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세희-
dc.creator윤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3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are ethics with the focus on Carol Gilligan and Nel Noddings and conduct a study on how care ethics can be applied in school ethics course. The most serious malady of korean education is that university entrance comes before everything else. In this educational climate, the only thing students are interested in is how can get a good grade. The education is producing student with bighead but without warm hearts. In one phrase, basic character and ethics education is not being given properly. The Cognitive Moral Development Theory that centers on Lawrence Kohlberg, who had formed the main stream in 60's and 70's, set the goal of Moral educ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make moral judgments and power to reason. As the result, the affective subjects such as caring as others, sympathy, love and responsibility have been managed carelessly. The one who pointed out problems of cognitive moral education of Kohlberg's and advocated care ethics is Gilligan. Gilligan criticizes that Kohlberg's method of study contains prejudices. Gilligan emphasizes that the voice of caring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voice of justice does exist. The contents of women's ethics are warm-heartedness and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oriented. She assumed the care ethics to develop through 3 levels and 2 transition periods. Noddings accepted Gillgan's standpoint on care ethics and developed care ethics in the sense of ethical studies even further. Noddings criticizes the existing ethics have evaluated care ethics that incorporates female characteristics to be minor. Gilligan and Noddings reveal that care ethics was designed to make a better world and find greater meaning, and it is never an ethics for women only. This paper does not stop at making a theoretical study on care ethics. In the university entrance centered climate of education. students see their friends whom they were to open their minds to as their competitors. In order to build a warm society where people live in harmony, caring for others is more essential than ever. I have deeply considered on what alternatives there could be in school ethics text book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in school education. And as an alternative, I have come to study a plan that applies theories on care ethics in school ethics. As a scheme to teach care ethics in school. I have applied two types of models - care linking home model and reflective care model - to the ethics textbook. The ethics education methods Noddings said, modeling, dialogue, practice and confirmation namely, were used in class at appropriate times. The result of teaching classes with care model, the possibility was shown that in the classes where care ethics was applied to school ethics course can bring development in ethics in care ethics. Care linking home model is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will to practice care ethics. It is thought that when class and home are conducted using care linking home model. it gives the chance to those who care to grow in character. In other to prevent students' care activities from stopping at simple experience, ethics teacher should link the care activities with home; especially care ethics education in his/her teaching. Although care linking home model and reflective care model were applied as a scheme to apply care ethics in school ethics course, one cannot say that these models is everything about the method of education to teach care ethics in field. I believe that dialogue study and role-play is also some of the appropriate methods to apply care ethics. What results the classes that apply care ethics in ethics course will bring in the student's development of ethics remains as a study assignment. \ In addition, establishing a plan to develop parameter to evaluate affective factors in care ethics is required. In order to apply care ethics to school ethics course, classical literature, newspaper, comics, animation, role-play and photographs can be used. Also, one should not limit the application of care ethics in school ethics course to classrooms, and consider linking it to home and society. Above all, teachers must teach students not to stop at ′knowing ate caring is' but to ′one who cares for others.' In order to achieve this, teachers first have to be those who care and endeavor to develop open relationship with students.;7차 교육 과정 상의 도덕과 교육 목표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인 예절과 중요한 도덕적 가치 규범을 합리적으로 이해하여 내면화를 촉진시키는 일과 도덕적 사고, 판단력을 기르는 일, 정의적 측면에서는 도덕적 가치, 규범을 존중하고 소중히 하며, 그 가치 규범으로부터 오는 당위적 명령을 의무로 받아드리고 기꺼이 따르고자하는 심성과 태도를 기르는 일, 그리고 행동적 측면에서는 도덕적 가치, 규범을 일상생활 속에서 꾸준히 실천하고 습관화 하도록 하는 일이다. 즉 도덕성의 인지, 정의, 행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강조하는 도덕성은 추상적인 도덕 원리나 규칙에 근거한 정의 도덕성에 주로 국한 되어있으며 배려의 도덕성은 배제되었고, 도덕적 원리와 규칙에 얽매여 도덕 규칙의준수를 도덕적 의무로 인식함으로써 타인의 특수한 사정이나 입장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때문에 독립적이고 이성적인 도덕적 행위자를 기대할 수는 있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사랑과 배려를 공유하면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다시 말해 자신보다는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먼저 생각하면서 타인의 어려움에 응답할 수 있는 따뜻한 가슴, 즉 도덕적 감수성을 지닌 사람을 기대할 수는 없다. 따라서 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도덕교육은 교사-학생의 이러한 ‘배려관계’를 중심으로 한 교육이 이뤄져야할 것이다. 우리는 흔히 열심히 가르치는 교사는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서 아이들의 성적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산출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학생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게 해준 것이 ‘돌보는 것’ 이라면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성적의 향상을 위해 학생들을 강압적으로 대하게 되고, 통제하게 되는 관계 즉, 학생이 교사에게 속하거나 의존하는 관계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배려’에서 요구하는 상호적인 관계가 아니다. 나딩스(N. Noddings)는 이러한 학교교육의 비판점을 토대로 학교에서의 교사-학생간의 ‘배려관계’에 주목하였고, 배려윤리와 배려윤리교육을 주장하였다. 나딩스(1992)의 배려윤리교육이론에 따르면, 배려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교사는 스스로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가져야한다. 교사의 책임을 강조하는 이유는 아이들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아이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에 깊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는 돌봄을 받는 사람(학생)의 감정이나 욕구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한다. 지식사회를 살고 있는 현 사회에서 교사가 ‘아는 사람’으로서 지식을 가르치는 행위는 교육의 일부가 되고 있다. 교사는 정해진 지식이나 가치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대화에 끌어들임으로써 그들의 요구, 학습 습관, 흥미, 재능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들의 과목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하지만 학생들의 흥미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주제들을 흥미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뤄줘야 한다. 예를 들면, 도덕시간에 도덕적 학습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과학, 역사, 예술, 시사문제 등을 끌어와 삶의 문제와 연관시킨 수업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도덕과 수업의 인성교육에 있어서도 도덕적 덕목에 대한 주입이 아닌 ‘배려’와 ‘돌봄’의 관계를 통한 수업방식은 좋은 토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교사들은 지속적으로 학생과 접촉하는 일, 학생을 보고 듣고 함께 공부하고 함께 생활하면서 학생들이 성숙한 도덕적 인간적으로 얼마나 발전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나딩스의 배려윤리교육을 토대로 논자는 배려윤리교육이 현 도덕과수업에 적용되고 있는 수업모형인 ‘배려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나딩스의 배려모형에 근거한 교수·학습방법이 통합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한 한계점에 주목하여 배려윤리교육공동체로서의 도덕과 수업모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대표적인 배려윤리교육공동체교실의 구체적 수업모형으로 기존의 배려모형과 가정연계모형을 합쳐 학교와 가정이 연계될 수 있는 가정연계배려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모형으로는 반성적 배려학습모형을 제시하여 기존 배려모형의 실제적 경험을 제공해주는 것 외에 ‘반성적 사고’를 통해 배려연습에 더 수월하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대안적 배려학습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기법으로 ‘평화의 거리’와 ‘치료의손’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배려학습모형으로서 활용 가능한 교수기법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 = 2 Ⅱ. 배려윤리학의 배경 = 3 A. 배려윤리의 이론적 배경 = 3 1. 배려윤리에 대한 요청 = 3 2. 배려(Caring)의 의미 = 4 B. 배려윤리와 정의윤리의 비교 = 5 C. 길리간의 배려윤리 = 6 1. 정의도덕성론에 대한 비판 = 6 가. 콜버그의 도덕성 연구 = 6 나.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론에 대한 비판 = 7 2. 정의의 도덕성과 배려윤리 = 8 가. 두 도덕성의 특징과 차이 = 8 D. 나딩스의 배려윤리 = 9 1. 배려 윤리의 윤리학적 특징 = 9 가. 여성 윤리로서의 배려 윤리 = 9 나. 서양 전통 윤리학 비판 = 10 다. 관계 윤리로서의 배려 윤리 = 10 2. 배려하는 사람과 배려 받는 사람 = 11 가. 배려하는 사람 = 11 나. 배려 받는 사람 = 12 다. 배려의 범위와 의무 = 12 3. 자연적 배려와 윤리적 배려 = 13 Ⅲ. 나딩스의 배려윤리에 기초한 도덕 교육론 = 14 A. 도덕교육의 목표 = 14 B. 도덕교육의 방법 = 14 1. 본보기(modeling) = 14 2. 대화(dialogue) = 15 3. 실천(practice) = 15 4. 인정하고 격려해 주기(confirmation) = 16 Ⅳ. 기존 도덕과의 배려수업모형 = 16 A. 배려모형 = 17 1. 개념 및 이론적 배경 = 17 2. 도덕과 수업에서 활용상의 유용성과 유의점 = 18 3. 배려모형의 구조 및 운영방안 = 20 4. 배려모형의 도덕과 적용의 한계 = 21 Ⅴ. 배려윤리교육공동체로서의 도덕과 수업모형 = 22 A. 배려윤리교육공동체로서의 두 가지 수업모형 = 23 1. 가정연계 배려학습모형 = 23 가. 도덕과에서의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 23 나. 수업모형의 구조 및 적용 = 24 1) 일반적 절차 = 24 2) 모형의 세부 적용 과정 = 24 3) 수업지도안 = 25 2. 반성적 배려 학습모형 = 26 가. 도덕과에서의 활용상의 의의와 유용성 = 27 나. 수업모형의 구조 및 적용 = 27 1) 일반적 절차 = 27 2) 모형의 세부 적용 과정 = 29 3) 수업지도안 = 30 B. 배려모형 기법 = 32 1. 배려모형 기법1 : 평화의 거리 = 32 가. 개념 및 의의 = 32 나. 적용방법 = 33 다. 예시 및 참고자료 = 34 2. 배려모형 기법2 : 치료의 손 = 34 가. 개념 및 의의 = 34 나. 적용방법 = 35 다. 예시 및 참고자료 = 36 라. 수업활동 후 학생들의 소감 = 37 Ⅵ. 결론 및 논의 = 38 참고문헌 = 41 부록 = 43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13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70-
dc.title배려교육공동체로서의 도덕과 수업모형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aching Model for Community of Caring Ethics Education-
dc.creator.othernameYun, Se Hee-
dc.format.pageⅸ,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