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동화 읽어주기에 있어서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관한 연구

Title
동화 읽어주기에 있어서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er's Questions and Children's Creativity in the Case of Reading Aloud a Children's Story
Authors
허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Keywords
동화읽어주기교사질문유형아동창의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가 아동에게 동화를 소리내어 읽어준 뒤 제시하는 질문유형에 따라 아동의 창의성 증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국어과 성취도 상하집단과 성별에 따라 아동의 창의성 증진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동화를 읽어준 뒤 수렴적 질문을 제시한 집단과 확산적 질문을 제시한 집단은 창의성 증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어과 성취도 상하집단에 있어서 수렴적 질문을 제시한 집단과 확산적 질문을 제시한 집단간의 창의성 증진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별에 있어서 수렴적 질문을 제시한 집단과 확산적 질문을 제시한 집단 간의 창의성 증진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5년 8월 28일 부터 11월 4일 까지 서울시 대림동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아동 7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표준화 간편 창의성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고 1995년 9월 5일 전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된 표준화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과 성적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SPS 프로그램 t-검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동화를 소리내어 읽어준 뒤 수렴적 질문을 한 집단과 확산적 질문을 한 집단은 모두 창의성이 증진되었고, 수렴적 질문 집단보다 확산적 질문 집단이 창의성 총점과 개방성, 유창성 영역에서 더 많이 증진되었다. 둘째, 국어성적 상위집단에 있어서는 수렴적 질문 집단과 확산적 질문 집단 모두 창의성이 증진 되었으나, 하위집단에 있어서는 확산적 질문 집단에서만 창의성이 증진되었다. 또한 국어성적 상위와 하위집단 모두에 있어서 수렴적 질문 집단보다 확산적 질문 집단의 창의성 총점이 더 증진되었으며, 상위집단은 독창성 영역에서, 하위집단은 개방성 영역에서 더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셋째, 성별에 있어서 남자 아동은 수렴적 질문 집단과 확산적 질문 집단 모두 창의성이 증진되었으나, 여자 아동은 확산적 질문 집단에서만 창의성이 증진 되었다. 남자 아동의 경우 수렴적 질문 집단보다 확산적 질문 집단의 창의성 총점이 더 증진되었으며, 여자 아동의 경우 수렴적 질문 집단보다 확산적 질문 집단이 창의성 총점과 개방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더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때, 국어과 수업에서 교사가 확산적 질문을 하면 아동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국어성적 하위집단과 여자 아동에게서 창의성 증진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가 동화를 읽어준 뒤에 확산적 질문을 제시하면 아동의 창의성의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This study was done to explain that after the teacher's reading aloud a children's story to the children make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s given to the children, the accomplishment quotient of Korean language and the children's sex.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fter the teacher's reading aloud a children's story, will the group given the convergent question and that given the divergent on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2. Doe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between the group given the convergent question and that given the divergent on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the accomplishment quotient of Korean language? 3. Doe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between the group given the convergent question and that given the divergent on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sex? The research was made at the 'D' elementary school in Daerim-Dong from the 28th of August to the 4th of November, 1995 with 71 children from 2 classes in 5th year. The methods for this research is a standardized simple test on creativity made before and after reading aloud and the marks of Korean from the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scholastic achievement taken nationwide for the elementary school on September6, 1995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t-verification of the SSPS program. The result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Both in the groups given the convergent question and the divergent question after teachers reading aloud a children's story,'the creativity turned out to be developed total scores of the creativity and such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ity as openness and fluency of the group given the divergent question were much more developed as compared to the other group. 2. In the group where the scores of the Korean language were higher,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was found in both groups given the convergentand divergent question, while in that where those of Korean language were lower the creativity was developed only in the group given the divergent question. Besides, in both groups with the higher an-d the lower scores of Korean language total scores of the creativity of the group given the divergent questions were much more developed than the other group. And also the element of originality in the group with the higher scores in Korean language and that of openness in that with the lower scores appeared significantly developed. 3. Boys showed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both in the groups given the convergent and the divergent question and girls showed that of creativity was better only in the group given the divergent question. In case of boys, their total scores of the creativity of the group given the divergent question were much more developed and in case of girls, those of the creativity and all of such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ity as opennes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of that given the divergent one appeared more significantly developed. To sum up, we can conclude that in class of Korean Language diver- gent question given by teacher maybe developed the creativity of pupils and this effect maybe more impressive especially in the group of pupils whose scores of this subject are lower and in the group of girls. Therefore when a teacher gives some divergent questions after reading aloud a children's story,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creativity can be anticip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