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선-
dc.creator김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81-
dc.description.abstractVocabulary acquisition is a key component to successful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o development of literacy skills. The acquisition of new L2 vocabulary knowledge is viewed as a multistage process that involves many factors. A series of vocabulary exercises provide learners with varied and multiple encounters with target words that highlight different lexical features, and they promote elaboration and strengthening of different aspects of word knowledge.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suggests vocabulary activity using cartoons,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four vocabulary activities differed according to use of cartoons and learning type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ree weeks with 103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All participants read two passages containing 11 target words and performed one of four different vocabulary activities. Each treatment group performed (a) reading plus a series of vocabulary exercises based on the target words from reading texts individually, (b) reading plus a series of vocabulary exercises in pair, (c) reading plus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using cartoons individually, or (d) reading plus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using cartoons in pair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a possible interaction between each vocabulary activity and learner proficienc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proficiency group (i.e., high level students and low level students). Data consist of vocabulary test results and survey results, and was analyzed by a three-way ANOV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participa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immediate post-test than pre-t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ocabulary activity types and learner proficiency on immediate post-test. The group who performed reading plus vocabulary activity using cartoons in pair,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other groups on the immediate post-tests. The effects of experimental activities were different based on learners' proficiency level. Therefore, learners' pro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to design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learning types and any interaction effect was not found. (2) The results of the delayed post-tes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none of the interac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could be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y short period of experiments, and the longer practice of vocabulary learning through current experimental activities might bring statistically different effects on vocabulary retention. (3) The survey found that vocabulary activity using cartoons had generally positive effects of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ttitude and collaborative learning. Furthermore, many learners from vocabulary activity using cartoons responded that they were more motivated to learn vocabulary. They also responded that cartoons facilitated to infer and comprehend the meaning of new words, and to make output using new words. A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use of cartoons in vocabulary learning promotes to lear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Furthermore, vocabulary activity using cartoons evokes learners' interest on vocabulary learning and facilitates learners to be more motivated to learn English vocabulary. These reading related vocabulary activities might be one appropriate way to direct and enhance the effects of incidental learning from reading. Therefore, more studies examining the value of these activities for L2 word acquisition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s studies comparing other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activities.;최근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이 의사소통능력을 강조함에 따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의사소통은 적절하고 정확한 어휘 구사력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보다 풍부하고 정확한 어휘지식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기능을 향상시켜주는데 결정적이며 특정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밑거름이 된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단어 형태와 한글 정의를 단순 반복하여 암기하는 것이 짧은 시간에 많은 단어를 암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많은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어휘학습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실제 지문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한 어휘를 마주쳤을 때 암기한 한글 정의에 대한 어휘 지식만으로는 문맥상 바른 어휘의 뜻을 파악하지 못해 지문의 정확한 이해에 어려움을 경험한다고 한다. 7차 교육과정은 학년 단계별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수를 제안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해야할 어휘는 제시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성취 기준 등은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어휘학습에 있어서는 많은 부분이 교사와 학생의 재량에 맡겨져 있다(김신혜, 문영인, 2004). 실제 고등학생들과 교사들은 익혀야 할 영어 어휘 수가 많아서 어휘 학습과 교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어휘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다독을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 현실에서 읽기만을 통하여 어휘를 학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다독을 통한 우연적 어휘학습 또는 읽기의 부산물로서 어휘학습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읽기를 통한 어휘학습에서도 의식적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어휘 학습 활동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읽기 후 어휘학습의 강화를 돕는 어휘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어휘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으로 시각 자료의 활용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읽기 후 어휘학습을 강화해주면서 좀 더 흥미를 부여하고 지속시키는 효과적인 어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화를 활용한 어휘 활동을 제안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만화를 활용한 협동 어휘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단기 어휘학습과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각 어휘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및 반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103명을 대상으로 어휘 활동 유형에 따라 연습문제 어휘 활동 집단(연습문제 집단)과 만화를 활용한 어휘 활동 집단(만화 집단)으로 나누고, 연습문제 집단과 만화 집단을 학습유형에 따라 개별학습으로 어휘 활동을 수행한 연습문제 개별 집단과 만화 개별 집단, 짝 활동으로 수행한 연습문제 협동 집단과 만화 협동 집단, 4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 간 2차시에 걸쳐 서로 다른 어휘 학습을 실시하고, 4개 소집단을 학습자 영어 능력 수준에 따라 상위 학습자(상위 집단)와 하위 학습자(하위 집단)로 나누어 연습문제 개별 어휘 활동 상위(연습문제 개별 상위 집단)와 하위 집단(연습문제 개별 하위 집단), 연습문제 협동 어휘 활동 상위(연습문제 협동 상위 집단)와 하위 집단(연습문제 협동 하위 집단), 만화활용 개별 어휘 활동 상위(만화 개별 상위 집단)와 하위 집단(만화 개별 하위 집단), 만화 협동 어휘 활동 상위(만화 협동 상위 집단)와 하위 집단(만화 협동 하위 집단) 8개 집단의 어휘 활동 효과와 기억도(어휘학습 지연 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어휘 활동 유형, 학습유형, 학습자 영어 수준이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지연 어휘 평가를 실시하고 자료 분석은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태도 변화와 평가 및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과 심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활동 유형, 학습유형, 학습자 영어 수준이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만화 협동 집단의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다른 집단보다 더 높았으며, 상위 집단의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하위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기 어휘 학습에는 만화 활용 어휘 활동이 연습문제 어휘 활동 보다 더 효과적이며 영어 능력이 보다 우수한 상위 학습자가 하위 학습자 보다 더 많은 양의 어휘 지식을 학습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만화 집단과 연습문제 집단 모두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으로 어휘 활동을 수행한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어휘 활동 유형과 학습유형, 어휘 활동 유형과 학습자 영어 수준, 학습유형과 학습자 영어 수준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휘 활동 유형과 학습유형 및 학습자 영어 수준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휘 활동 유형, 학습유형, 학습자 영어 수준이 학습자의 어휘학습 지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만화 협동 상위 집단이 지연 어휘 평가 점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실험 수업 이후 가장 많은 어휘지식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삼원분산분석 결과 어휘 활동 유형, 학습유형, 학습자 영어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검증을 얻지 못했다. 또한 사후 어휘 평가 결과와 마찬가지로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어휘 활동 유형, 학습유형, 학습자 영어 능력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 어휘 소실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연 어휘 점수에서 사후 점수를 제한 점수로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장 많은 어휘를 기억한 만화 집단의 어휘 소실량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학습한 어휘지식량이 많다보니 그만큼 잊어버린 어휘지식량도 많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험 수업에서 실시한 어휘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및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내 사전 및 사후 영어 학습 태도, 어휘 학습 태도, 협동학습 선호도에 대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후 심화 설문 결과 만화 집단에서 만화가 어휘 학습의 동기를 부여하며 더 재미있고, 어휘의 의미 유추에 도움이 되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며 만화의 활용이 어휘의 의미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힌 응답자가 많았다. 또한 만화의 그림은 연상 효과를 주어, 상황을 떠올리게 되기 때문에 기억에 더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응답자도 상당수 있었다. 연습문제 집단에서는 여러 번 어휘를 보고 연습문제를 풀어가면서 저절로 어휘가 익혀지는 것을 경험했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나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는 것이 좀 어려웠다는 응답과 좀 지루했다는 응답도 있어 만화를 활용한 어휘 활동이 영어 이해와 흥미 면에서 더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만화 집단에서 만화 그리기가 좀 어렵고 시간이 부족했다는 응답자가 많아 연습문제 집단과 동일한 시간에 활동을 마치기에 과업부담도가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 활용 집단 중에서도 개별학습 집단이 협동학습 집단보다 시간 부족을 더 많이 느꼈으며 협동 집단의 학습자는 짝과 함께 해서 심리적으로 부담이 덜했다고 밝혔다. 또한 짝과의 협동학습이 어휘를 기억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도 있었다. 앞에서 어휘 활동 유형, 학습유형, 학습자 영어 수준이 영어 어휘 학습과 기억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교실 현장에서 읽기 후 어휘 학습 강화를 위한 어휘 활동을 제공하고자 할 때 만화를 활용하는 것이 단기 어휘 학습에 더 효과적이며 협동학습을 하는 것이 개별학습을 하는 것보다 활동을 완수하는 것에 더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읽기 후 어휘 학습 강화를 위한 만화의 활용이 어휘 의미 이해에 있어 유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어휘 별 다양한 어휘지식을 학습하기 위한 여러 어휘 활동이 한 차시에 진행되도록 구성하여 실시되었지만 다양한 어휘 지식을 여러 차시에 걸쳐 나누어서 장기적으로 학습하도록 활동을 구성한다면 학습 어휘의 기억도에 대한 교육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어휘 학습 = 3 1. 어휘 지식 = 3 2. 자동화 = 6 3. 참여부담가설 = 8 B. 만화와 어휘 학습 = 11 1. 시각 자료로서의 만화 = 11 2. 이중부호이론 = 12 C. 협동학습과 어휘학습 = 13 D. 선행 연구 = 13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 질문 = 18 B. 연구 대상 = 19 C. 연구 자료 = 20 1. 사전·사후 및 지연 어휘 평가지 = 20 2. 어휘학습 활동지 = 21 3. 사전·사후 설문지 및 심화 설문지 = 24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 26 1. 실험 이전 절차 = 26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28 3. 실험 이후 절차 = 31 4. 자료 분석 방법 = 31 E. 연구의 제한점 = 3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7 A. 어휘 활동과 학습 유형 및 학습자 영어 수준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비교 = 37 B. 어휘 활동과 학습 유형 및 학습자 영어 수준이 어휘 학습 지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 비교 = 41 C. 만화 활용 어휘 활동이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49 1. 어휘 활동 유형과 학습 유형 및 학습자 영어 수준에 따른 집단 별 학습 태도 비교 = 49 2. 사후 심화 설문 폐쇄형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 52 3. 사후 심화 설문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 57 Ⅴ. 결론 및 논의 = 61 참고문헌 = 65 부록 = 72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5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만화를 활용한 협동 어휘학습 활동이 한국 고등학생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ollabo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Using Cartoon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dc.creator.othernameKim, Mi Sun-
dc.format.pagexi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