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劉鈗炅-
dc.creator劉鈗炅-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2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244-
dc.description.abstract현대 미술 경향은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데 조형개념의 다변화로 어떤 특정경향이나 양식, 이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출되며 다원화를 통한 그 방향이 모색되어지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전개된 인스탈레이션이 현대 섬유예술 안에서 한 표현양식으로 어떻게 위치하게 되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인스탈레이션의 개념과 형성 및 전개를 20세기 미술사조에서 고찰하고 환경섬유예술로의 변모에 의한 환경조형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현대 섬유예술 안에서의 인스탈레이션 작품에 대한 유형분류와 그에 따른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쟝르 구분의 속박에서 벗어나 혼합매체의 사용이나 그에 대한 새로운 해석 그리고 새로운 공간의 인식과 이미지 출현으로 현대 미술은 탈쟝르화 경향을 띠게 되며 오브제의 변증과 확대를 통해 거대성의 일면을 제시하며 첨단과학매체를 통한 가변성과 더불어 행위의 순수성을 환경과 접목시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오브제의 실험이 가져온 직접적인 영향과 새로운 소재 및 방법론으로써 구체적인 형태를 갖지 않는 상태를 그대로 펼쳐 놓아 이미지의 확산과 상호확대를 꾀하는 공간 속에서 하나의 표현양식으로 총체적 예술의 영역이 된 설치작업(Installation)이 근래에 크게 강조되고 있다. 현대미술과 예술적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맥락을 같이하는 현대섬유예술도 섬유를 실용적 의미의 차원을 넘어 미적 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대량생산 수단이 아닌 창작 개념으로 순수 조형예술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게 되었다. 또한 자유로운 변화와 혁신으로 거대규모의 입체주의 사조는 비예술적 재료의 사용과 입체공간 구조를 가지고 인간이 그 안에 「존재할 수 있는」환경조형작품의 인스탈레이션으로 새로운 현실을 주장하게 된다.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표현양식으로 나타난 인스탈레이션은 전시장 또는 자연환경에 설치되었다가 해체철수되는 순간미술의 성격을 띠며 그 유형으로는 매달리는 유형(hanging), 놓이는 유형(grounding), 세우는 유형(standing), 세팅유형(setting), 띄우는 유형(flying) 등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작품들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전시장내의 물리적 조건인 벽면, 바닥 그리고 천정을 이용하는 작업, 전시장 전체를 이용하는 작업, 그리고 외부환경 전체를 이용하는 작업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현대 섬유예술에서의 인스탈레이션은 환경지향의 공간탐색을 통하여 분위기 예술을 연출하며 관객참여적인 요소를 발전시켜 참여예술을 지향한다. 이것은 대지 예술과 개념 미술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또한 첨단과학의 공학적 입장을 동원하여 과학적 환경을 주장하는 공학예술을 지향하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내재되고 있다. 섬유는 환경조형물로서 취약점을 갖고 있으나 섬유 표면의 가공처리나 산업재료를 도입하여 새로운 의미의 재료가 필요하다. 섬유예술은 타 예술 소재에 비하여 역동적이며 가변적인 특성으로 환경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무한한 조형적 잠재 가능성을 모색하여 미래의 조형예술로 그 영역을 넓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The tendency of modern art goes on a radical change to comples and various modes. Because of variation in formative concept it is not restricted to any specific trend, style or idevelogy but represented in liberalism. Its orientation through pluralism is now grouped for. In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that how the installation developed in modern art, has been positioned as an expressional mode in the modern fiber art, the concept,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nstall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20th century art trend, environmental formativeness by transfiguration into environmental fiber art was studied, and classification of styles of the installation works in modern fiber art and therefrom characterized formativeness were analyzied. With use of mixed media or new interpretation of then and newer appearance of recognition or image of space, escaped from bondage of existing geare divisions, modern art becomes to take on a tendency of self-renewal casting off any genre. It presents an aspect of greatress through dialectic and extension of objects. It goes on its developmental way by combinding purity of conduct with environment together with pro-variability through advanced scientific media. As a direct impact, new material and methodology, brought by experiment of object, in this stream of tendency, so-called installation, that is an expressional mode in space, that gropes for extension of image and inter-expansion by spreading things as they are with no concrete from and that became a sphere of total art is currently in general emphasis. The modern fiber art that shares the same contest in the aspect of artistic variety with modern art also has become to consider fiber as means of aesthetic expression beyond a level of practical meaning, confirming its status not as means of mass production but as concept of creative work. Besides, a large scale of cubic thought comes to manifestation of new reality as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formative work where man can exist in with use of unartistic material and structure of cubic space based on free variation and innovation. In the stream of modern art, the installation that appeared a new expressional mode takes on a character of art just as the moment when once installed in exhibition or natural environment, then removedoes. The modes are classified into hanging, grounding, standing, setting and flying, these works can be classified again into the works that make use of wall, floor and ceiling as physical condition in the exhibition hall, the works that make use of the whole of the exhibition hall and the works that make use of the whole of the outerior environment, according to kinds of space where they are installed. The installation in the modern fiber art produces an 'atmosphere art' through environmental-oriented space exploration. It develops audience-participating space exploration. It develops audience-participating elements to go onto participation art, This develops so even up to earth art and conceptional art. Also mobilizing the engineering position of aduvanced science it involves various complexive elements that direct the engineering art manifesting scientific environment. Through fiber has some weakpoint's as environmental modeling, it introduces processing of fiber face or industrial material, hence a need of some material of newer meaning. And installations in everyday life easily seen in our surroundings can suggest artists newer and innovative methods. Fiber art, as the more dynamic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it has rather than other artistic objec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widening the rangs of it as the formative art of the future by newly varying environments and grouping for a limitless formative potential possi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1 C. 연구의 방법 = 2 Ⅱ. 인스탈레이션의 형성과 전개 = 3 A. 인스탈레이션의 개념 = 3 B. 인스탈레이션의 형성 = 4 C. 표현양식으로서의 인스탈레이션 전개 = 8 Ⅲ. 현대 섬유예술에서의 인스탈레이션 = 16 A. 현대 섬유예술의 개념 = 16 B. 환경 섬유예술로의 변모 = 17 C. 섬유예술의 환경조형성과 인스탈레이션 = 21 Ⅳ. 현대 섬유예술의 표현양식으로서의 인스탈레이션 = 26 A. 매달리는 유형(hanging) = 26 B. 놓이는 유형(grounding) = 30 C. 세우는 유형(standing) = 31 D. 세팅 유형(setting) = 34 E. 띄우는 유형(flying) = 38 Ⅴ. 결론 = 56 참고문헌 = 59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351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섬유예술-
dc.subject표현양식-
dc.subject인스탈레이션-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현대 섬유예술의 표현양식으로서의 인스탈레이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stallation as Expressional Mode in Modern Fiber Art-
dc.format.pagex, 63 p. : 도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