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오윤신-
dc.creator오윤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59-
dc.description.abstract학교폭력 상황에서 가해학생은 분노의 정서를 조절하지 못하고 공격적인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함으로써 개인적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에게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를 실시하여 가해학생의 분노조절과 공격성 감소에 노래심리치료가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분노조절 프로그램 중 공격성 대체 훈련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노래의 심리치료적 기능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Y중학교 3학년(3명)과 2학년(2명)의 남학생들로서 각각 학교폭력 가해행동으로 인해 수업참여정지, 학교 교내외 봉사, 사회봉사 등의 명령을 받은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는 50분씩 주 2회의 그룹 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입단계, 정서적 요소의 단계, 행동적 요소의 단계, 도덕적 추론을 포함한 인지적 요소의 단계, 긍정적 자아상 형성과 종결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분노와 공격성 감소의 변화를 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시작 1주 전 분노 척도검사와 공격성 검사를 실시 하였으며 종결 1주 후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 사후 점수의 결과와 평균에 대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분노정서의 파악과 공격적 행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들이 활동 내에서 표현한 노래그림그리기, 노래 부르기 및 가사토의, 가사 만들기 등을 녹화하여 활동의 내용과 언어적 표현을 녹화하여 서술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분노조절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의 분노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분노검사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상태분노, 분노 표출, 분노통제는 유의미한 변화(p<.05)를 나타내었으나 특성분노와 분노억압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점수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의 공격성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공격성 검사의 하위영역의 결과를 살펴보면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은 유의미한 변화(p<.05)를 나타냈으나 우회적 공격성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점수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에게 분노정서의 유발상황을 파악하고 부적절한 분노표출행동을 탐색하게 하여 폭력가해 행동에 대한 문제를 규명하는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그로 인해 공격적 행동표출의 자제와 감소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노래심리치료를 중심으로 한 분노조절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학교폭력 가해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 분노를 조절가능하고 사회가 인정하는 범주 안에서 적절히 표현가능한 정서임을 인식하게 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에 있어 음악치료가 학교폭력 경험학생들에게 유용하고 적절한 치료적 접근이 된다는 것을 밝힌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In the in-school violent situation, offenders can hardly control their angry emotion and thus, gush out their emotion through aggressive behaviors only to cause some negative results individually and so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 anger-control music psychology therapy to the in-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thereby, analyze the effects of the music psychology therapy on offenders' control of anger and relief of their aggressive behavio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a vocal psychology therapy based on an aggressiveness relief program among the anger control program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3 third-grader and 2 second-grader boy students from 'Y' middle school in Seoul. The sample consisted of those who had been suspended from the classroom, referred to the social service works in or out of school or other social service duty due to their in-school violent behaviors. The anger-control vocal psychology therapy was applied as a group session twice a week, each for 50 minutes. It was designed as 5-stage therapy program: introduction, assessment of emotional factors, assessment of behavioral factors, assessment of cognitive factors including ethical reasoning, and induction of a positive self-image and closing-up. In order to measure changes of subjects' anger and aggressiveness quantitatively, the researcher used 'the State-Characteristic Anger Expression Scale developed by Spielberger, et al., and 'Aggressiveness Scale' developed by Buss and Durkee a week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for Wilcoxon test about pre- and post-test scores and average score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amine changes of subjects' angry emotion and their perception of aggressive behaviors, the researcher recorded during the sessions subjects' activities such as song painting, words of songs, discussions about words of songs and writing of words of songs and then, transcribed them into a databa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anger-control music psychology therapy program was found significantly effective in helping the subjects control their anger. In view of the sub-factors of Anger Scale, state anger, expression of anger and control of anger were changed significantly (p<.05), and characteristic anger and suppression of anger were changed but not significantly; second, the anger-control music psychology therapy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lieving the subjects of their aggressiveness. In view of the sub-factors of Aggressiveness Scale, corporal and verbal aggressiveness, negative sense and impulsion were changed significantly (p<.05), and the circumventive aggressiveness was changed but not significantl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ird, the anger-control music psychology therapy program was useful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causing subjects' angry emotion and determine the problems of their aggressive behaviors and their alternatives, and thus, acknowledge the need to help them control and reduce their aggressive behavior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the anger-control music psychology therapy program focused on vocal psychology therapy would be effective in helping the in-school violence offenders control their anger and express their anger properly to the extent admissible to the society, and that the music therapies would be useful and appropriate to help the in-school violence offenders control their aggressiveness and thereby, prevent and counter the in-school viol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폭력 = 5 1. 학교폭력의 정의 = 5 2. 학교폭력의 위험요인 = 6 3. 학교폭력의 유형과 특징 = 9 B. 분노와 공격성 = 12 1. 분노와 공격성 = 12 2.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분노 = 13 3.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공격성 = 15 4.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공격성 대처훈련 프로그램 = 18 C. 노래심리치료 = 20 1. 노래의 심리치료적 기능 = 20 2. 가해학생을 위한 노래심리치료의 활용 = 24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1. 대상자 A = 29 2. 대상자 B = 30 3. 대상자 C = 30 4. 대상자 D = 31 5. 대상자 E = 31 B. 측정도구 = 32 1. 분노척도 검사 = 32 2. 공격성 검사 = 32 C. 설계 및 절차 = 33 1. 연구의 설계 = 33 2. 연구절차 = 34 D. 자료 분석 = 34 E.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 35 1.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 35 2.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구성과 목표 = 36 Ⅳ. 결과 및 논의 = 43 A. 연구결과 = 43 1. 분노검사 사전,사후 총 검사결과 = 43 2. 공격성 사전,사후 총 검사결과 = 45 3. 분노와 공격성에 대한 참여자 반응 분석 = 47 B. 논의 = 53 Ⅴ.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58 참고문헌 = 60 부록 = 70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0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폭력 가해학생의 공격성감소를 위한 분노조절 노래심리치료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ng Psychological Therapy Controlling in school violence offender's Anger.-
dc.creator.othernameOh, yunshin-
dc.format.pageⅴ,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