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듣기 자료 유형에 따른 paused prediction task가 중학교 영어 듣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듣기 자료 유형에 따른 paused prediction task가 중학교 영어 듣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aused Prediction Task According to Genre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istening Classes
Authors
정혜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과 같은 국제화 시대에서 듣기 능력은 필수적이다.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한국 학생들에게 보다 실제성 있는 듣기 상황을 제공하고 연습시킴으로써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영어 교사의 역할이다. 이를 위해서 듣기 수업을 하는데 있어 영어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paused prediction task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습자들의 듣기 활동에 paused prediction task를 도입하여 듣기 자료 유형(genre)에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 1학년 학습자 137명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듣기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1의 68명에게는 이야기체(narrative) 듣기 자료를 이용한 듣기 수업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2의 69명에게는 서술형(descriptive) 듣기 자료를 이용한 듣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used prediction task를 사용한 영어 듣기 학습이 듣기 자료 유형(genre)에 따라 중학교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 두 실험집단 모두 실험 전·후에 유의미한 영어 듣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수준에 따른 각 상·하의 집단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은 각 실험집단의 상·하위 집단 모두 유의미한 영어 듣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aused prediction task를 이용한 영어 듣기 학습이 상·하위 집단 학습자 모두에게 긍정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평가 영역별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서술형(descriptive) 듣기 자료를 이용한 학습자들이 비언어적 응답을 요구하는 하향식 듣기 문항에서 유의미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을 나타내지 못했다. 두 실험집단의 상위 학습자들의 시험 결과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듣기 자료 유형에 따른 paused prediction task를 사용한 듣기 학습이 중학교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두 실험집단 모두 전반적인 영어와 영어 듣기 측면의 정의적인 면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이야기체(narrative) 듣기 자료를 학습한 학습자들의 태도 변화가 더 두드러졌는데 이는 듣기 자료의 특성상 여러 가지 예측이 가능한데서 오는 흥미도의 상승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한편, 영어 듣기 능력의 수분별 각 상·하위 집단은 실험 전·후로 듣기 활동에 대한 태도와 반응에 차이를 보인다. 이야기체(narrative) 듣기 자료를 이용한 수업은 모든 영어 듣기 능력의 학습자에게 비슷한 정도의 흥미를 향상시켰으나 서술형(descriptive) 서술형(descriptive) 듣기 자료를 이용한 수업은 상위집단 학습자들에게는 오히려 흥미를 떨어뜨리는 효과를 낳았다. 셋째, 듣기 자료 유형에 따른 paused prediction task를 이용한 듣기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은 심화 인터뷰를 통해서 분석해 본 결과 두 실험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서술형(descriptive) 듣기 자료로 수업을 한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약간의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paused prediction task의 불필요성을 이야기 하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교사 및 연구자의 수업 관찰 후 반응을 분석해 보면 학습자들이 느낀 것처럼 두 실험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paused prediction task를 이용한 듣기 학습이 듣기 자료 유형(genre)에 관계없이 정말로 효과적이라고 예상했으나 서술형(descriptive) 듣기 자료를 이용한 듣기 수업을 할 경우 듣기 자료 선택에 있어서 좀더 학습자들의 흥미를 고려해야 하겠다는 시사점을 얻었다.;Recently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is emphasized as the interchange among countries is getting frequent. Therefore, the ability to listening is basic to impro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However, listeners are not able to control the amount, difficulty and speed of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iciency of teaching methods for listening in English using prediction tasks according to genres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applies these methods to classroom. It also takes a look at how each genre has different effects in the listening classes using paused prediction task.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137 grade 7 students were taught English listening using paused prediction task in 12 classes. 68 students(experimental group 1) were taught with narrative listening material and the rest(experimental group 2) were taught with descriptive listening materials.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ly, each experimental group has better grades in listening with the use of paused prediction task according to genres. Ex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1(narrative listening materials) has much better grades than the experimental group 2(descriptive listening materials). Secondly, it was foun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towards the class which used paused prediction task according to genres on both groups, that the answers from both experimental groups reflected generally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However, the student in the high level of experimental group 2(descriptive listening materials) had a bit negative attitude for the paused prediction task. That might be the result from the listening materials which are focused on delivering information and can not get students' interests. Thirdly, analysing further interviewing students in both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had generally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However, the students in the high level of experimental group 2(descriptive listening materials) had a bit negative attitude for the paused prediction task and do not feel need paused prediction task in class. Furthermore, researchers' and teachers' observation on the each experimental group tell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wo classes, which makes teachers think that they need to be more careful when choosing the listening materials. As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 the use of paused prediction task with various genres in English listening instruction is effective and productive in prompting learning of listening and affective aspects for English learning. Furthermore, if paused prediction task is used not only in the listening class but also in the other language skill areas, it can make major contributions to the ultimate aim of English instruction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 and cultivating advanced intellectual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