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The Effectiveness of Deliberate Instruction in Core Senses of High Frequency Polysemous Verbs on Guessing and Retaining Peripheral Senses

Title
The Effectiveness of Deliberate Instruction in Core Senses of High Frequency Polysemous Verbs on Guessing and Retaining Peripheral Senses
Other Titles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핵의미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가 주변의미 추측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성 : 한국 EFL 중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Authors
한미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고빈도(high frequency) 다의어 동사의 핵의미(core sense)를 중심으로한 명시적인 다의어 의미 확장에 대한 지도가 주변 의미(peripheral sense)의 추측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영어 다의어 동사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이 본 논문의 연구주제로 선택된 이유는 어휘습득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과 함께 국내외에서 다각적인 어휘습득전략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일반적인 단어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다의어에 대한 논의는 언어학적 분석에만 한정되어 있어 응용언어학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와 언어학에서 다루어진 연구 분야를 접목한 체계적이고 전체적인 다의어 습득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다의어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를 살펴보고 제 2언어 어휘습득에 관한 연구를 어휘전략교수 중심으로 논의한 뒤, 한국 EFL 학습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영어 다의어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지언어학에서 다의어의 의미구조에 대해 밝힌바 대로, 원형적 의미인 핵의미를 중심으로 상호 연관된 주변의미가 의미망 내에서 의미 확산 메커니즘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언어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다의어 의미 확산 연결망을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다의어 습득을 촉진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에 바탕을 두고 (Boers, 2000; Klein & Murphy, 2001; Nakahara, 2005; Rijpma, 1999, Verspoor & Lowie, 2003; Visser, 1990), 핵의미 중심의 명시적 다의어 교수는 한국 EFL 학습자의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주변 의미에 대한 추측력과 기억력 신장에 도움이 된다는 가설을 실험 연구를 통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 설계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EFL 중학교 3학년 78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단서 유형과 지도 방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교수를 달리 하였으며, 연구결과 분석을 각 집단 간, 그리고 각 집단 내 영어능력 상하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문장맥락에서 단서유형에 따라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주변 의미의 추측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 다른 유형의 추측단서, 즉 핵의미를 단서로 주었을 경우, 또 다른 주변 의미를 단서로 제시하였을 경우, 그리고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았을 경우로 구분하여 집단 간 통계적 유의미성을 밝혔다. 또한, 지도 방법에 따라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주변의미 기억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통적인 정의 중심 암기법, 명시적인 다의어 의미 확산 설명법, 암시적인 다의어 의미 확산 인지법 등 세 가지 지도 방법을 선정하여 학습자의 단기기억과 지연어휘평가에 미치는 효과성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결과를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핵의미를 추측단서로 제공받은 집단이 상하집단에서 모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주변의미에 대한 높은 추측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각 집단내 상하그룹간에서도 추측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단서유형 뿐만 아니라 언어능력도 추측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도 방법에 따른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주변의미에 대한 단기 기억도는 천정효과(ceiling effect)로 인해 각 집단 간, 상하집단 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셋째, 지도방법에 따른 각 집단간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의 지연어휘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이 보고 되었다. 즉, 명시적인 의미 확산 경로 설명과 함께 학습한 집단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른 상하집단 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단기기억과는 달리 지연어휘평가에 있어서는 언어능력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의미발견 단계(semantization)에서 추측단서 효과가 단기기억과 지연어휘평가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추측단서에 따른 결과를 공분산(covariate)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는데, 추측단서 효과는 유의미하게 단기기억과 지연어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비록 의미발견단계(semantization)의 기억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는 않지만, 어휘습득에 있어서 의미강화단계(consolidation) 뿐만 아니라 의미발견단계(semantization)도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Jenkins & Dixon, 1983; Mondria & Wit-de Boer, 1991; Mondria, 2003). 본 연구는 다의어 학습에 있어 효과적인 어휘 지도 전략을 인지언어학적 입장에서 접근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인지언어학에서 강조하는 핵의미(core sense) 중심 지도가 한국 EFL 학습자의 영어 고빈도 다의어 동사 습득에 효과적인 어휘교수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보다 심도 있는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뒷받침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An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method on polysemous word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is both necessary and important. It is necessary in the sense that words have multiple senses in general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how those words are contextualized. This implies a potential difficulty EFL learners may face resulting from the relative lack of contextualized input in developing L2 linguistic and conceptual systems. This means that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who have developed their L1 lexicon systems of lexeme and lemma to the full extent, acquiring L2 polysemous words is a more conscious and demanding process than for native speakers; and it typically tends to be even more complicated if the mechanisms for the meaning extension of a polysemous word between the L1 and L2 are mutually incompatibl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explore an efficient method for teaching polysemous words, for it can reduce a cognitive burden of memorizing seemingly unrelated senses on the part of learne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teach and learn polysemous words, adopting insights of cognitive linguistics which postulate that the various senses of a single lexical item are interrelated within the semantic network with the core sense being the prototypical entity, and emphasiz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the core sense as a way of increasing learners' awareness of the multiple senses of a polysemous wor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nglish high frequency polysemous verbs can be learned effectively b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EFL environment. In order to examine it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involved 78 Korean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study, two mai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investigated which one w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in presenting a polysemous word in order to help learners infer an unfamiliar sense of a polysemous verb in a sentence context among three alternative ways: providing a core sense as cue, another peripheral sense as cue, and no cue.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instruction both on the short-term retention test of senses a polysemous verb denotes and on the delayed post-test: the traditional approach with definition, direct explanation approach to meaning extension, and indirect awareness approach to meaning exten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core sense specification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ttempting to acquire multiple senses of polysemous verb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nferring peripheral senses of a polysemous word from the core sense is effective for both semantization and consolid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learners knew the core sense, it was much easier for them to guess peripheral senses; secondly, the effect of the different instruction types regarding meaning extension on short-term retention of multiple senses was not great to a significant degree because of the ceiling effect;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instruction types on the delayed post-test with those students who received an explicit explanation of meaning extension outperforming the other groups to a significant degree. If considering the increasing scholarly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which language teachers and applied linguistic researchers recognize, and the continuous endeavor to integrat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research in applied linguistics into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benefit of the classroom teachers and second language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may contribute to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effective pedagogical technique for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especially for polysemous words. Learners, the study suggest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infer the peripheral senses of polysemous words from their core senses. This approach makes it possible to enhance the ability to guess and retain multiple senses of a polysemous word, for the semantization stage during guessing is mad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by providing the learner with a meaningful cue, which in turn would facilitate the consolidation process with opportunities for precise elaboration: This whole process can lead to more efficient and better ret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