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 미술 교과서 구성과 감상에 관한 연구

Title
제7차 교육과정 미술 교과서 구성과 감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a Composition and Reference Works of the Art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 Especially on 3 ~ 6 school year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홍진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제7차 교육과정미술 교과서구성감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도부터 학년별로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람의 육성'이라는 시대적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 학생의 능력과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제7차 교육 과정의 성격을 바탕으로 미술과에서는 심미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상상력과 창의력, 비판적인 사고력을 기르며, 미술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 특징적인 것이 시청각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제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것과,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시청각 매체의 활용은 교재의 중요성을 말해주며,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생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Vygotsky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즉, 제7차 미술과 교육 과정에 따른 수업은 다양한 자료와 함께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에서 실현되는 데 필요한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과용 도서와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설문조사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학습의 촉진과 안내를 위해 미술 교과서는 무엇보다 동기 유발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작품으로 표현하고 싶은 동기가 충분히 유발될 때 창의적인 작품의 표현이 가능해지기 때문인데, 동기 유발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감상 작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분석 연구의 방법으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교과서의 내용과 참고 작품을 알아보았고,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돌마 초등학교 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교과서의 실태에 대한 반응과 미술 수업 준비와 교수·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운 점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미술 교과서의 내용과 교사들의 의견은 다음과 같았다.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제7차 미술 교과서는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세 가지 영역을 한 단원 내에서 통합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6차에 비해 단원의 명칭 및 구성면에서 친숙하고 다양한 용어의 사용으로 동기를 유발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미술 교과서에는 미술 용어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지 않았는데, 이에 대하여 설문에 응답한 모든 교사들이 교과서에 미술 용어에 대한 설명을 수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함에 따라 다양한 선택 표현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교사들의 78%가 표현 활동량이 많아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즉, 제7차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다양한 선택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고자 하는 현장의 노력이 사실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는 국정제로 1종 교과서만 발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 역시 한 가지의 지도서만 발행되고 있는데, 흑백으로 되어 있고 참고 작품의 크기도 작아서 교사들이 활용하는 데에 부족한 면이 많았다. 참고 작품은 주로 근·현대의 작품과 회화 작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 작품의 국적은 몇 개의 작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서양 작품이 수록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작품의 시대성과 미술의 분야, 그리고 동·서양의 미술의 특징 등에 대해 균형잡힌 시각을 형성하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설문 조사를 통해 나타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교육 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교사용 지도서 외에 다양한 교재를 개발하여야 하며, 미술과에도 학습자의 개인차에 따라 교육할 수 있는 심화·보충형의 수준별 교육과정이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미술 교사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사 연수와 전문적인 교사 양성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미술 교과서에는 시대, 분야, 국적, 표현 내용별로 균등하게 감상 작품을 수록하여 학생들이 균형잡힌 역사의식을 갖고 미적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에 미술 용어에 대한 설명을 수록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다양한 교재의 개발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함양 연구 등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e 7th Curriculum was started step by step in each school year since 2000. Its main purpose is to meet contemporary needs of 'Bringing up autonomous and creative person who can lead global and IT ages in 21th century' based on extending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and practicing learner-oriented teaching for student's ability, aptitude, and direction. Fine Art department also emphasis on making aesthetic attitude, grow imagination, originality, and critical thinking power and bringing up the whole man who can understand, inherit, and develope the value of Fine Art culture. The 7th Fine Art Curriculum present teaching-lesson method for the above purpose. There are two main feature that recommend preparing various material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emphasis on learner-oriented self -leading learning. Utilizing audiovisual material shows the importance of textbook and self-leading lesson has same meaning of Vygotsky's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at the point of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to help students to learn by themselves. That is, teacher's role and various material is very important in a lecture of the 7th fine art curriculum.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analyzed a textbook which is used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7th curriculum at field and survey teachers about textbook and lecture and finally investigating the efficient operation method of a curriculum and a textbook. Fine art textbook should be consisted especially for motivation because full motivation to express into work can make creative work. The work for appreciation is most important for motivation. Therefore, we analyzed a textbook and reference works from 3rd to 6th school year and surveyed teachers from DOLMA elementary school to get a response of a textbook, difficulties in lecture preparation, and teaching-lesson process. As the result of survey, problems are the lack of teaching time caused by excessive expression activities, the differences of children, lack of materials, and lack of the quality of teachers We proposed several methods as following to resolve problems and operate curriculum efficiently. First of all, various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Classified curriculum for each level such as intensive course or auxiliary course should be introduced for cov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so. In addition, the training of art and teaching-lesson method should be given systematicall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Reference works should be selected among various ages and it makes students have a balanced historic consciousness to various ages. Including Fine Art terminology in a textbook to guide self - leading lesson. I hope this study can help to developing various teaching material, classified curriculum for each level, and improving professionality of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