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민정-
dc.creator고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44-
dc.description.abstract대학생들은 여러 가지 발달 과업을 이뤄가는 과정 속에서 많은 심리적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특히 최근 청년실업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맞물려서 현대의 대학생들은 더 많은 정신적 부담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한 부담감 및 스트레스는 우울이라는 정서적 증상을 유발하고 우울감은 낮은 자기효능감과 관련되며, 낮은 자기효능감은 대학생들이 이뤄야 할 여러 가지 발달 과업에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최근 들어 정서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 내 개설되어 있는 학생상담센터를 찾는 대학생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학생들을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감을 호소하는 여대생들에게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즉흥연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개발된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E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4명을 대상으로 한 회기에 약 6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대학교 웹사이트에 게시된 음악치료 프로그램 지원자 모집에 지원한 자들로 Beck우울척도 검사에서 1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자들이다. 즉흥연주 프로그램은 친밀감 형성 및 즉흥연주에 대한 동기와 참여자들의 관계형성을 위한 1단계, 우울감 감소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성취경험을 제공하는 2단계, 12회기 동안 일어난 변화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그룹을 마무리하는 3단계로 구성되었다.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Beck우울척도와 자기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다. 두 가지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에서 측정한 양적 자료는 대상자들의 사전?사후 점수결과와 평균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언어적?음악적 반응에 대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대상자별로 매 회기마다 질적으로 서술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개발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이 인식한 변화와 경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즉흥연주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우울점수가 평균 25.75점에서 4.5점으로 21.25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즉흥연주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점수가 평균 76.75점에서 98.00점으로 21.25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 중 자신감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반면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요인에서는 점수의 향상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효능감 증진 즉흥연주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실시한 사후 인터뷰질문지와 회기별 질적 분석을 통해 대상자들이 경험한 우울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반응들을 구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대상자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개발된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여대생들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즉흥연주 프로그램이 우울감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음악치료가 대학상담 현장에서 심리치료의 일환으로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improvisation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n a female college student with depression. For this research, 4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E University in Seoul, for 12 times total, each in 60 minute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re the ones who applied for music therapy program which was listed on E University's website and they have received more than 10 points on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improvisation program is divided into 3 steps; 1st step was to develop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nts with the motive of improvisation, 2nd, to provide accomplished experiences on building Self-Efficacy and decreasing depression, and 3rd step to wrap up the whole group and talk about the changes that they have been through.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elf-Efficacy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depression level and its effects on Self-Efficacy. The quantitative data with answers for after tests was analysed by score of the inspection 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for average using SPSS Win 12.0 Programs an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musical and verbal reactions, each participant has written them down each time the procedure was put into action. Also,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the interview questionare to find out about the changes and experiences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below. First of all, the depression measure scores of the participants had a meaningful decrease in data compared to the scores before the improvisation program proceeded to build the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Second,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scores were somewhat increased in data, and the self-confidence, which was one of the categories of Self-Efficacy, showed a difference of scores compared to before. In contrast, Self-Control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howed a slight increase but it did not demonstrate the significant change. Finally, by using the interview questionnaire after the Self-Efficacy development program and the analyzation, it was quite obvious to see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on decrease in depression and increase on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s described above, proves that the improvisation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Self-Efficacy, is effective on decreasing the depression and increasing the Self-Efficacy.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improvisation method to be used as one of the psychotherapy at consultations which helps the students coping with depre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 6 B. 우울감 = 9 1. 우울감 = 9 2. 대학생과 우울감 = 10 C. 자기효능감 = 12 1. 자기효능감의 정의 = 12 2. 자기효능감과 우울감 = 16 3. 대학생과 자기효능감 = 17 D. 즉흥연주 = 19 1. 즉흥연주 개념과 치료적 의미 = 19 2. 우울감과 즉흥연주 = 24 3. 자기효능감과 즉흥연주 = 27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 30 B. 측정도구 = 32 1. Beck 우울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 32 2. 자기효능감척도 = 32 3. 즉흥연주에 대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 = 33 C. 연구설계 및 절차 = 33 1. 연구설계 = 33 2. 연구절차 = 34 D. 연구자료 분석 = 35 E. 즉흥연주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 35 1. 즉흥연주 프로그램 목표 = 35 2. 즉흥연주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 3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8 A. 연구결과 = 38 1. 척도검사 = 38 2. 대상자의 회기별 질적분석 = 44 3. 즉흥연주에 대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 내용 기술 = 69 B. 논의 = 75 Ⅴ. 결론 및 제언 = 78 A. 결론 = 78 B. 제언 = 79 참고문헌 = 81 부록 = 89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03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우울성향 여대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즉흥연주 효과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act of Improvisation for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ve Depressive Tendencies-
dc.creator.othernameKo, Min Jung-
dc.format.pagex,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