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수-
dc.creator김미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8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02-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사회는 정보화·세계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패러다임도 수요자 중심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과 학습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2001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을 추구하고 정보화·세계화 시대의 사회를 주도할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제7차 교육과정의 정신을 반영한 새로운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이번에 새롭게 개정된 고등학교 1학년 국사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판형이 커지고 종이의 질이 더욱 좋아졌으며, 선명하고 큰 다양한 천연색 사진과 지도, 도표, 그림 등의 자료가 많이 들어가게 되었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에서 역사지도, 연표, 도표, 사료, 실물, 영상자료 등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스스로 역사를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라는 현행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과거의 국사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교과서는 가장 경제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자료인데, 그중에서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는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탐구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학습자료이다. 이러한 삽화들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며, 교과 본문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언어나 문장을 통해 얻은 지식보다 휠씬 오래 지속되며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게 재경험·재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력·탐구력·비판력 등 역사교육의 당면과제인 역사적 사고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교과서 삽화가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수록 자료들의 정확성과 적절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6, 7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서에 게재된 삽화의 양적인 비교 분석과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제시 방법의 변화와 적절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먼저 삽화의 개념, 선정 등을 중심으로 삽화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삽화의 시대별, 영역별, 유형별 통계 분석을 통해서 전체적인 균형 및 적절성과 국사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내용분석에서는 삽화의 유형별로 6차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7차 교과서에서의 변화 여부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7차 교과서 삽화는 설명과 해설이 보강됨으로써 학습자들의 이해를 도왔고, 유형별로는 과거에 지적되던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7차 국사교과서는 많은 삽화를 게재하여 교과서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했지만 삽화의 정확성과 적절성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삽화는 글로 전달할 수 없는 심화·보충 자료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습 흥미를 일으켜주고 이해력을 증진시켜주는 자료로 교육적 가치와 효용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적인 보완과 개선을 한다면 교과서 삽화는 보다 효과적인 역사학습을 위한 가장 손쉽고 가장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가 될 것이다.;The 21st century is called the Information Age also characterized by worldwide globalization trend. To stay abreast with social shifts, client-centered education that aims for enhancing creative thinking faculty and learning capability is increasingly stressed,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a have gradually been executed since 2001.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in the curricula is that they are in pursuit of learner-centered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intend to teach students to take initiative in future society and have a good citizenship. To be in line with the intent of the curricula, new textbooks are produced. Specifically, new national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grade 1 is a far cry from the existing one, as it is larger in size, have better-quality papers and contains a variety of bigger and vivid materials, such as color photographs, maps, diagrams and pictures. Since the current curricula call for various types of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historic map, chronological table, graph, realia and audio-visual data, to draw attention from learners and enable them to inquire into history on their own, the textbook is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 and excel the past one. Textbook is the most economical and systematic learning material. And illustration data included in it are one of the useful visual materials to stimulate learner interest and facilitate inquiry learning. They could provide motivation to students,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class and offer much more sustainable knowledge than spoken or written language could do. Furthermore, students will be given more realistic opportunities to reexperience and reinterpret historical facts, and they will be able to have a critical mind and historical facts, and they will be able to have a critical mind and historical thinking faculty, such as interpretation and inquiry process skills, which is one of the major takes in history education. To make textbook illustration materials work properly, it's needed to increase their accuracy and adequ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llustration data in the new 7th national history textbook, compare it with the 6th one and determine its relevance, in an effort to find out what problems it faced and in which way better illustration data could be inserted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For that purpose, the concept, selection metho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llustration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era, area and type to see whether the illustration data in the 7th textbook were well organized and appropriate and to what extent it was faithful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a. For content analysis, the 7th and 6th textbooks were compared by type of materials to figure out how much change the 7th one made and what problems there were. As a result, the 7th textbook was found to offer more detailed caption and comment for better learner understanding and try to eliminate the problem pointed out in the past about the type of illustration materials. The textbook was of greater use by presenting a lot of illustrations, but their accuracy and adequacy weren't yet fully guaranteed. The educational merit and usefulness of illustrations are very great since they provide learners with enriched supplementary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convey in written language, and could eventually raise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learners. If there are sustained efforts to prepare better illustrations, the use of illustration data will be the easiest and surest way to make history class successfu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한계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삽화의 개념 = 6 B. 삽화의 선정 = 8 C. 삽화의 기능 및 교육적 효과 = 10 Ⅲ. 국사교과서 삽화의 계량적 비교 분석 = 14 A. 삽화의 지면배분율 = 14 B. 시대별 비교 분석 = 16 C. 영역별 비교 분석 = 19 D. 유형별 비교 분석 = 21 Ⅳ. 국사교과서 삽화의 의미 분석 = 23 A. 종합적 분석 = 23 B. 사료 = 32 C. 사진 및 회화자료 = 37 D. 참고자료 = 39 1. 역사지도 = 39 2. 연표 = 45 3. 도해 및 통계자료 = 46 D. 인물자료 = 47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4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941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제7차 교육과정-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국사교과서-
dc.subject삽화-
dc.title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삽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