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수정-
dc.creator신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5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preference for picture-book illustrations by color contrast in an attempt to help improve the color contrast of picture-book illustrations. It's basically meant to boost the form of figures and things included in illustrations to elevate their educational effects. Two different picture books were selected to analyze children's preference for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ntrast by gender and age group. One included realistic pictures that portrayed a cloudy airport, and the other contained abstract pictures about a weird round trip. How much selected children liked the two different sorts of pictures in which there were respectively big and small contrast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was investigated by gender and age group, and their preference for the contrast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in each of the realistic and abstract pictures was checked by gender and age group as well. The color of the pictures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as modified by employing PhotoShop CS2, a graphic program, to assess their preference, and 10-item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he color of the picture materials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hildren's preference for color and by gathering opinions from two graduate students and three kindergarten teachers. The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art education and had ever worked as picture-book illustrator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data handling, x2(Chi-square) test was utilized, and SPSS 13.0 program for Windows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and age made little differences to the children's liking for the two different sorts of pictures,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ntrast. Second, they had the most preference for color contrast in the realistic pictures with a big and small contrast of brightness, color and saturation, followed by saturation contrast and brightness contrast. In the event of the abstract pictures, however, they were in favor of the pictures with a big contrast of saturation. Third, the young girls were more fond of color contrast than the young boys in the realistic pictures. In the event of the abstract pictures with a big contrast, there was no gap in the preference among the latter, but the former preferred saturation contrast. Fourth, the seven-year-olds had a more liking than the 6 age group for the realistic pictures with a great contrast of color and for the abstract pictures with a great saturation contrast.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check into children's preference for color contrast to elev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picture books to which they are first expo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ducing better picture books, and what matters more is applying more diverse and drastic color contrast.;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색채대비에 따른 아동의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색채 대비의 효과적인 사용을 통하여 일러스트레이션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물의 형태를 견고하게 하여, 그림책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사실적 그림의 구름공항과 추상적 그림의 기묘한 왕복여행의 두 권의 그림책을 위주로 명도·채도·색상대비에 따른 아동의 선호도를 성별, 나이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명도·채도·색상대비가 큰 그림과 작은 그림간의 선호도를 성별, 나이별로 분석하였고, 사실적 그림과 추상적 그림에 따른 명도·채도·색상대비 선호도 또한 성별, 나이별로 분석하였다. 명도·채도·색상대비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그림 자료는 그림의 색상만을 그래픽 프로그램 PhotoShop CS2를 사용하여 명도·채도·색상대비의 특성에 맞게 제작하였고, 이에 따른 설문지를 총 10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그림 자료에 사용되어진 색상은 아동의 선호 색상을 바탕으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 경력이 있는 미술교육전공 대학원생 2인과 현재 유치원 선생님으로 재직 중인 유아교육전공자 3인의 의견을 조율 하여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명도·채도·색상대비에 따른 아동의 선호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13.0(for Window)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도·채도·색상대비가 큰 그림과 작은 그림에 대한 아동의 선호에는 사실적 그림과 추상적 그림 모두에서 성별이나 나이별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명도·색상·채도대비가 큰 그림과 작은 그림의 사실적 그림에서 아동은 색상대비를 가장 많이 선호했으며, 그 다음으로 채도대비, 마지막으로 명도대비의 순으로 선호했다. 그러나 명도·색상·채도대비가 큰 그림과 작은 그림의 추상적 그림에서는 채도대비가 큰 그림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명도·색상·채도대비의 선호도는 사실적 그림에서는 남자 아동보다 여자 아동이 색상대비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추상적 그림에서는 대비가 크게 나타나는 그림에서 남자아동은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아동은 채도대비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명도·색상·채도대비의 선호도에서 7세 아동은 6세 아동에 비해 사실적인 그림에서는 색상대비가 큰 그림을 추상적 그림에서는 채도대비가 큰 그림을 더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색채대비에 따른 아동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아동이 처음 만나게 되는 책인 그림책의 교육적인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그림책을 만드는 작업도 중요 하지만, 연구결과에 얽매이는 그림책보다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색채대비를 좀 더 다양하고 과감하게 사용하여 아동의 색채경험의 폭을 넓혀주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 범위와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5 A. 그림책과 일러스트레이션 = 5 1. 그림책의 역사와 정의 = 5 2. 그림책에서의 글과 그림의 관계 = 7 3.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교육적 역할 = 14 B.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색채의 역할 = 18 1.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색채의 역할 = 18 2. 색채와 먼셀표색계 = 20 3. 색채 대비 = 23 C. 아동의 색채지각 발달 = 30 1. 아동의 색채 인식 발달 단계 = 30 2. 아동의 색채 선호경향 = 33 3. 아동의 색채 심리 = 37 Ⅲ. 연구방법 = 41 A. 연구 대상 및 절차 = 41 B. 연구 도구 = 41 C.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4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3 A. 연구 결과 = 43 B. 논의 = 56 Ⅵ.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59 부록 = 62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915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색채대비에 따른 아동의 선호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ildren's Preference for Picture-Book Illustrations with Different Color Contrast-
dc.creator.othernameShin, Shu Joung-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