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향수-
dc.creator임향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1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115-
dc.description.abstract공예란 인간생활을 위한 연구와 계획이고 삶을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그것은 미적욕구와 사용하는 데 쾌적감을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특히 도예는 우리생활에 필요한 공예중의 하나로서 그의 창작과정에 있어 기능성과 심미성은 형태를 구성하는 중요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 개인의 의식이나 취향에 의해 변모 발전하고 있는 한국현대도예의 조형적 특성과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기능성과 심미성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의 도예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예와 형태, 도예의 기능성, 도예의 심미성에 관한 일반적 개념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전 제10회부터 30회까지, 미술대전 제1회와 2회를 포함시킨 23년 동안에 출품된 도예작품을 기능적인 것과 심미적인 것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도예작품의 경우 물레성형을 위주로한 형태로 기능에 충실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점차 실용과 장식을 함께한 형태로 변모하여 기능적 도예작품이라 할지라도 심미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부 작가에 의해 제작되었던 심미적 도예작품은 이제 여러각도에서 도자의 활용도를 모색하여 다분히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모습으로 기법에 있어서도 물레성형 뿐만 아니라 코일링 (Coiling), 판형, 석고형등 실험적 시도에 의해 개발된 다양한 양식으로 器라는 용도적 의미로 한정되었던 도예의 영역을 확대시켜 나아가고 있다. 세째 : 70년대 부터 도예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면서 국전에 출품된 공예작품의 40%이상이 도예작품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도예인 들의 증가 추세는 우리 환경이 기계화되고 획일적인 상품에 싫증난 생활에서 도예는 다른 조형예술과 달리 우리생활안에서 물질적 충만과 정신적 생활을 풍요롭게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네째 : 균제와 불균제는 도예의 기능성과 심미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도예의 형태가 균제라 해서 꼭 기능적일 수 없으며, 불균제가 감각적 美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 불균제 형태의 경우 심미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한국현대도예는 전형적인 형태에서 개성있는 형태로 기능보다는 조형성을 강조하는 독창적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도예의 영역을 확대시켜 나아가고 있다.;As a study and a plan for the human life and a technical means to the living, craft shall give satisfaction to the aesthetic desire and pleasure for use. Especially, as a field of craft closely related to the human life, the functional and aeshtetic character of the ceramic art may be an important factor for constituting the form in the course of pottery creation. This study, therefore, deals with the future trend of ceramic art by understanding the formative character and transitional process of the Korean contemporary ceramic art, which has been modified and developed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ime, environment, the consciousness and preferrence of individuals, and by the examination of its functional and aesthetic charact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general concepts on ceramic art, form, functional and aesthetic character of ceramic art have been widely reviewed through the references. Following the above study, comparis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character of ceramic art, based on the works of the past 23 years displayed in the 10th to the 30th National Exhibition of Art including the firs and the second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observed that a great emphasis has been given on the aesthetic character with the practice and decoration oriented form, while in the past on the functional character with the form used the potter's wheel, even for the functional works of the ceramic art. Secondly, aesthetic pottery made by some potters enlarged the realm of the ceramic art limited merely to a vessel through the spatial and formative configuration with its application in several aspects, and a variety of method developed by the experiment attempts with the form used potter's wheel, coiling, plate, plastic. Thirdly, it was observed since 1970, the number of the pottery displayed in the National Exhibition of Art was more than 40% of the craft and its percentage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uch increase in the number of potters na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ceramic art can give the material fulfillment and mental comfort to human life, where the mechanical civilization and the standardized goods prevail, in comparison with the formative arts. Fourthly, even though symmetry affects the functional character of the ceramic art as well as asymmetry does the aesthetic character, the symmetric form of pottery is not necessary to mean the functional character of the ceramic art and asymmetric form does not emphasize the aesthetic character. But the majority of the asymmetric form have been pursuing the aesthetical character. The Korean contemporary ceramic art are enlarging its realm through the modification from the typical to diverse form and the emphasis on the creative aspect Instead of functional charac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생활과 공예 = 4 B. 한국도예의 변천 = 5 C. 도예와 형태 = 9 D. 도예의 기능성 = 15 E. 도예의 심미성 = 22 Ⅲ. 한국현대도예의 형태분석 = 32 A. 균제형태의 분석 = 33 B. 불균제 형태의 분석 = 36 C. 기능성과 심미성의 비교 = 39 Ⅳ. 결론 = 51 참고문헌 = 53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04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현대도예-
dc.subject형태분석-
dc.subject도예-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한국 현대도예의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능성과 심미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NALYSIS OF FORM IN KOREAN CONTEMPORARY CERAMIC ART-
dc.format.page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