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itle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미술학습동기와 미술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BAE Program Up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rt Study
Authors
박종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학습동기미술학업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교육에서 DBAE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미술 학습 동기와 미술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미술 단원 중 '심상 표현' 분야에 대한 DBA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학생들 200명으로 하였으며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에서는 본 연구자가 DBAE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발한 통합적인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 집단에서는 표현력, 창의력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을 7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미술 학습 동기와 미술 학업 성취도(미술 감상력, 미술 표현력, 미술 지식 이해 수준) 변화의 측정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Croup Design)에 기초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BAE 프로그램은 전통적 수업 방법보다 학습자의 미술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둘째, DBAE 프로그램은 전통적 수업 방법보다 학습자의 미술 감상력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셋째, DBAE 프로그램은 전통적 수업 방법보다 학습자의 미술 지식 이해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넷째, 미술 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는 DBAE 프로그램과 전통적인 수업 방법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현재 미술 교육의 목표가 문화의 소비자를 키우는 교육이라고 할 때,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DBAE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흥미와 미적 안목을 높이고 미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술 교육 현장에서 DBAE 프로그램을 더욱 많이 개발하고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미술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생활의 모든 곳에서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의지와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BAE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program up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rt study. For this I developed DBAE program for the subject of "expression of mental image," the core of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and applied it to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girls' high school students, of whom constituted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with 100 students respectively. The DBA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for the comparison group. To test the effect of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upon the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ere employed, an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were tes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BA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o enhance the academic motivations of the students. Second, the DBA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o improve appreciative power of the students in art study. Third, the DBA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in art study.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he DBAE program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program to improve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students in art study. Based upon these findings I would suggest that various kinds of teaching program based upon the DBAE should be developed more and introduced positively in the classroom teaching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motivation and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major purpose of the art education is to bring up the consumers of culture,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DBAE program in the art education is urg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