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나영-
dc.creator오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21-
dc.description.abstract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South Korea places great emphasi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activity?task?process-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emphasis, for student to have interest and motivation, and acquire English proficiency with both fluency and accuracy, it is necessary to use a variety of grammar activities in language cla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Korean adolescent EFL learners' learning effect of the present perfect tense according to types of activities, and their effects on learners' emotions. For this purpose, three 2nd grade classes were selected in K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Incheon and they participated in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for 9 weeks: individual grammar learning activity, information gap activity,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of the three groups have improved in the post test significantly, but have differences in the extent.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whole class, and in both high and low level. The next best activity was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in high level and information gap activity in low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the post test. This difference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and that between information gap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That is,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learning of the present perfect tense.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in high leve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level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and that between information gap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It revealed that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low level as well. Second, in terms of an emotional change on general English learning, only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group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group have a positive change. Only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elicited a positive change in high level, but all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in low level. In terms of an emotional change on grammar learning, all three groups have positive changes in whole class. However, only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grou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both high and low level. There was no emotional difference among groups on general English learning, but there was a significant emotional difference on grammar learning. This resul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and that between information gap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That is,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had the most positive emotional effect on grammar learning.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in high leve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in low level. Third, the analyses based on post deepening questionnaire show that positive opinions on grammaticality judgement activity were prominent, and the learners' most wanted grammar instruction way was 'easily and interestingly'. 'Game and song' were most recommended for this easy and interesting grammar teaching method.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activit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Korean adolescent EFL learners' learning of the present perfect tense and their emotions on English grammar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developing more various activity-based English grammar teaching methods by showing different effects of various activities in grammar teaching.;제 7차 교육과정이 의사소통 능력과 활동·과업·과정 중심의 학습을 강조함에 따라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면서 유창성(fluency)과 정확성(accuracy)을 동시에 지닌 영어 능력의 습득을 위하여 문법 교수에 있어 다양한 학습 활동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다양한 학습 활동 유형에 따라 현재완료 학습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고, 다양한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천 소재 K여자중학교 2학년 중 임의로 세 학급을 선정하여 9주 동안 각각 개별 문법 학습 활동, 정보차 활동, 문법성 판단 활동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와 설문지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과 분산분석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세 집단 모두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그 향상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즉 전체 집단에서 사전·사후 평가 결과를 평균차를 기준으로 비교할 때 문법성 판단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하위 학습자를 나누어 보았을 경우 두 수준별 학습자 모두 문법성 판단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상위 학습자의 경우 개별 학습 활동이 정보차 활동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하위 학습자의 경우 정보차 활동이 개별 학습 활동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사후 평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개별 학습 활동과 문법성 판단 활동 간, 정보차 활동과 문법성 판단 활동 간 효과의 차이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문법성 판단 활동이 현재완료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별로는 상위 학습자의 경우 학습 활동 유형에 따라 집단 간 현재완료 학습 효과에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학습자의 경우 개별 학습 활동 집단과 문법성 판단 활동 집단 간, 정보차 활동과 문법성 판단 활동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하위 학습자의 경우 문법성 판단 활동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사전·사후 설문지 분석 결과 영어 학습 전반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의 경우 세 집단 중 개별 학습 활동 집단과 문법성 판단 활동 집단만이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상위 학습자의 경우 개별 학습 활동만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하위 학습자의 경우 세 학습 활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의 경우 세 집단 모두 각 학습 활동으로 인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수준별로는 상·하위 학습자 모두 문법성 판단 활동 집단에서만 긍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영어 학습 전반에 대한 정의적 측면의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개별 학습 활동과 문법성 판단 활동 간, 정보차 활동과 문법성 판단 활동 간 차이로 인한 것으로 문법성 판단 활동이 전체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별로는 상위 학습자의 경우 학습 활동 유형에 따라 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학습자의 경우 개별 학습 활동 집단과 문법성 판단 활동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하위 학습자의 경우 문법성 판단 활동이 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사후 심화 설문지를 토대로 학습자들의 구체적 의견을 분석한 결과 문법성 판단 활동에 관한 긍정적 견해가 두드러졌으며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문법 교수 방법의 특징은 ·쉽고 재미있게·였다. 이를 위하여 가장 많이 제시된 방법은 '게임과 노래'였다. 결론적으로 학습 활동 유형에 따라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현재완료 학습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다양한 학습 활동을 문법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문법 교수의 필요성과 문법의 다양한 측면 = 3 1. 문법 교수의 필요성 = 3 2. 문법의 다양한 측면 = 4 B. 효과적인 문법 교수법에 관한 논의 = 8 1. 문법 교수 단계 = 8 2. 문법 교수에서의 활동의 활용 = 9 C. 학습 활동 유형 = 13 1. 정보차 활동(information gap) = 13 2. 문법성 판단 활동(grammaticality judgement) = 15 D. 현재완료에 관한 논의 = 17 1. 현재완료의 개념 정의 = 17 2. 현재완료의 용법 = 18 3. 현재완료의 효과적 교수법: 형태통사론적 접근(morphosyntax) = 19 E. 선행연구 = 20 III. 연구방법 = 26 A. 연구 질문 = 26 B. 연구 대상 = 27 C. 실험 도구 = 27 1. 사전 · 사후 평가지 = 28 2. 문법 학습 자료 = 29 3. 설문지 = 33 D. 실험 절차 = 33 1. 실험 이전 절차 = 33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35 3. 실험 이후 절차 = 40 E. 연구의 제한점 = 41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2 A. 학습 활동 유형이 현재완료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2 1. 집단 별 현재완료 학습효과 사전·사후 비교 = 42 2. 실험 후 집단 간 현재완료 학습효과 비교 = 45 B. 학습 활동 유형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 47 1. 집단 별 사전·사후 정의적 측면의 변화 = 47 2. 실험 후 집단 간 정의적 측면 비교 = 54 C. 사후 심화 설문지 결과 분석 = 57 1. 집단 별 학습자의 반응 = 57 2. 학생들이 바라는 문법 교수 = 61 V.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71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79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 활동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현재완료 학습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ctivity Types on Learning of the Present Perfect Tense and Emo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Oh, Na Young-
dc.format.page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