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독해 전략 지도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읽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독해 전략 지도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읽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ading Strategy Guidance on the English Read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명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외국어 영역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영역은 없다. 그러나 그 중에서 독해는 유용한 자료를 읽어 지식과 교양을 넓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영어독해력 향상을 위한 올바른 지도가 영어교육에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학수학 능력시험의 독해에 대한 비중이 50문제 중 33문제로 70% 가까이 되는 현 시점에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독해전략을 가르치는 것은 학생들의 독해력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제까지 독해전략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우수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 사이에 사용되는 전략의 특성을 비교해 볼 때 우수한 독자일수록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해전략을 배운 수준별 학습자들은 수능 문제를 풀 때 올바른 독해전략을 사용하는지, 독해전략을 배우고 난 뒤 수준별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4개 학급을 상, 중, 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3차례에 걸쳐 독해전략에 대한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13차례에 걸친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통제집단, 실험집단 상, 실험집단 중, 실험집단 하로 나누어져서 통제집단은 독해전략을 가르쳐 주지 않은 채 읽기 수업을 하였으며 나머지 실험집단은 Irwin(1986)의 5가지 독해과정모형과 Honsenfeld(1981, 1984)와 Van Parreren과 Schout-Van Parreren(1981)의 독해전략을 바탕으로 수능 유형별로 독해전략을 가르쳤다. 그리고 난 뒤 실험 이전 평가와 실험 이후 평가를 통해 수능 문제 유형에 따른 수준별 학습자들의 독해전략들에 차이가 있는지, 독해전략을 배우고 난 뒤 독해 능력 향상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rwin(1986)의 독해과정모형을 바탕으로 김현주(2004), 정승미(2002), 고용(2005)이 제시한 독해지도법을 통해 독해전략을 가르쳐 준 결과 상급, 중급 학생들은 사전보다 사후설문에서 유형에 맞는 독해전략을 사용하였지만 하급 학생들은 상급, 중급 학생들에 비해 적절한 독해전략을 사용하지 않았다. 독해력 수준이 높은 상급 학생들은 모든 과정에서 적절한 독해전략을 사용하여 독해력 향상에 도움을 받았다. 그러나 상급 학생들도 미시과정 같이 익숙지 않은 문제에는 배운 독해전략 이외에 다른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통제 집단 학생들은 사후설문에서조차 ‘전략 12(전략 설문지 문항 12번): 전략을 사용하지 않기’를 사용하여 독해전략에 혼란을 겪었다. 둘째, 미시과정에서 사후 독해력 향상을 비교해 볼 때 상급, 하급, 통제 집단은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중급학생들은 사후독해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오히려 점수는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주었고 독해전략을 배우지 않은 통제 집단 학생들만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미시과정에서는 독해전략이 많은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통합과정에서 상급, 중급, 전체 학생들은 독해력 능력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전략 사용에 익숙하지 않고 혼동을 일으키는 하급 학생들과 통제집단 학생들은 사전과 사후의 독해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통제 집단은 사전보다 사후 독해력의 평균까지 낮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거시과정에서 다른 집단들에 비해 정확한 독해전략을 사용한 상급학생들은 독해력 향상을 보였지만 실험집단 중급과 하급 학생들은 독해력에 향상을 보이지는 못했다. 그러나 독해전략을 배우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해 볼 때 실험집단 전체 학생들은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상위인지과정에서 상급, 중급, 하급의 모든 실험집단과 심지어 통제집단 학생들까지도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과정에서는 본문의 알고 있는 정보를 통합해 보기와 내용의 구조를 인식하며 이해점검 하는 독해전략이 학생들에게 독해를 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지치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정교화과정에서는 상급 집단만이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교화 과정의 점수를 살펴보면 중급 학생을 제외하고 모든 학생들의 점수가 올랐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은 독해수준이 높은 상급학생들뿐이었다. 따라서 전략을 배워도 상급학생들처럼 독해수준이 높을수록 독해력 향상에 더 많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독해전략을 배우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은 점수상으로도 다른 실험집단에 비해 많은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모든 학생들이 독해전략을 학습한대로 수능 문제 유형에 맞게 전략을 잘 적용하는 게 아니라 독해력 수준이 높은 고등학교 상급 학생들은 하급 학생들에 비해 독해전략의 활용을 잘 하였으며 잘 적용된 독해전략은 독해력 향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독해전략을 유형에 맞게 잘 적용하려면 상급 학생들처럼 기본적인 문형파악이나 문법이해, 어휘력 확대와 같은 기본적인 학습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독해전략을 가르치기 전에 단계별 독해력 향상을 위한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겠다. 또한 독해력 향상면으로 살펴보면 상급 학생 등 모든 집단에서 사전 및 사후 평가 결과가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미시과정과 모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까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상위인지과정에 대한 독해전략의 영향에 대해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We should not overlook the learning of the four skills of the English language, namely,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Reading, one of the four skills of the English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at reading useful materials helps students broaden their knowledge and familiarity with cultures; therefore, pertinent reading strategy guidance is required to improve the English language abilities of students under the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We assume that English reading is given around 70% weightage in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It is also necessary for high school students to learn the reading strategies that enable them to read and understand English easily and correctly with a view to preparing for the test. This study aims to show whether the students are able to use the proper reading strategies after learning them when they solve the questions of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and whether their reading ability improve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 about the lesson on reading strategies was carried out over 13 class periods, with four different groups that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s: higher level, intermediate level, and lower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learns the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at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The reading strategies used are the five reading process models of Irwin(1986) and the reading strategies of Hosenfeld(1981, 1984) and Van Parreren and Schout-Van Parreren(1981). The control group, however, does not learn the strategies. We were able to identify two trend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teaching of th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ading guidance shown by Kim Hyun-Ju(2004), Jung Sung-Mi(2002), Koh Yong(2005), based on the five reading process models of Irwin(1986), the higher level and the intermediate level groups used reading strategies appropriate to the type of question at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after taking posttest,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vel group used reading strategies that were unrelated to the type of question in the integrative process and elaborate process. We consider that the students do not get accustomed to using the reading strategies in these two processes. The higher level group used proper reading strategies for all the processes, except for the micro process; however, the grammar question that the higher level group did not know in the micro process was presented using different reading strategies. The control group did not use the reading strategies properly for all the processes. This was because they were confused about the use of the reading strategies. Second, it was shown that like the higher level group, the higher level of reading ability,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learn reading strategies did not develop its reading ability, thus failing to obtain good scores as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micro process, all of the experimental subgroups also did not obtain better scores in the posttest as compared to those in the pre-test. In the metacognitive process, all the experimental subgroups and even the control group improved their reading ability.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use of reading strategies like the higher level group, the lower level group should learn basic sentence patterns, grammar, and many words. Moreover, the teachers need to teach and find various methods of teaching guidance in order to gradually improve the students' reading ability before teaching reading strategies. We also need to argue further about the influence of reading strategies in the micro process and the metacognitive process. This is because in the former, the experimental subgroups did not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while in the latter process, all the experimental subgroups and even the control group improved their reading ability in both the pretests and postt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