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용-
dc.contributor.author김진순-
dc.creator김진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37-
dc.description.abstract대부분의 한국 청소년들은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인한 학업적 긴장 속에서 일상을 보내며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생의 경우, 졸업 후 취업에 치중하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대학에 진학하려는 욕구를 가진 학생들이 많아 졌고 이로 인해 겪게 되는 학업 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업계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그룹 바이올린연주가 그들이 현재 경험하는 학업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Y 여자 상업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고생 8명을 대상으로 한 회기에 6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그룹 바이올린 연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상담 교사가 추천한 바이올린을 배우기를 희망하는 학생 중 학업 스트레스 척도 검사 점수가 180점 이상인 자들로 선정하였다. 그룹 바이올린 연주 프로그램은 활동에 대한 소개 및 라포(rapport) 형성을 도모하는 1단계, 학업 스트레스에 대해 통찰하고 인식하며 자신의 감정을 규명하여 학업 스트레스에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2단계, 그리고 그동안의 경험을 정리하고 자신에 대해 돌아보게 되며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는 3단계로 구성 되었다. 그룹 바이올린 연주 프로그램이 실업계 여고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업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하였고, 양적 자료 분석을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고안한 사후 인터뷰 설문지를 통하여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대상자들의 인식 변화와 그룹 바이올린 연주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바이올린 연주활동 실시 전·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학업 스트레스 점수가 평균 218.25점에서 176.62점으로 41.62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p<.05). 둘째, 학업스트레스 척도 하위요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집단 바이올린 연주활동을 통한 음악치료가 진로, 친구관계, 공부&수업관련 스트레스 점수는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적&시험관련 스트레스 점수는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그룹 바이올린 연주 활동 후 실시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를 통해 대상자들은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대상자들이 경험한 학업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반응들을 알아본 결과 대상자들은 자신의 학업 스트레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처하게 되었으며 학업 스트레스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 하였다. 본 연구는 그룹 바이올린 연주 활동을 치료적으로 적용하여 실업계 여고생의 학업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그룹 바이올린 연주 활동이 학교 현장에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plore effects of group violin playing activity to the scholastic stress of female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The study has conducted 12 sessions (60-minute-session) of music therapy targeting 8 female highschool students enrolled at Y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by means of utilizing group violin playing metho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recommended by the guidance councilor of Y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y have been chosen from a group of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 scholastic stress and desiring to take violin lessons after class.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tress test, these students scored over 180 points in the stress test. The group musical instrument playing program is composed of three stages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Stage - Building up correlations among participants, introducing music therapy session and forming up the rapport. Second Stage - Performing group violin playing for reducing scholastic stress. Third Stage - Summarizing and reflecting experiences gathered during sessions and examining the result of these sessions by holding a concert. In this study, the Scholastic Stress Scale (SSS) has been utilized to measure effects of group violin playing to the scholastic stresses of female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The study utilized the SSS scale to collect data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music therapy program and performed the paired t-test to quantitatively analyse the collected data. Furthermore,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changes recognized by the participants and their experiences through out the music therapy sessions by conducting post interview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mean of the scholastic stress point of participants, measure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music therapy activity utilizing violin, had been reduced by 41.62 points, from 218.25 points to 176.62 points and significance has been confirmed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36. Second, the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sing underlying factors of scholastic stress has shown the music therapy utilizing group musical instrument playing metho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y reducing the career,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cholastic & curriculum related stresses. However, significance has not been shown in grade & exam related stress, despite of the stress level showing reduction. Third, the result of exploring reaction of participants after having experienced reduction in scholastic stress through the post interview survey conducted to participants after the group musical instrument playing activity, has confirmed positive changes in all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has proven the significance of music therapy by group violin playing in reducing scholastic stress of female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and suggest that the music therapy by violin playing may be a great help to highschool students experiencing vast amount of scholastic stre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 5 1. 학업 스트레스 개념 및 요인 = 5 2. 실업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 7 B. 그룹 바이올린 연주활동 = 10 1. 그룹 악기 연주 = 10 2. 바이올린의 치료적 기능 = 11 3. 학업 스트레스와 음악치료 = 13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측정도구 = 17 1. 학업 스트레스 척도 = 17 2. 사후 인터뷰 질문지 = 18 3. 단계별 분석 = 19 C. 연구 설계 및 절차 = 20 1. 연구 설계 = 20 2. 연구 절차 = 21 D. 연구 자료 분석 = 21 E.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 22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목표 = 22 2.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 2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8 A. 연구결과 = 38 1. 스트레스 척도 사전·사후 비교 분석 = 38 2. 사후 인터뷰 설문지 내용 기술 = 44 3. 단계별 분석 = 49 B. 논의 = 56 Ⅴ. 결론 및 제언 = 59 A. 결론 = 59 B. 제언 = 61 참고문헌 = 62 부록 = 70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0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그룹 바이올린 연주가 실업계 여고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Group Violin Playing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dc.creator.othernameKim, Jin Soon-
dc.format.pageⅷ,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