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진-
dc.creator이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 미술과 영역에서 소묘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은 끊임없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 미술과 함께 생활하여 왔다. 어렸을 때의 낙서조차도 미적 표현의 한 방법이며, 성장하면서 재료나 용구를 좀 더 능숙하게 다루어, 점, 선, 면, 형, 색채 등의 조형요소를 통해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미술을 재능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로 여기면서, 미술을 어렵게 생각하고 도외시하게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이 표현하는 과정에만 중점을 두고 지도해왔기 때문이다. 또, 사물을 객관적으로 표현하려는 학생들에게 만족할만한 표현방법의 지도가 소홀하여, 미술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소묘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소묘는 모든 미술과 영역에서 가장 많은 활동을 차지하는 그리기 활동 중에 기본이 되는 활동이다. 사물을 사실대로 지각하여 그리는 소묘 능력의 향상은 미술표현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한 프로그램은 교육목표의 설정, 학습경험의 선정, 학습 경험의 조직, 학습 경험의 평가 과정을 거치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학습자, 사회, 교과전문가에 대한 요구 조사의 결과에 따라 설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목표에 따라 학습 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였다. 본 미술과 프로그램의 목표는 "시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소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시지각 능력과, 조형지식을 바탕으로 한 표현능력을 기르고 심미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로 정해졌다. 소묘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의 내용 영역으로는 시지각 능력, 재료와 용구의 사용방법, 선, 형태, 명암, 비례, 세부표현, 공간표현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이 선정되었고, 이 영역들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교육과정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소묘 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에서 학습 시간은 1∼3차시로 융통성 있게 운영되었다. 교수전략으로는 프로젝트 학습 형태에 따라, 아동이 연필 소묘를 잘 하기 위해 배울 내용들의 주제망을 짜고 계획을 세워 봄으로써 동기유발을 하였다. 또,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조형요소에 대한 개념 익히기, 조형요소에 대한 표현 방법 익히기, 표현활동, 자기 평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소묘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의 평가는 서울시 H초등학교 4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타당화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중 계속되는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에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에서는 서술식 평가, 정의적 영역에서는 학생의 자기평가와 교사관찰평가, 심동적 영역에서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때,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내의 사전, 사후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그림을 보고 잘못된 부분을 찾아 적는 서술식 평가를 활용하여 소묘학습에 필요한 인지적 영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화 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 평가와 교사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의 지속성, 생활응용 습관, 협동작업 태도, 작품 존중 태도 등에 대한 정의적인 면을 관찰하고 평가하여 점수화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1단원과 7단원 수업 중 학생들의 소묘학습활동 결과물과 작품을 조형요소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점수화 하었다. 소묘 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1)를 보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서술식 평가와 자기평가, 교사의 관찰 평가와 학생의 수업 활동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소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입증하는 자료를 얻어냈다. 이것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소묘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프로그램이 종국에는 시지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소묘능력을 발달시키는 목적에 타당한 프로그램임을 보여주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draw rough drawing better. Human being has been lived seeking the beautiful. Even graffiti is a way of expressing ourselves. We express our thoughts or feelings by using dots, lines, surfaces, forms, and colors. However most people think that are is not for them, but for some artists. No wonder they usually don't care about are. It's partly due to current art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on "expressing process." Students have been taught to make their efforts only to improve their ability in expression, without learning methods of using tools materials, visual sense and perceptibility. That's why I developed a program of enhancing rough drawing abil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ough drawings are the basic activity that takes a big part of art activities. The better students have their abilities in expressing themselves with rough drawing, the more students can lift up their artistic abilities. The program is based on Tyler's Educational Developmental Model that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and evaluating learning experience. The program is in line with the needs of teachers, students, and social situ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ome to have physical function to objectively grasp the structure and shape of an object and express it by the development of visual sense and perceptibility. The goal of the program is "to make students have their eye for the beautiful, to teach them how to use their visual sense and perceptibility and artistic knowledge with the program." It includes the ways of teaching students about how they use dots, forms, brightness, proportion, expressing specifically, how to use their perception, feeling and psychological fields towards drawing space. All of these element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time break between classes is about one to three hours and it's flexible. Teachers could have their students make some plans for drawings, especially pencil rough drawing. It could makes students get more excited about drawing and learn about artistic facts, and they ar taught how they can express their feelings or thoughts with an aesthetic point of view, and students draw some objects, and they evaluate their drawings. The program was applied to 40 students who are fourth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is Seoul. The program was revised constantly when there were problems with it during the practice period. Students had essay tests in "perception field"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Students estimated their works and teachers observed their student's works in "feeling field" Students got their scores based on their portfolios in "psychological field." SPSS/PC+, a statistic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test results, using t verification. First, students had essay tests that they need to find something wrong on some drawings, which is useful or evaluating whether students are capable of having "perception" abilities. The test gave the students their percentile award points. Second, the students were marked based on how they keep their interests, how they use their knowledge, how they cooperate well each other, how much they respect drawings, using the students' evaluation and teacher's check lists. Third, the students' drawing were given marks according to their works when they were in classes for chapter 1 & 7.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1) between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turned out well with the essay test, self-evaluation test, teacher's observation tests, and students' works. This is a proof that the program performed in this study is a better way of fostering rough drawing skills for students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 4 Ⅱ. 이론적 배경 = 7 1. 아동미술 = 7 2. 초등학교 미술교육 = 13 Ⅲ. 연구방법 = 29 1. 연구대상 = 29 2. 프로그램 개발 절차 및 검증 과정 = 31 3. 통제집단의 학습내용 및 학습과정 = 57 4. 프로그램 수정 과정 = 59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분석 = 61 1. 소묘학습 프로그램의 실제 = 61 2. 프로그램 실시 결과 분석 = 74 Ⅴ. 결론 및 제언 = 83 1. 결론 = 83 2. 시사점과 제언 = 84 참고문헌 = 87 부록목차 = 90 ABSTRACT =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058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시지각-
dc.subject소묘학습-
dc.subject프로그램-
dc.subject초등교육-
dc.title시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소묘학습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for drawing instruction program : 4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v,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