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관계

Title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Authors
허서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nd the commitment to teach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entioned above, the specific purposes were set up as follows; 1. How is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1-1. Is it affected by the career of the teachers? 1-2. Is it affected by the sex of the teachers? 2. How is the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2-1. Is it affected by the career of the teachers? 2-2. Is it affected by the sex of the teacher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nd the commitment to teaching? The posted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on survey research for 301 teachers among 11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province.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kinds of questionnaire were used. One is a CDEBI(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Milson, A. J.) for surveying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The other is a CTQ(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No, J. H.) for surveying the teachers' commitment. The second was reform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CDEBI has two variables which are general teacher efficacy and personal teacher efficacy. Each has twelve questions. CTQ has three variables which are a sense of professionalism, affection for teaching, ardor. Each has five questions. The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Frequencies analysis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nd the commitment to teaching was investigated by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i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by caree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by teacher's sex. 2. There was difference in only affection for teaching of four variables of commitment for teaching by career. According to the teacher's sex, there was difference in all variables of commitment for teaching except a sense of professionalism whose teacher's sex was the female was more higher than the male. 3.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nd the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they had positive correlation at the high level. The teachers, who highly get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have stronger commitment to teach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monstration of relationship, which explains synthetically how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and influence on the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n educational significance by applying as an elementary character education and improving commitment to teaching.;본 연구는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높이기 위한 각종 지원과 지지적 분위기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론을 통해 초등 인성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은 어떠한가? 1-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초등교사의 교직헌신도는 어떠한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365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유효한 설문지 301부를 본 연구의 조사자료로 활용하였다.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 측정도구는 Milson(2001)이 개발한 ‘The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Belief Instrument(CDEBI)'를 연구자가 번안한 뒤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성개발 효능감의 하위변인으로 인성개발에서 일반적 교사효능감(GTE)과 인성개발에서 개인적 교사효능감(PTE)을 채택하여 각 변인당 12문항 씩 총 24개의 문항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교직헌신도 측정을 위한 질문지는 노종희(2004)가 개발한 교직헌신도 질문지(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 CTQ)를 사용하였으며, 교직헌신도 하위변인은 전문의식, 교육애, 열정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당 5문항 씩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모두 점수화하여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개발 효능감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직헌신도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직경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인성개발 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성개발에서 일반적 교사효능감(GTE)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인성개발에서 개인적 교사효능감(PTE)에서는 31년 이상의 집단(3.87)과 0-5년의 집단(3.5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경력이 높을수록 인성개발에서 개인적 교사효능감(PTE)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인성개발 효능감은 전체적으로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직헌신도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의 교직경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직헌신도는 하위변인 중 교육애에서만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헌신도는 하위변인 중 전문의식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교직헌신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전체적으로 .53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인성개발 효능감의 하위변인들 모두 교직헌신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1), 인성개발에서 개인적 교사효능감(PTE)(r=.579)이 인성개발에서 일반적 교사효능감(GTE)(r=.390)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직헌신도의 하위변인들과 인성개발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직헌신도의 하위변인인 전문의식, 교육애, 열정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육애(.466), 전문의식(.423), 열정(.352) 순의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성개발 효능감을 높여야 교직헌신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교직헌신도를 향상시켜야 인성개발 효능감이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교사는 교직에 소명의식을 갖고 임해야 할 것이며 교직헌신도가 낮게 나온 집단에 대해서는 이를 쇄신할 수 있는 내실있고 효과적인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인성개발 효능감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관한 연수를 실시하고 인성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아울러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함께 높이기 위한 인적, 물적, 행정적 지원과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초등교사에 대한 사회의 지지적 분위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정책 수립과 실행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