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우경-
dc.creator김우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72-
dc.description.abstract다른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어에서도 문장에서 동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여러 동사들 중에서도 특히 ‘have’, ‘take’, ‘give’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본동사이다(Altenberg & Granger, 2001; Biber, Johansson, Leech, Conrad, & Finegan, 1999). 이들 세 동사는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명사와 생산적으로 결합하여 많은 의미를 생성해내기도 하기 때문에 ESL/EFL 학습자들이 정확성과 유창성을 갖춘 의사소통을 위해서 습득해야 하는 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have’, ‘take’, ‘give’는 각각 ‘가지다’, ‘잡다’, ‘주다’라는 의미를 지니는 단일동사로 쓰이기도 하지만 뒤에 특정한 명사구가 올 경우에는 단순히 가벼운 의미를 지닌 경동사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후자의 경우 이들 세 동사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대부분의 EFL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동사구문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해 보고자 두 가지 학습 유형 즉, 이해중심활동과 표현중심활동을 설정하여 경동사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어떠한 효과를 보여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S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63명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각각 이해중심학습과 표현중심학습을 실시하였다. 이해활동 유형은 고르기(selecting)이었으며 표현활동 유형은 그림 묘사(picture description), 문장 완성하기(sentence completion)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들은 1차시에는 경동사구문에 사용될 수 없는 동사 판단하기, 부적절하게 사용된 경동사구문 파악하기를 학습하였고, 2차시에는 경동사의 의미적 특징을 바탕으로 경동사구문에서 ‘have’, ‘take’, ‘give’ 사용 구별하기를 학습하였으며, 매 학습이 끝난 직후에 1차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단기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을 상, 하위 수준별로 나누어 각 집단에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검증해 보았고 실험 종료 후 2주 뒤에 2차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경동사학습의 장기 기억효과도 검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경동사 ‘have’, ‘take’, ‘give’를 학습하는 데 각각 어떠한 학습활동 유형이 효과적인지 동사 유형별로 평가 점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실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동사의 단기 이해능력 향상의 효과에 있어서는 표현활동집단의 점수 향상이 컸으나 집단간의 향상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학습활동 유형에 따른 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는 표현활동집단의 하위집단에서만 경동사의 단기 이해능력 향상에 있어 유의미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경동사의 장기 이해능력 향상에 있어 이해활동집단의 기억 손실이 표현활동집단의 기억 손실보다 적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학습 유형에 따른 장기 기억의 효과는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도 이해활동집단의 기억 손실이 적게 나타났지만 학습활동 유형이 경동사의 장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셋째, 경동사의 단기 표현능력 향상에 있어 이해활동집단의 점수 향상이 컸지만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두 가지 학습활동 유형에 따른 경동사의 단기 표현능력 향상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 수준별 검증에서도 상, 하위집단 모두 이해중심학습의 효과가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학습활동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활동 유형이 경동사의 장기 표현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표현집단의 기억 손실이 적게 났지만 유의미한 결과가 아니었으므로 두 가지 활동 유형의 효과는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 수준별 검증에서도 표현집단의 기억 손실이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학습활동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경동사 ‘have’, ‘take’, ‘give’ 각각의 점수 향상도를 검증해 본 결과 ‘have’, ‘take’의 경우는 학습활동의 효과가 비슷했지만 ‘give’의 경우 표현중심학습이 효과적이었다. 경동사 유형별 장기 기억에 있어서는 ‘have’의 기억 손실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경동사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을 향상하는 데 있어 이해중심활동과 표현중심활동은 둘 다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고, 특히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표현중심활동 학습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경동사구문을 ‘동사 + 명사’로 이루어진 숙어로 암기하는 것 보다는 각각의 경동사의 의미를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을 통해 학습할 경우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별로 경동사의 이해점수와 표현점수를 검증해 본 결과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학습 유형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지 않지만 하위 학습자들은 학습 유형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위 학습자들 보다는 하위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적절한 학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동사 유형에 따른 학습 방법의 효과를 통해 동사 유형별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동사 유형과 학습활동 유형 이외에 다양한 목표 구문과 학습활동 유형에 대한 후속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Light verb construction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and productively used items by native speakers; hence they are crucial for improving accuracy and fluency in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light verb constructions have rarely been highlighted in the English education field for its idiomatic characteristics. Studies on light verb construction found that they have fairly systematic and reliable semantic and syntactic rules, which are teachable to EFL stud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ways that contribute to the acquisition of light verb constructions by Korean EFL learners. For this purpose, comprehension tasks and production tasks are treated as task types and have, take and give-constructions were focused as target light verb construc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ask types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light verbs. As for the overall experimental design, a group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and each group were subdivided into upper and low proficiency levels, respectively. The comprehension group did selecting tasks and the production group did picture description and sentence completion task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two weeks and the effects were measured with pretest and two post-test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ask types in the comprehension of light verb, even though the production group improved more. In terms of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 on the other hand, lower level students in the production group did better than the other group.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duction task has positive effectson low level students' comprehension ability of light verbs. Second, for the delayed effects of comprehending light verb construction, the two task type or the two proficiency levels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respectively. Third, in regard to production of light verb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ask types, even though the comprehension group was better than the production group. The results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either. Fourth, the results of delayed post tes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ask types or between two proficiency levels in producing light verb construction. Lastly, in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three different light verb construction types, the effect of task type was not found in learning have and take-construction, while the production task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give-construction. For the delayed effects of learning, the retention of have-construction was lower than the other two construction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both of the comprehension task and production task influenced positively on learning light verb constructions. Therefore, with the help of those two tasks, learners can learn light verb constructions in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ay rather than memorizing the construction as idiomatic 'verb + noun' phrase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ask type difference was stronger on low level learners than on upper level learners, hence in order for low level learners to get more effective achievement English constructions including light verb constructions, more subsequent research regarding task typ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경동사와 경동사구문 = 4 1. 경동사의 정의와 경동사구문의 종류 = 4 2. 경동사구문의 형태적 특징 = 6 3. 경동사구문의 의미적 특징: 인지문법과 범주화 = 10 B. 제2언어 이해활동과 표현활동 = 21 1. 입력처리와 이해중심과업 = 22 2. 출력가설과 표현중심과업 = 28 C. 선행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4 A. 연구 질문 = 34 B. 예비 연구 = 35 C. 연구 대상 = 36 D. 실험 자료 = 37 1. 수업용 자료 = 37 2. 사전, 사후평가지 = 37 E. 실험 절차 = 39 1. 실험 이전 절차 = 39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활동 = 40 3. 자료 분석 및 처리 = 43 F. 연구의 제한점 = 44 Ⅳ. 실험연구 결과 및 논의 = 45 A. 학습활동 유형 및 학습자 영어능력수준이 경동사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 45 B. 학습활동 유형 및 학습자 영어능력수준이 경동사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49 C. 학습활동 유형이 단기 및 장기 경동사 종류별 습득에 미치는 영향 = 52 Ⅴ. 결론 및 제언 = 56 참고문헌 = 59 부록 = 6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71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활동 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경동사 학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ask Types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Light Verb Construction-
dc.creator.othernameKim, Woo Kyung-
dc.format.pagex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