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학급문고를 이용한 다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독해능력 및 독해속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문고를 이용한 다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독해능력 및 독해속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ustained Silent Reading through Graded Readers and Its Effect on the English Reading Ability and Reading Speed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문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학급문고고등학교영어독해능력독해속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국제화·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수많은 정보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있다. 이렇게 매일매일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적절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빨리 읽고, 정확히 이해하는 독해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영어 읽기 수업은 주로 교사의 통제 아래서 학급 전체가 동일한 교재를 동일한 속도로 읽게 함으로써 학습자 개인별, 수준별 읽기가 제공되지 못했다. 또한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무시한 채 어렵고 생소한 짧은 글 속에서 개별적 어휘 학습과 문제를 풀기 위한 정확한 문법 중심의 교육이 대부분이었다. 즉, 이러한 수업 방식은 폭넓은 독서 활동과 빠른 속도의 독해 능력 향상 목적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학습자 자신의 이해 수준과 관심사를 고려하여 스스로 읽기 자료를 선정하고 독서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영어 읽기를 통해 자연스럽고 점진적으로 영어를 습득하고 나아가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취사선택 할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을 고려한 자발적인 읽기인 다독을 통해서 학습자의 독서 동기를 자극하여 영어 읽기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많은 양의 독서를 통해서 독해 능력뿐만 아니라 독해 속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시 소재의 D고등학교 2학년 2학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실험 집단에게는 학급 문고를 이용하여 다독하게 하고, 통제 집단에게는 주어진 하나의 지문을 읽고 정독하고 질문을 풀고 확인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독해 능력 및 독해 속도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 및 독해 속도의 향상을 살펴보고, 사전·중간·사후 설문과 사후 개별 면담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속독 저해 요인과 속독 전략의 사용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실험집단에게 다독에 관할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다독에 관한 태도와 반응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문고를 이용한 다독이 실험 집단의 독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 독해력 차이가 유의하지 않으므로, 학급 문고를 이용한 다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더 나은 독해력을 갖게 되었다 고 보기 어렵다. 상·하위 집단별 비교 역시 실험·통제 집단 모두 독해력이 향상되었으나 상·하위 집단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급 문고를 이용하여 다독한 실험 집단이 정독한 통제 집단에 비해 독해 속도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독한 상·하위 집단 모두 정독한 상·하위 집단에 비해 독해 속도가 향상되어, 학급 문고를 이용한 다독은 학습자의 독해 수준에 관계없이 독해 속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실험 집단 내에서는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더 많은 향상을 보임으로써, 다독이 상위 집단 학습자의 독해 속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책을 선정하고, 자유롭게 많은 양의 책을 다독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는 것은 독해 속도 향상에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상·하위 집단별 실험·통제 집단간 속독 저해 요인과 속독 전략 사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상위 집단에서는 퇴행·고착·단어별 끊어 읽기에서, 하위 집단에서는 퇴행 요인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 속독 저해 요인 사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속독 전략 사용에 있어서는 상위 집단은 예측하기와 요지 훑어읽기, 하위 집단은 예측하기 전략 사용에서 실험·통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다독을 통해 속독 저해 요인 사용의 빈도를 줄이고, 속독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독해 속도의 향상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넷째, 실험 집단의 다독에 대한 태도와 반응 설문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 읽으면서 영어로 읽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나타냈고, 다양한 문화 경험 및 풍부한 배경지식을 접할 수 있었기에 영어로 읽는 것이 즐거운 활동이라는 긍정적 사고가 형성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우리나라 영어 읽기 교육에 대한 제안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시간이나 수업 밖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독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많은 양의 책을 통해 독서 동기가 고무되고, 영어로 독서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독과 같은 활동을 통해서 흥미롭고 다양하고 풍부한 읽기 자료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단순한 영어 학습이 아니라,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영어 읽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재빨리 의미를 파악해낼 수 있는 속독의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속독하기 위한 전략을 학습하고 다양한 읽기 자료를 통해 속독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다독 활동을 효율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다독 활동을 교과 과정에 어떻게 통합시키는가에 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방법은 현재 읽기 과정의 일부로서 수업 시간에 일정 시간을 할애하여 학급 전체가 독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한 것으로, 독서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어서 충분한 독서 경험을 하지 못했다는 학습자들의 지적이 많았다. 즉, 독서시간과 읽기 자료의 부족 등 많은 운영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독 프로그램을 교사, 교수요목, 교실, 교재 등이 체계적이고 유기적으로 갖춰진 독립된 읽기 과정으로 운영해보거나, 보충수업 반의 형식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정도에 따라 운영하는 등의 다양한 구성·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21st is the age of information. So, to select and use information efficiently, it is important to read fast as well as comprehend. However until now, in the English class, there are few opportunities to rea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students ' level and interest. Because students read the s m e text at the same reading speed. This teaching method can not motivate students' reading and develop their reading speed. Therefore reading lessons in the English class should help learners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read materials that they choose for themselves, and to develop the reading ability to select and read fast what they really need.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ustained silent reading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speed of students through graded reader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how reading habits(factors) and reading strategies affects on the change of reading speed and how students respond to sustained silent rea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ty eight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 the lower level and the upper level.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elve weeks. During that time, the experimental group read extensively graded readers for about 10 minutes per class, four times a week. Graded readers consisted of 50 books that had the various levels and theme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read the materials intensively that were short and a little difficult. To compare the reading ability and reading speed, the pre-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Furthermore, to investigate how the speed reading habits(factors) and reading strategies affected on the reading speed and how students responded to sustained silent reading, subjects were given the questionnaires three times and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fter the instruction.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experimental group didn't indicate more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in reading ability, although i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after sustained silent reading. In addition, all sub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indicate more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experimental group in upper level showed not significant but a little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post-test. Second, sustained silent reading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reading speed than intensive reading. Furthermore, both the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ub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reading speed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reading speed increase of the upper level! was more than that of the lower level. Third, through sustained silent reading students can improve reading speed by decreasing the habits as regression, vocalization, fixation and reading word by word, and by using the strategies as predicting, skimming and scanning. Fourth, through sustained silent reading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improvement in interest, confidence and learning attitude in English.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motivated and read for pleasure, SO that they can read books voluntarily. Therefore teachers should introduce various reading materials into the class and to help students to read extensively. Second, students are required to learn English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search the information. So, they need to improve reading speed by using efficient reading strategies and reading many materials. Third, it is important to provide to explicit guidance on how to integrate extensive reading into the curriculum. So, the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curricular issues about how extensive reading might be included in a variety of second language classrooms, courses, and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