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숙-
dc.creator김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들이 현재 경험하는 심리적 스트레스의 정도와 그에 따른 심리적 안녕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고, 연구대상자들 개인의 음악적 경험과 스트레스 사이의 상관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이 경험하거나 기대하는 음악적 치유 경험의 내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E 대학교 음악치료 관련 교양수업 수강자 123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음악 경험 질문지, 음악치료 교양수업 수강 동기 질문지, 대학생을 위한 스트레스 대응 질문지의 세 가지 영역에 관한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대학생활, 가정/경제, 친구/대인관계, 나 자신의 4개의 스트레스 근원 중 대학생활 영역의 ‘졸업 후 진로 문제’에서 가장 큰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를 반응은 ‘우울’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은 대학생활 영역에서 스트레스 해소의 필요성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반응 그리고 스트레스 해소의 필요성 간에는 매우 강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스트레스를 경험하면 스트레스 반응이 높게 나타나며(r =.779), 스트레스 정도가 높으면 해소의 필요성도 함께 높아져(r =.631), 대학생들은 심리적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이를 긴급히 해소하려는 욕구 성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음악경험 특성의 분석에서 대학생들은 일상에서 ‘답답하거나 우울할 때’ 가장 음악사용의 필요를 느끼며(M=4.22), 18세 이전과 이후의 음악적 경험 비교에서는 모두 ‘감상’이 음악경험 형태 1순위로 나타났으나, 성인기에 접어들면서 ‘감상’경험이 14% 증가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지금까지의 삶에서 ‘음악이 치유적이었다’고 느꼈던 적이 있다고 96.9% 응답하였다. 이와 더불어, 음악치료 관련 교양수업의 수강자들은 이 교양수업을 통해 ‘나 자신의 정신 건강을 위해 음악을 치료적으로 사용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이는 음악을 통해 자신의 심리적 안녕감을 충족하고자 하는 수강 동기를 뚜렷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음악을 접하는 시간과 스트레스 간 상관분석에서, 음악을 접하는 시간과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반응은 모두 부적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스트레스 대응 점수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음악을 접하는 시간과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는 -1.72(p<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내 음악이 스트레스 관리에 매우 유효한 매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일상에서 음악사용의 필요를 느끼는 정도와 스트레스 간 상관분석에서, 음악사용은 스트레스 정도와 부적상관(r=-.144), 스트레스 반응과 부적상관(r=-.113)을 나타냈고, 스트레스 대응과는 .252(p<.01)의 매우 강한 정적상관을 가지고 있어 일상에서 필요에 따라 능동적으로 음악을 사용하는 것이 심리적 안녕에 유의미한 결과를 예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대학생들은 음악치유 관련 교양수업에서 자신의 ‘감정?정서에 대한 통찰’(21.2%)을 희망하였으며, 치유적 음악경험을 통해서는 ‘내면의 돌봄을 통한 심리적 건강’(30.3%)을 가장 높게 기대하였다. 또한 현재까지의 삶에서 경험한 치유적 음악경험은 ‘정서 안정의 경험’, ‘위로의 경험’ 등이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은 음악 안에서 기분과 정서의 변화를 가장 높게 경험하고 있었으며, 음악은 ‘위로의 경험’에서와 같이 경험자들에게 공감과 지지를 주고, 마음을 달래주며, 마음의 위안을 경험하게 해주는 매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상태와 음악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음악치료의 잠재적 내담자로서 대학생들 자신이 기대하는 ‘치유적 음악경험’을 조사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연구 결과 보여주듯, 대학생들은 자신의 심리적 안녕을 도모하는데 있어 음악에 대한 의존성을 높게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안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음악을 기대하는 것과 연결된다. 이에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과 자기 성숙을 위한 통찰중심의 교양수업 중 음악적 접근이 보다 권장되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needs caused by self-growth and maturity needs during early adulthood, to analyze corelation between mental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inally to evaluate college student's expectations for musical healing experi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urvey of 123 college students who were taking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class at E University. The survey questions were asked on three categories; 1) individual music experiences in their daily life 2) individual motivation of taking music therapy class, and 3) individual ways of dealing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needs and stress.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collected. Also,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describ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needs and expectation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the highest stress level in deciding on the course after graduation, which is part of the collage life category among four stress source categories; college life, family/financial, friendship/relationship, and self-management. The most common reaction to stress shown among the students is depression. This analysis also shows that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stress level, reaction and stress management needs. When students are experiencing stress, the level of their reaction to it appears high (r= .779) and when the level of stress the students are experiencing is high, the level of their needs for getting rid of stress turns out to be high as well (r= .631). This means that college students have tendency to eliminate stress immediately when it occurs. Second, the study presents that when students are feeling depressed, the level of their needs for music is the highest (M=4.22). The comparison of their music experience before and after the age of 18 shows that listening to music is the most common type of their music experiences. On the average, the number of hours they are exposed to music is between 1 hour to 3 hours (41.5%) and 35.8% of them spend 'half an hour to 1 hour' purely for listening to music. Among those surveyed, 96.9% responded that they have felt music was therapeutic. Students who have attended music therapy related classes responded that they have expectations to use music therapy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response reflects their motivation of taking the class to striving fo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usic.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time spent for listening to music and the stress shows that especially based on that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time spent for listening to music and the level of stress indicates statistically important negative relation(r=. -1.72, p<0.5), we can certificate music is a very effective medium to managing stres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need for music in daily life and the stress shows that there is a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eed for music in daily life and the level of managing stress (r=.252, p<.01). In conclusion, it indicates that using music actively can gi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college students hope to 'gain an insight into their emotion and feeling' (21.2%) in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class and they are most exp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aking care of oneself' in experiencing therapeutic music. And among the musical healing experiences which they had until now, 'experience of emotional stability'(32.5%) turns out to be highest, and 'experience of comfort' (21.7%) to be second. Consequently, college students are turns out to experience the change of emotion and feeling in music most. And therapeutic music are shown to give the sympathy, support and healing to people. This study present the generally fundamental data on the mental state and music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An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music healing experiences which college students are feeling by themselv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ollege students depend music very highly in increasing their mental health and expect to use music as the methods for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a kind of 'music and healing' class will be expanded with benefit for college students to gain mental health and self actua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성숙과제 = 7 1.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 7 2. 성숙과제와 심리적 안녕 = 8 3.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대한 욕구 = 10 4.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 = 14 C. 치유 매체로서의 음악 = 17 1. 삶의 균형감과 음악 = 18 2. 기본적 욕구와 음악 = 19 3. 자아실현과 음악 = 20 III. 연구 방법 = 22 A. 연구대상 = 23 B. 조사도구 = 23 1. 개인의 음악적 경험 질문지 = 26 2. 음악치료 교양수업 수강 동기 질문지 = 27 3. 대학생을 위한 스트레스 질문지 = 27 C. 자료처리 및 분석 = 29 IV. 결과 및 해석 = 30 A. 성인 초기 대학생의 치유 욕구 = 31 1.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 및 스트레스 대응 특성 = 31 2.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에 대한 욕구 간 상관관계 = 42 B. 개인의 치유적 음악경험 = 43 1. 일상에서의 음악경험 = 43 2. 음악치료 교양수업 수강 동기 = 48 C. 스트레스와 음악경험 간의 상관관계 = 51 1. 음악을 접하는 시간과 스트레스 간 상관 = 51 2. 일상에서의 음악사용과 스트레스 간 상관 = 52 D. 치유적 음악경험에 대한 기대도 분석 = 53 1. 음악치료 교양수업에 대한 기대감 내용 분석 = 54 2. 음악치유 경험에 대한 기대감 내용 분석 = 56 3. 개인의 치유적 음악경험 내용 분석 = 58 V. 결론 및 제언 = 60 A. 결론 및 요약 = 60 B. 논의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7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1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치료 교양수업 수강생들의 심리적 안녕과 음악치유경험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sychological Well-being and Music Healing Experiences in Early Adulthood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Kyoung-Sook-
dc.format.page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