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昭映-
dc.creator朴昭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63-
dc.description.abstractA textbook, as a basic tool of learning, realizes the purpose of curriculum.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s are also the basic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carefully selected and simplifi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stage of learners. Accordingly, they should show faithfully the educational view which is being emphasized through the curriculum, suggest the structure of historical knowledge, and have sufficient contents with the structure that helps the learners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solve a problem.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textbooks to see whether the current 5th curriculum is adequately reflected in them. Especially, I wanted to verify if there is any evident distinction between, the junior-highschool textook and the senior-highschool textbook. Through the analyses, I found both of them followed the curriculum in their structures. but couldn't see obvious differences in their contents. For one reason, it is difficult for the current textbooks to contain all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because they are authorized by the state. For another, in our entrance-exam oriented history classes can't be achieved the ideal fruit of history education. Consequently, when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fundamentally, tru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will be done.;학교 수업의 기본 도구인 교과서에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지도 내용이 구체화되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현재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가 제 5차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학교급별 계열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고 국사 교과서의 교과목표와 내용을 간단히 살펴 본 후, 구체적인 교과서 분석을 하였다. 교과서의 분석내용은 교과서의 분량에 따른 시대별 비중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내용별 분석을 통한 영역별 비중도를 비교 분석하고, 등장 인물과 특정 내용 서술의 분석을 통하여 중·고 국사 교과서의 학교급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각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와 역사지도를 중심으로 한 학습 자료 분석을 통해 교육적 배려도 조사하였다. 특히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중·고 교과서가 해당 학생들의 역사의식 발달을 바탕으로 학교급별의 계열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반복 학습의 교재가 아닌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한 참신한 교과서로서 역할을 충분히 다하는가를 확인하고 몇 가지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는 중·고 교과서는 교과 체제에 있어서는 학교급별간의 차이를 두고자 하는 교육과정에 따르고 있었으나, 내용상에서는 각각의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중·고 교과서의 편찬진의 상호 교류와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관심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내용이 미흡하나마 제 6차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이나 새로운 교과서가 편찬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2 C. 연구의 한계성 = 3 Ⅱ. 교육과정과 학교급별 계열성 = 4 A. 교육과정과 교과서 = 4 B. 국사과 교육과정과 계열성의 문제 = 5 1. 국사 교육의 목표 = 5 2. 국사과 교육과정의 계열성의 문제 = 5 3. 중ㆍ고등학교 국사교육과정의 교과목표 및 내용 비교 = 7 Ⅲ. 국사 교과서의 분석 = 15 A. 체제와 조직 비교 = 15 B. 내용 분석 = 17 1. 시대별 비중 = 17 2. 영역별 비중 비교(소항목 분석) = 20 3. 등장인물 비교 = 23 4. 연대 비교 = 33 5. 특정 내용 서술 비교 = 37 C. 학습 보조 자료 분석 = 49 1. 삽화 = 51 2. 역사지도 = 56 Ⅳ. 결론 = 60 참고문헌 = 65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59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고등학교-
dc.subject국사교과서-
dc.subject중등학교-
dc.subject계열성-
dc.title현행 중·고등학교용 국사교과서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교급별 계열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Junior and Senior Highschool History Textbook-
dc.format.pagev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