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이미선-
dc.creator이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63-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k the effects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rough integrating Korean textbooks 'Speaking·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ince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the Korean Textbook has changed rapidly. Under the goal of ‘Improving Language Using abilities’, the Korean textbook went over the genre and thematic Reading textbook and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language using abilities. In the end it placed a heavy learning responsibilities both teachers and students. But the division of textbooks into quite a few categories was not appropriate to the psychological cognition system characteristic of pupils; as a result, it caused a huge amount of coursework due to unnecessary repetitions of contents in different textbooks. In this research, therefore, by integrating Korean textbooks into one textbook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s of big units, it planned to bring a balanced language in the study. Integrating textbooks is a valid logic because language ability is complementary each other and actually it is used in integrated forms in real language using. And eliminating unnecessary content repetition reduces the learning responsibility in a view of economical efficiency and let the children have the maximum chances of language expression. So in this point using integrating textbooks will bring a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e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can be defined as 'concept's creation and construct' which is the process that ideas come out , concreted and organized. It generally proceeds to language product (speaking and writing). So it comes under the category of language expressing ability and that is Speaking and Writing in languag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rough integrating Korean textbooks ‘Speaking·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 the researcher set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ve an effect on speaking'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1-1.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mprove the speaking ability's idea richness? 1-2.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mprove the speaking ability's idea creativity? 1-3.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mprove the speaking ability's idea corelation? 1-4. Among speaking ability's idea richness, creativity and corelation, on which elements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ve the largest influence? 2.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ve an effect on writing'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2-1.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mprove the writing ability's idea richness? 2-2.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mprove the writing ability's idea creativity? 2-3.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mprove the writing ability's idea corelation? 2-4. Among writing ability's idea richness, creativity and corelation, on which elements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have the largest influence?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selected two classes of second graders in P Elementary School, Songpa-gu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studied for 8 weeks 42 periods by using a rearranged , integrated Korean textbook and the comparative group studied by using divided Korean textbooks 'Speaking·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the current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o verify the effects of using integrated Korean textbooks on the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e two group's same quality was guaranteed in the pre-test and in the post-test ANCOVA was used. The statistical Process is conducted by SPSS/WIN 12.0. And also to find out which elements of the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were most improved, it was compared by changing experimental group's pre-test and post-test grades into percentages.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 the effect of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rough integrating Korean textbooks 'Speaking·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n speaking'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e experimental group's grade more improved than comparative group and statically shows significant difference(ρ< .05). The sub-elements of the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idea richness, creativity and corelation) were all superior to comparative group. The effect of Korean textbook integration were not proved on post-test writing'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because the richness and creativity were impro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 scores of the subjects who ranked low on pre-test were improved, while those of the subjects who ranked high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Korean textbook integration on the low ranked students. Especially Korean textbook integration has the largest effect on the idea richness and creativity. Considering that speaking ability is ahead writing ability, It could be expected the positive influence on writing'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Young children for 8 weeks. Therefore it has the limitation of result's generalization to whole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Young children is unspecialized the body and mind, so it is useful to use Whole Language Approach. But the Korean Language integration for elder student needs the further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learning in various aspects. The teachers should refresh their thoughts and independently try to integrating Korean textbook in teaching. And also to do the research of improving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systematic research of Korean textbook integration is constantly developed and supported by co-teachers, school level, and the higher district education office.;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 교육에 따른 국어교과서 통합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내용생성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국어교과서는 5차 교육과정기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언어사용 기능 신장’이라는 목표 아래 이전의 문종별 혹은 주제별 읽기 위주의 교과서를 탈피하여 언어사용 영역별로 교과서를 분책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홀히 다루어졌던 말하기, 듣기 수업의 정상화를 이루었다는 긍정적인 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말하기ㆍ듣기’, ‘읽기’, ‘쓰기’로 나누어진 영역별 교과서는 초등학교 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인지·심리적 특성에 부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 교과서간 영역별 목표의 중복과 불필요한 학습 내용의 반복으로 인하여 막대한 학습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학습부담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의 기능이 서로 분리될 수 없다는 총체적 언어 교육 원리를 바탕으로 영역별로 나누어진 국어교과서를 한 권의 국어교과서로 통합하였다. 언어 기능이 서로 보완적이며 공유하는 부분이 많고, 실제의 국어사용 과정에서 이들이 서로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국어교과서 통합은 매우 타당한 논리라 할 수 있다. 또 수업의 경제성 측면에서 볼 때 시수별 학습량이 감소됨으로써 여유로운 수업 진행을 이끌 수 있으며, 이는 아동들의 표현 기회 확대라는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자는 이런 점들에 주목하여 국어 통합교과서의 사용이 아동들의 표현 능력의 중요 요소인 내용생성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거라 가정하였다. 내용생성능력이란 생각을 떠올려 구체화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으로 ‘개념의 생성과 조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생성능력을 보고자 하면 얼마나 많은 내용을 생성해 내는가하는 내용의 풍부성, 남과는 다른 내용을 창출해 내는 내용의 독창성, 전체적인 내용이 통일을 이루는 내용의 관련성에 주목해야 한다. 내용 생성의 과정은 표현할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하는 것으로 개념적으로 표현된 결과물(말하기 혹은 글쓰기)을 선행한다. 따라서 내용생성능력은 그 범주에 있어서 언어의 표현 능력에 속하게 되며 국어과 영역으로는 말하기와 쓰기가 여기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총체적 언어 교육에 따른 영역별 국어교과서 통합이 아동의 내용생성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총체적 언어 교육은 말하기 내용생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총체적 언어 교육이 말하기 능력의 내용 풍부성을 향상시키는가? 1-2. 총체적 언어 교육이 말하기 능력의 내용 독창성을 향상시키는가? 1-3. 총체적 언어 교육이 말하기 능력의 내용 관련성을 향상시키는가? 1-4. 총체적 언어 교육은 말하기 능력의 내용 풍부성, 독창성, 관련성 중 어느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 2. 총체적 언어 교육은 쓰기 내용생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총체적 언어 교육이 쓰기 능력의 내용 풍부성을 향상시키는가? 2-2. 총체적 언어 교육이 쓰기 능력의 내용 독창성을 향상시키는가? 2-3. 총체적 언어 교육이 쓰기 능력의 내용 관련성을 향상시키는가? 2-4. 총체적 언어 교육은 쓰기 능력의 내용 풍부성, 독창성, 관련성 중 어느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P초등학교 2학년 두 학급의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8주간 42차시에 걸쳐 실험 집단은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를 한 권의 교과서로 재구성한 국어 통합교과서로 학습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현행 7차 교육과정대로 분책교과서로 학습하였다. 국어 통합교과서의 사용에 따른 내용생성능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ANCOVA)을 유의수준 .05에서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졌다. 내용생성능력의 하위 요소 중 어느 요소가 가장 높게 향상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총체적 언어 교육에 따른 국어 통합교과서 활용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전반적인 내용생성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말하기 내용생성능력에서 실험 집단의 점수는 비교 집단의 점수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ρ< .05)가 나타났다. 말하기 내용생성능력의 하위 요소인 내용의 풍부성, 독창성, 관련성 모두 비교 집단보다 우수하였다. 쓰기 내용생성능력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모두 내용의 풍부성과 독창성이 향상되어 국어 통합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다. 그러나 쓰기 사전검사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던 아동들은 사후검사에서도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반면, 하위권을 차지했던 아동들은 사후검사에서 향상된 점수를 보임으로써 국어 통합교과서가 하위권 아동들에게 의미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특히 국어 통합교과서의 사용은 말하기 내용생성능력의 하위 요소 중 내용 풍부성과 독창성에 주목할 만한 효과가 있었다. 말하기 능력이 쓰기 능력에 선행됨을 고려했을 때 이 효과는 쓰기 내용생성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에게 8주 동안 단기적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초등학교 전 학년의 아동들에게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저학년 아동들은 아동 발달 단계의 특성상 심신이 미분화되었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유용한 반면 고학년 아동들에게 적용할 국어 교과 통합의 경우는 학습의 효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일선에 있는 교사들은 인식을 새롭게 하여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를 주체적으로 통합하고 이를 수업 중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아동들의 내용생성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동학년 단위나 학교 단위 나아가 시·도 교육청 단위의 체계적인 국어교과서 통합 교육의 꾸준한 연구·개발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총체적 언어 교육 = 5 1. 총체적 언어 교육의 배경과 개념 = 5 2. 총체적 언어 교육의 교수-학습원리 = 8 3. 총체적 언어 교육에서의 국어 교과서 통합 = 10 B. 내용생성능력 = 13 1. 언어사용능력 = 13 2. 표현으로서의 내용생성능력 = 16 Ⅲ. 연구 방법 = 22 A. 연구 대상 = 22 B. 연구 설계 = 24 C. 연구 도구 = 41 D. 연구 절차 = 53 E. 자료 분석 = 5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58 A. 말하기 내용생성능력 = 58 B. 쓰기 내용생성능력 = 71 Ⅴ. 결론 및 제언 = 81 A. 결론 = 81 B. 시사점 및 제언 = 84 참고문헌 = 86 부록 = 92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313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총체적 언어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내용생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Ability of Constructing Ideas-
dc.creator.othernameLee, Mi Seon-
dc.format.pageⅷ ,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