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채정희-
dc.creator채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13-
dc.description.abstractStudents need empirical learning which results from the interests on basic formative beauty and self-attempt on research in design learn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learning effects in accordance which a small group discussion method and a model drawing method through analysis and observation in a plane design learning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fter dividing the 720 seco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into empirical and non-empirical classes, empirical classes were formed into many small groups again. And the students of empirical classes analyzed Korean cabbages, western cabbages, corns with variouspoints of views and discussed the special features they observed and gave them into shape. The influence on expressive learning was measured through these empirical teaching processes like analysis, discussion and shaping. The following was the results of the opinions on the empirical learning after distributing the written inquire to the students of empirical classes. 1. The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Both boy and girl students of empirical classes got much better degress than those of non-empirical classes in evaluation. They also excelled others in basic drawings, transmissive effects of subject, constructions, colorations. These two things verified the effects of empirical learning. 2. The Analysis of the Writtern Inquire on an empirical learning. The Writtern Inquire showed that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great interests on a plane design learning and they favored a small group discussion method. This also showed enpirical learning method, such as severance, analysis and enlargement of a subject matter,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it so an assumption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in art education of middle school will in-prove the learning effects was approved.;학생들은 구성학습에서 기초적인 조형미에 관심을 두고 스스로 탐구하는 경험적 학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과 평면 구성의 표현학습에서 그룹별 토론방법과 실물을 직접 분해하여 관찰하는 지도방법에 따라 변화되는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중학교 2학년 남 · 여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실험반으로 나누어, 실험반 남 · 여학생 각 3학급을 소그룹으로 편성하여 소재인 배추, 양배추, 옥수수를 직접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해하고 관찰특징을 서로 토론하고 분석한 다음 형태를 구체화시키는 지도과정이 표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반 학생들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실험학습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학습효과 분석 성적평가에서 실험반 학생이 남 · 여 모두 비실험반보다 현저하게 높았고, 관점별 성적비교에서도 도형 (밑그림), 주제의 전달효과, 화면구성, 배색 모두 실험반이 비실험반보다 높게 분포되어 실험학습의 효과가 나타난 것을 실증하여 준다. 2 . 질문지 분석 남 · 여학생의 평면 구성 학습에 대한 흥미도는 높게 나타났고 소그룹별로 토론하게 하는 학습형태 결과 효과가 있었다는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재를 직접 절단 · 분해 · 확대하는 실험학습 방법은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지도방법의 개발에 따라 학습효과가 향상되리라는 가설은 검증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필요 = 1 B. 연구의 목적 = 1 C. 연구의 내용 = 2 D. 연구의 방법 = 2 Ⅱ. 중학교 미술교육과 구성 학습 = 19 A. 중학교 미술교육의 본질 = 19 B.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중요성 = 22 C.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방안 = 34 D. 구성 학습 = 37 Ⅲ. 평면 구성학습의 표현효과 = 43 A. 학습효과 분석 = 43 B. 질문지 분석 = 48 Ⅳ. 결론 = 56 참고문헌 = 58 부록 = 60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14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구성학습-
dc.subject지도방법-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중학교 미술과 구성학습의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ng Learning of form in Basic design : in the Middle School Art class-
dc.format.page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