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병림-
dc.creator이병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98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popularity in a peer group according to age, sex, sibling and social economical status. Also, it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nd social cognition of Korean children relating to the social behaviors, by proving the usefulness of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in explaining children's sociality and social capability. Moreover, the analysis of children's associates in the class would provide the teachers with basic sources to guide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guide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give a cl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echniques. The details of research subject are as follows. I .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of children according to age, sex, sibling, and social economic status? 1. Is there 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age? 2. Is there 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ex? 3. Is there 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ibling? 4. Is there 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ocial economic status? 5. Are there any mutual effects between sex, age, sibling and social economic status in relation to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of children? Ⅱ.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opularity in a peer group according to age, sex, sibling, social economic statu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opularity concerning their 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opularity concerning theirs sex?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opularity concerning to theirs sibling?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opularity concerning theirs social economic status? 5. Are there any mutual effects among age, sex sibling and social economic status in relations to the popularity of children? Ⅲ. Does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have a correlation with popularity in a peer group? 1. Does four sub thoughts of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have a correlation with popularity?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nd popularity according to age, sex, sibling and social economic statu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35children in th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 of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as a way of measurement. Two kind of method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arily applied to measure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ne is Spivack's ICPT(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est) and the other is Pellegrini's MEPS-R, Which was modified concerning whin standards of rating and the contents of examples on the basics of Spivack's ICPT.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3groups by "Peer Nominations" to verify the popularity in a peer group: popular group, rejected group, and isolated group. Concern the statistical data processing, F-verification, T-verification, x^(2) verification and ANOVA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opularity within a peer group according to age, sex, sibling, and social economic status. Pe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4 sub thoughts of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iffered v remarkably according to their age. As a child get older,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ability became better Second, the average rate girl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boys'. However, this fact made little difference. Thirdly,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had nothing to do with the sibling or social economic status. Fourth, four sub thoughts of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lightly related to each other. Fourth sub - thoughts, that is, alternative solution thought, consequential thought, causal thought, and method - ends thought, were individually developed as children grew. It means that they played roles of indecent factors rather than mutually complementary ones. Fifthly, Children's popularity in a peer group was different between boys and girls more specifically, the rejected took relatively greater part of boys' group, and the isolated, the girls' group. Sixthly, children's popularity in a peer group had no relation with age or sailing. Seventhly, children's popularity in a peer group differ according to social economic status. Popular children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high-level group, while rejected or isolated children were found in the low-level group. Finally,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opularity proved to b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Especially, means-ends thoughts wa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on the other hand, consequential thoughts was the least. In conclusion, the children who are showing outstanding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an be said to be accepted by the peer group they belong to.;본 연구는 초등 학교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가 학년,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대인 문제 해결력이 아동의 사회성 및 사회적 역량을 설명하는데 유용한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아동에게 있어서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대인 문제 해결력과 사회적 인지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아동의 학급 내에서의 교우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아동의 대인 관계에 관한 생활지도를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요즘 한창 부각되고 있는 대인 문제 해결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에 하나의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학년,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1.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학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3.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출생 순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4.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5.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의 네 가지 하위 사고는 서로 연관을 보이는가? 6.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학년과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간에 서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Ⅱ.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는 학년 및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 아동의 인기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의 인기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아동의 인기도는 출생 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아동의 인기도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아동의 인기도는 학년과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간에 서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Ⅲ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와 의의 있는 상관을 보이나? 1.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의 네 가지 하위 사고는 인기도와 상관을 보이는가? 2.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인기도는 학년,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4개 공립 초등 학교 2, 4, 6학년 아동 총53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질문지에 의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측정 도구는 우선, 대인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해 Spivack(1976)의 ICPT(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Test)와 Spivack의 것을 토대로 채점 기준 및 이야기 내용들을 수정한 Pellegrini (1985) 의 MEPS-R을 본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를 알아보기 위해 또래 지명법(Peer Nomination)을 하여 집단을 인기아, 배척아, 고립아로 분류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학년,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대인 문제 해 결력과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F검증, T검증, X^(2)검증, 4원 변량 분석을 하였고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의 네 가지 하위 사고의 상관도를 알아보기 위 해 Pearson의 적률 상관 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학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F=.55.91", p<.001) 즉, 학년이 증가할수록 대인 문제 해결력 역시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성별에 따라 여아가 남아보다 표준 점수가 다소 높기는 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36, P > .05) 셋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은 출생 순위(F= .91, P >. 05)와 사회경제적 지위(F=1.70. P> .05)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의 대안적 해결사고, 결과예측 사고, 원인적 사고, 수단-목적 사고의 네 가지 하위 사고는 .21∼ .46의 비교적 낮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네 가지의 하위 사고는 학년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발달 양상을 보이므로 서로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보다는 독립적인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섯째,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X^(2)=9.29, P< .01)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대적으로 남아의 경우에는 배척아의 비중이 컸으며, 여아의 경우에는 고립아의 비중이 컸다. 여섯째,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는 학년(X^(2)=2.09, p>.0.5)과 출생 순위(X^(2)=5.13, p> .05)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또래 집단에서 아동의 인기도는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X^(2)=9.94, p< .05)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기아는 사회 경제적 지위가 상위인 집단에, 배척아·고립아는 하위인 집단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인기도와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P=7.84, p< .001) 특히, 수단-목적 사고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반면에 결과예측 사고는 집단간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대인 문제 해결력이 높은 아동일수록 그가 속한 또래 집단으로부터 많이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대인 관계 = 6 1. 사회 인지(Social Cognition) = 6 2. 대인 문제 해결력 = 8 3.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 17 B.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 = 21 1. 또래 집단과 사회성 발달 = 21 2. 아동의 인기도 (Popularity) = 22 3. 사회성 측정 (Sociometry) = 24 3. 인구 통계학적 변인과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와의 관계 = 28 C.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와의 관계 = 31 Ⅲ. 연구 방법 = 34 A. 연구 대상 = 34 1. 대상 아동의 선정 = 34 2. 출생 순위에 따른 구분 = 35 3.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 35 B. 측정 도구 = 36 1. 대인 문제 해결사고 검사 = 36 2. 사회성 측정 검사 = 43 C. 연구 절차 = 45 1. 예비 조사 = 45 (2) 본 조사 = 46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46 Ⅳ. 결과 및 해석 = 48 A.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 = 48 1. 학년에 따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 = 48 2. 성별에 따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 = 51 3. 출생 순위에 따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 = 52 4.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 = 54 5.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의 네 가지 하위 사고의 관계 = 55 6. 학년,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인 문제 해결력의 상호작용 효과 = 56 B.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 = 64 1. 학년에 따른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 = 64 2. 성별에 따른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 = 65 3. 출생 순위에 따른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 = 65 4.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또래 집단에서의 아동의 인기도 = 66 C. 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 = 67 1. 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의 네가지 하위사고와 인기도와의 관계 = 67 2. 학년, 성별, 출생 순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인 문제 해결력과 인기도의 상호작용 효과 = 68 Ⅴ. 결론 및 제언 = 70 A. 결론 = 70 B. 제언 = 74 참고 문헌 = 76 부록 = 84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93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대인 문제-
dc.subject해결력-
dc.subject또래 집단-
dc.subject인기도-
dc.title아동의 대인 문제 해결력과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도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of Childre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Popularity in a Peer Group-
dc.format.pageviii, 10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