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설아-
dc.creator이설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5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65-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의 사람들은 경쟁의식이 바탕이 된 개인주의적인 학습풍토로 인해 협동적인 생활태도가 결여되어 희박한 공동체의식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세계가 열린 구조로 변해가는 생활공간이 되고 역동적이고 복잡한 사회체제는 함께 사는 삶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서로간의 협동 속에서 자신의 가치와 개성을 발견하고, 자아실현을 돕고, 사회성을 신장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간 상호작용조장을 통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미술과 협동학습 모형은 이러한 사회구조 속에서 새로운 요구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협동학습의 다양한 모형 가운데 GI(Group Investigation)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 교과에서 협동학습 적용의 폭을 넓히고, 초등미술교육에서 협동학습의 적용을 통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증진하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현행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협동학습 모형 중 적용 가능 단원 연구와 초등학교 3학년의 발달단계를 고려해 GI(Group Investigation)모형의 절차에 따른 수업을 계획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는 전통문화의 이해라는 측면을 고려하고, 초등학교 3학년 미술 교과서의 단원통합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명절 상차림으로 수업의 대단원을 설정하였다. GI(Group Investigation)모형의 수업 절차를 따른 우리나라 전통명절 상차림 프로그램 활동은 작품의 주제 선정에서 작품 계획과 제작, 감상·평가하는 과정까지 집단 주체적 탐구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협동학습 모형(GI)에 의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 3학년 1학급 30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4월까지 5주간 총 9차시를 적용하였다. 통제집단의 수업은 같은 기간, 같은 초등학교 3학년 1학급 30명을 대상으로 전통적 소집단 학습에 의해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에 앞서 검사지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예비검사(pilot test)를 초등학교 3학년 57명에게 실시하였다. 예비검사(pilot test)는 원 검사지의 문항을 초등학교 3학년에 맞게 수정·번안한 것으로 교육전문가 2인과 초등교사 3인에게 검증 받은 것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동질성 설문지를 실행하고, 검사지의 사전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후 프로그램 실시 전 두 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적 검사인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data coding과 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12 package program에서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모둠별 활동일지와 수업 평가지, 교사의 체크리스트와 관찰일지를 분석하여 협동학습 모형(GI)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의 변화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상은 동질성 설문 결과와 미술자아개념&#8228;사회성 사전 검사 결과에 의해 동질함이 검증되었다. 둘째, 협동학습 모형(GI)을 적용한 우리나라 전통명절 상차림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들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증진시켰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검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했고(p<.01),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일지와 수업 평가지, 교사의 관찰일지의 질적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협동학습 모형(GI)에 의한 우리나라 전통명절 상차림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태도와 분위기는 통제집단에 비해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형태를 띠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나 태도,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왔음이 입증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동학습 모형(GI)에 의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주도적인 탐구활동과 모둠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조장하여 초등학교 3학년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미술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갖게 함을 보여준다. 또래 집단기에 속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과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초등학교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증진에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ack of cooperative attitude and communal awareness because of individualistic learning process based on competitive environment. However people in a complicated and dynamic society are demanded to live with cooperative behavior where it becomes more opened due to an information technology. One needs to recognize his or her own value and self-consciousness, and extend sociality by mutual cooperation with others. For this reason, a new learning-teaching method is recommended to improve cognitive and sentimental development by encouraging mutual interaction among learners.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an art could be the one of the most effective programs corresponding to a new demand under current social struc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rt lesson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method will influence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tudents. Furthermore it aims to broaden the implication of artistic cooperative learning by developing program based on GI (Group Investigation) model and to improve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education. The summery is as follows: The 7th National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s was analyzed, a unit in which cooperative learning is applicable was chosen, a developmental stage for 3rd graders was considered, and finally art lessons based on GI model were designed. The classes were planned to make traditional holiday dining table setting by combining units of 3rd grade art textbook. The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of students with cooperative activities: choosing topics, planning and production of works, appreci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to one class of 30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 Cheon Gu, Seoul for 5 weeks from March to April 2008, total 9 periods. The controlled group was also being conducted with general group activity program with same periods to the other class of 30 students of same school. Prior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pilot test was carried out to fifty seven 3rd grade students to measure validity of questionnaire. Before conducting the pilot test, the pre-existing questionnaires were modified for 3rd grade students with consults of two experts and three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omogeneity of two different groups and after verification of homogeneity, pre and post questionnaire test was done prior to start the program.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test for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s SPSS v.12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independent sample and paired sample t-test after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lso for complementary measure of quantitative analysis material such as activity records written by student groups, class evaluations, teachers’ checklists and observation notes were analyzed so that the process of improvement for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could be observed for learners who went through program based on GI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mogeneity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proved by homogeneity test and pre questionnaire test for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Second, the GI model based program, the traditional holiday dining table setting, improved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for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sult of pre and post questionnaire test (p<.01) and showed higher rate of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led group. Third, the analysis of activity records written by student groups, class evaluations, teachers’checklists and observation notes prov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and self-directed attitudes than controlled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positive effects of the GI model based program on students’general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an art and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i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GI model encourages students to perform self-directed working and mutual interaction activities within a group. It also shows the improvement of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and finally provides positive attitude toward artistic activities. Therefore, a variety kind of art program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need to be developed and practiced to improve students’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2 C.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 3 Ⅱ. 초등미술교육과 협동학습 = 4 A. 협동학습의 개념 = 4 B. 협동학습의 수업모형 = 9 C. 초등미술교육에서 협동학습 모형(GI)과 미술자아개념·사회성과의 관계성 = 16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및 절차 = 22 B. 연구 설계 = 24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24 D. 연구도구 = 25 Ⅳ. 결과 및 논의 = 43 A. 결과 = 43 B. 논의 = 57 Ⅴ. 결론 및 제언 = 59 A. 결론 = 59 B. 시사점 및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목차 = 66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470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협동학습 모형(GI)을 적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Group Investigation Model on an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of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Seol Ah-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