facilitates the authentic purpose of language learning. By designing both on- and off-line classes and student centered language learning programs appropriately for various needs and wa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ers and teachers will be able to utilize more effective and meaningful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21세기 지식기반 사회는 새로운 매체와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지식을 창출하는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개방된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와 더불어 최근 영어 교육에서도 기존의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이미 알고 있는 것에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지식 탐구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탐구학습은 사이버학습의 연계를 통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으로 초, 중등 교실수업에서의 적용을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의해 개발되었다. 국 외에서는 이미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이 영어 교육에 효과적임이 연구결과로 입증되고 이를 적용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상당수가 영어 이외의 과목에서만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이 적용되고 도입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을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교육에 적용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동 과제, 탐구 과정 그리고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연구하려는 목적이 있다.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은 커뮤니티 활동을 중심으로 행하는 탐구 학습으로, 탐구할 문제나 주제에 대하여 탐구계획을 세우고, 가설을 설정하며 탐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인터넷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에서는 학습방법에서의 다양화(개별학습과 협동학습), 학습공간에서의 다양화(교실수업과 사이버수업), 학습영역에서의 통합화(교과통합), 학습매체의 다양화가 가능하여 탐구환경이 더욱 풍요로워 질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의 특성인 시공간 초월, 다양한 정보 접근 및 검색, 상호작용을 이용하면 기존의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탐구학습보다 더욱 큰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은 보다 다양하고 역동적인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로써, '언어에 관한 학습'으로 일관된 우리나라 영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를 통한 학습'으로의 방향 선회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실 수업 중심의 강의식 소그룹 탐구학습과 온,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을 동시에 실시하여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수업을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5주간에 걸쳐 80명을 대상으로 강의식 소그룹 및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각각 6단계의 탐구학습 과정을 거치면서 과제 1,2,3을 완성하고, 모든 과제를 각각 지면과 온라인 게시판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탐구학습 과제 결과를 평가하고 학습자들에게 객관식, 주관식 설문을 실시하여 영어 쓰기 과제의 영어 쓰기 능력(내용, 구성, 문법과 어휘, 철자와 구두점) 분석하고, 탐구학습에의 참여 과정,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학습자들의 반응에 대한 변화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탐구학습 과제에 있어 커뮤니티 탐구학습 과제의 평가점수가 강의식 소그룹 탐구학습 평가 점수 보다 영어 쓰기능력 측면에서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은 구성원들간의 다양한 의견 교환과 역할 분담을 통한 활발한 협력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보 내용의 구성력이 더욱 뛰어났으며, 컴퓨터를 활용한 과제 작성을 통해 문법과 기술적 측면에서의 오류가 강의식 소그룹 과제에 비해 적었다. 둘째, 6단계의 탐구학습 수업에서 강의식 소그룹 탐구학습 분석을 통해 참여과정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은 정해진 시간 내에 과제의 수행도가 높지 않은 편이었다. 그러나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소그룹 만의 독특한 아이디어와 심화된 사고력을 발휘하여 최종 과제에서는 연결이 자연스럽고 일관된 내용의 글쓰기가 가능하였다. 이와는 달리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학습자들의 과제는 초반부터 구성원들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으로 다양한 아이디어가 생성되었으며,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사용과 마인드 맵핑 을 통해 주제와 연관된 가설로 발달이 가능하였다. 또한 강의식 소그룹 학습자들과는 달리 좀더 활기차고 적극적인 수업 분위기를 만들어 내 두 집단간의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셋째,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전·후의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를 객관식 설문지로 분석한 결과 커뮤니티활동과 영어 쓰기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흥미도, 자신감, 학습태도, 컴퓨터 활용 영어 학습 영역에 있어 유의확률 0.05 수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탐구학습 수업 이후 학생들의 만족도 변화를 사후 심화 객관식, 주관식 설문으로 조사한 결과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 학습에 참여한 학습자 다수가 컴퓨터와 온라인 학습방을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협력학습, 그리고 탐구학습이라는 기존의 수업방식과는 다른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협력학습을 통한 구성원들간의 의견 충돌이나 컴퓨터의 기술적 문제는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학습자들의 참여 적극성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이 강의식 소그룹 탐구학습에 비교하여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과 컴퓨터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탐구조사활동 과정에 있어 구성원들간의 역할 분담과 협력 학습은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심화된 사고를 영어 쓰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참여과정에서 학습자들 간의 목표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을 통해 보다 진정성 있는 영어 학습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연구자와 교사들은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변화하는 학습 요구와 목적에 부합한 온, 오프라인 및 학생중심의 언어 학습을 개발한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의미있는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A. 커뮤니티 = 4 1. 커뮤니티의 개념과 특징 = 4 2. 커뮤니티의 형성의 원리 = 6 B.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 9 1. 탐구학습과 영어교육 = 9 2. 커뮤니티 기반 탐구 학습의 개념과 특징 = 11 3. 커뮤니티 기반 탐구 학습의 학습 과정 = 13 4.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의 교육적 효과 = 15 C. 선행 연구 = 16 1. 국내 연구 = 16 2. 국외 연구 = 18 III. 연구 방법 = 22 A. 연구 질문 = 22 B. 연구 대상 = 23 C. 연구 자료 = 26 1. 주제 학습 관련 자료 = 26 2.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의 온라인 학습방 홈페이지 = 27 3. 강의식 소그룹 및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과제 = 28 4. 탐구학습 과제 평가기준표 = 30 5. 관찰 일지 = 32 6. 설문지 = 33 D. 연구 절차 = 34 E. 자료 분석 방법 = 37 F. 연구의 제한점 = 3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0 A. 영어 탐구학습 영어 쓰기 능력 분석 = 40 1. 강의식 소그룹 영어 탐구학습 과제의 영어 쓰기 능력 분석 = 40 2.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과제의 영어 쓰기 능력 분석 = 42 3. 강의식 소그룹과 커뮤니티 기반 수업 과제의 비교 = 44 B. 영어 탐구학습 참여과정에 대한 분석 = 47 1. 강의식 소그룹 영어 탐구학습 참여과정 분석 = 47 2.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참여과정 분석 = 55 C. 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65 1. 학습자들의 영어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5 2. 학습자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 66 V. 결론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77 부록 = 82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3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커뮤니티 기반 영어 탐구학습 모형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ffects of community based English inquiryl earning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their affective aspects-
dc.creator.othernameKim, Myung Sun-
dc.format.pagex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