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Gender Role Identity in Juveniles on Choosing Their Future Career
Authors
유경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spit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at has been performed for a long time, regarding occupational distribution, the actual condition is that majority women prefer the field of education, welfare, and health, while men lean toward the field of specialty, management and technology. This is resulted from a gender role stereotype on occupations due to gender role socialization. In social aspects, it means that human sources are not properly utilized for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in a changing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targeting for high school students seeks to clarify the effect of gender role identity on their future career resulted from gender role socialization.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50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four high schools in Kyeonggi and Seoul areas and a survey was conducted. Final 428 copie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statistically by SPSS/WIN12.0 package. Jin Kyoung Jeong (1990)'s KSRI, a Korean-style gender role inventory which standardized the Bem Sex Role Inventory (BSRI: Bem 1974) being a measurement tool of androgyny as a gender role identity, was applied for this study. In terms of gender appropriateness for choosing an occupation, the gender domination index that Youn Sook Lee (2004) measured in the same method as Shinra (1975) was utilized for measuring improvement on choosing an occupation. As a measurement tool of career aspiration, O'Breien's measurement adapted by Soo Wook Choi (2002) was utilized. Furthermore, Wol Hwa Kim's occupational position score (2004) was modified and then utilized as a measurement of occupational aspirati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 of the improvement of choosing an occup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ender role identity. In case of male students, students with androgynous identity showed a progressive inclination in that they chose occupations with high gender domination index compared to masculine or differentiated groups in both when to consider realistic conditions and when not to consider them. In case of female students, when to consider realistic conditions, a mannish group showed the progressive inclination, while when not to consider them, an androgynous group showed the progressive inclination in choosing an occup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Secondly, gender role identity and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verall, male students showed somewhat higher level of career aspiration than female students did. In case of male students, a masculin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aspiration than a womanish group. Otherwise, in case of female students, a mannish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aspiration than a differentiated group. Therefore, was positively verified that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would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role identity. However, the hypothesis that an androgynous identity group would show high level of career aspiration was negated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ly, considering the whole groups, in the level of occupational position according to gender role identity, an androgynous group showed the high level of career aspiration when to consider realistic conditions. In addition, the level of occupational position was higher when to consider realistic conditions than when not to consider them. As the results of average comparison according to the type of identity, in case of male students, an androgynous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occupational position than a womanish or differentiated group whether to consider realistic condition or not. Otherwise, in case of female students, a mannish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aspiration than a womanish group when to consider realistic conditions, while an androgynous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aspiration than a differentiated group when not to consider them;양성평등 교육이 오랫동안 실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직업 분포에 있어 대다수의 여성들은 교육, 복지, 보건 분야에 남성들은 전문, 관리, 기술직 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실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성역할 사회화로 인한 직업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비롯되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변화되는 사회의 적재적소에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성역할 사회화에서 비롯되는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4개교의 남.녀 고교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428부를 회수하여 SPSS/WIN12.0 패키지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성역할 정체감 측정도구로 양성성을 측정할 수 있는 Bem Sex Role Inventory(BSRI :Bem 1974)를 우리에게 적합하게 표준화한 한국형 성역할검사지인 정진경(1990)의 KSRI를 사용하였다. 직업선택의 성적합성과 관련하여 직업선택의 진보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이윤숙(2004)이 Shinra(1975) 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직업별 성지배성 지수를 사용하였다. 진로포부 측정 도구로는 최수욱(2002)이 번안한 O'Breien의 진로포부 수준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업포부 측정 척도로는 김월화(2004)의 직업지위점수를 척도화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직업선택의 진보성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양성성 정체감의 학생들은 현실적 요건을 고려했을 경우와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모두에서 남성성이나 미분화 집단에 비해 직업의 성지배성 지수가 높은 직업을 선택하여 진보적 성향을 보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현실을 고려할 경우 남성성 집단이, 현실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양성성 집단이 타집단에 비해 직업선택의 진보적 성향을 보였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포부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진로 포부 수준이 다소 높았으며 남성성 정체감의 학생들이 타집단보다 진로포부 수준이 높았다. 남학생의 경우 남성성집단이 여성성 집단에 비해 진로포부수준이 높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남성성집단이 미분화집단에 비해 진로 포부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가설2>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포부 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긍정되었으나 양성성 정체감 집단이 포부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남. 녀 모두에게서 부정되었다. 세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직업지위수준은 전체집단으로 보았을 때 현실을 고려하였을 경우 양성성집단의 직업포부 수준은 높았으며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았다. 정체감 유형별 평균비교 결과 남학생의 경우 현실을 고려, 미고려의 경우 모두 양성성 집단이 여성성이나 미분화집단에 비해 직업지위수준이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현실 고려시 남성성집단이 여성성집단에 비해 직업포부수준이 높았으며 현실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양성성집단이 미분화집단에 비해 직업포부수준이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