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란-
dc.creator김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8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0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029-
dc.description.abstractThe plastic will of expressing, human beings instinctively have, is expressed by a certain from Mixed by various kinds of formal elements. The contrast, a certain form, makes the dynamic and dramatic atmosphere as well as gives the strong mutual characteristics to works. The complex modern and highly civilized society requires lots of place that contrast should be used. This complex modern and highly civilized society requires lots of place that contrast should be used. This paper aims a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ntrast effect by studying logically the sensual and actual technique of the contrast in plastics, and developing more effective and aesthetic ability of composition by understanding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 of a formal effect of the contrast. The contrast give different tastes to the work by being expressed in a different way in each work according to the habits, taste and liking of each author. This paper concerned with the study of the formal principles of this contrast based on the general principles and Parker's theory, of the primary factors of contrast by analyzing line, direction, size, form, far and near, texture, and figure and ground in shape, of factors based on the three attributes of colour; hue, value and chroma in colour, and of these effects on works. However these factors are shown in works not individually but collectively. Through the historical study of works, a way of use of the contrast is studied comparing the transition of contrast with the fine art and the applied art. Also the form contrast is studied separately with the colour contrast after classifying works into two dimensional surface and three dimensional bodies, and its characteristics is discussed in the following chart by ages. (refer to this book.)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ous works are as follows; 1. In every works, the contrast is expressed by any kinds of form in which this effect is great or small. 2. The contrast, expressed in a visual form, comes from psychological process. 3. The contrast, conceptual symbol in the primitive age, which is suppressed by ritual and authority of church in the middle age, has been changed into the contrast of which colour and form are metaphysical and expressing human mind based on the self-control of plastics in the modern age. 4. The contrast is expressed more positively in abstractive works than in realistic works, in graphic design than in paintings. Thus the contrast,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activity of plastics, is expected to be presented by more complicated forms in the fut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ogical contrast will attribute ourselves for the better creation by doing consistent study and practice.;인간은 본능적으로 표현하려는 조형적 의지가 있는데 이것은 여러 가지 형성요소가 어떤 형식에 의하여 표현되는 것으로 이 형식의 하나인 대비는 작품에 동적이고 극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주며 서로의 특성을 명확하게 만들어 준다. 현대는 물질문명이 극에 달하고 생활이 복잡해짐에 따라 대비의 다양한 적용을 요청받고 있다. 이때에 조형 활동에 있어 대비적 형식의 감각적 실제적 기법을 논리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대비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비에 의한 형식적 효과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미적인 구성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형식적 효과를 위한 대비는 이를 적용하는 작가의 습과, 기호, 취향에 따라 작품마다 다르게 표현되어 그 작품의 맛을 달리하고 있다. 이러한 대비의 형성원리를 일반 형성원리와 Paker 이론을 근거로 다루어 보았고, 대비의 조형적 원인을 형태에서는 선(Line), 방향(Direction), 크리(Size), 형(Form), 원근(Far and near), 질감(Texture), 도형과 바탕(Figure and Ground)으로 색채에서는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 등 색의 3속성에 의거한 요인들을 살펴보았고 이들이 작품에서 어떠한 효과를 가져 오는지를 고찰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작품에 종합적으로 나타남으로써 하나의 작품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작품을 가능한 한 역사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대비의 변천과정과 순수미술, 실용미술을 비교해서 대비의 사용방법을 알아보았다. 작품은 평면과 입체로 분류하고 거기에서 형태대비, 색채대비를 따로 다루었으며 다음 표에서 시대별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책 참조) 이와 같이 작품을 분석한 결과 첫째, 모든 조형작품에는 그 효과가 크든 작든 간에 어떠한 형태로든 대비가 나타나고 있으며, 둘째, 대비는 시각적 형식으로 표현되어져 심리적 작용으로 나타나고, 셋째, 원시 고대에서는 관념적 상징의 대비가 중세에서는 교회의 습관과 권위에서 제약받는 대비로, 근대․현대로 오면서 조형적 자율성에 근거한 색채, 형태는 형이상학적이고 내면세계를 표현하며, 넷째, 구상적 작품보다는 비구상적 작품에서, 순수미술보다는 실용미술에서 대비가 적극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비는 조형 활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가올 미래에는 더 한층 다양한 대비가 요청되어 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대비에 관해서 논리적으로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며 이를 바탕으로 실험과정을 거쳐 보다 나은 창조활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대비(Contrast)란 무엇인가? 3 A. 형성원리 3 B. 대비(Contrast)의 조형적 요인과 특성 6 1. 형태대비의 요인과 특성 9 2. 색채대비의 요인과 특성 25 III. 작품에 나타난 대비의 분석 38 A. 평면조형 38 1. 형태대비 38 2. 색채대비 51 B. 입체조형 63 1. 형태대비 63 2. 색채대비 69 IV. 결론 81 참고문헌 84 영문초록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273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조형에 있어서의 contrast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87, iv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7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