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받아쓰기훈련이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받아쓰기훈련이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ctㅁtion on English Listening Ability :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최세라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받아쓰기훈련영어듣기능력우리나라중학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점차적으로 영어교육에 있어 듣기와 말하기가 중심이 되는 의사소통 능력 배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영어교육 현장에서는 듣기지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도 듣기의 어려움을 많이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기존의 수업형식 안에서 실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듣기지도의 일환으로 받아쓰기를 제안하여 이것이 우리 나라 중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10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다시 부분받아쓰기집단과 전체받아쓰기집단으로 나누어 부분받아쓰기집단에게는 부분받아쓰기 중심의 듣기훈련을, 전체받아쓰기집단에게는 전체받아쓰기 중심의 듣기훈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받아쓰기 훈련 없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해당부분을 테이프로 듣는 활동만 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통제 집단의 실험 이전·이후 평가에 관한 유의도 검증결과 받아쓰기를 한 집단이 실험이후 듣기점수에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 실험 이전·이후 듣기 점수 향상도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에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받아쓰기가 듣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받아쓰기 유형과 듣기 능력 향상도에 관한 실험 연구 결과, 전체받아쓰기 집단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부분 받아쓰기 집단의 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받아쓰기 훈련이 듣기 능력향상에 영향이 있으나 특정한 유형의 받아쓰기가 듣기능력 향상에 더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자의 듣기 수준과 받아쓰기 유형에 관한 실험 결과, 부분받아쓰기는 하위 집단의 점수 향상에 더 의미가 있었으며 전체 받아쓰기는 상·하위집단의 듣기능력 향상에 모두에게 의미가 있었다. 넷째, 부분받아쓰기 훈련은 듣기의 하향식과정 상향식 과정 훈련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상향식 과정 훈련에 더 영향을 미쳤다. 전체 받아쓰기 훈련 역시 듣기의 하향식과정 상향식 과정 훈련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하향식 과정 훈련에 더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체 받아쓰기 부분 받아쓰기 훈련 모두 듣기의 상향식, 하향식 과정 훈련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전체 받아쓰기는 하향식 과정, 부분 받아쓰기 훈련을 상향식 과정 훈련에 적합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특히 전체 받아쓰기 상위 집단의 경우 전체 받아쓰기가 하향 과정 훈련에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받아쓰기를 통한 듣기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가 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실험연구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받아쓰기는 듣기능력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기존에 행해지는 수업의 틀 안에서 가능하며 교사의 적은 노력에 비해 높은 결과를 얻을 수있을 만큼 경제적이므로 영어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일환으로의 받아쓰기훈련이 적극적으로 영어수업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체받아쓰기는 상·하위집단에게 모두 영향을 끼치고 부분받아쓰기는 하위집단에게 더 영향을 끼치므로 두 가지 받아쓰기 유형을 독립해서 사용할 것이 아니라 부분받아쓰기와 전체받아쓰기를 병행하여 사용하되, 학생의 듣기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전체받아쓰기자료에 점차 역점을 두어 활용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여러 가지 듣기 훈련의 한 가지로 사용할 경우는 부분 받아쓰기, 전체 받아쓰기이외에 질문 받아쓰기, 순서 없이 불려지는 문장 받아쓰기, 목표점에 도달하기 위한 지시어 받아쓰기, 묘사 받아쓰기 등과 같은 받아쓰기의 변이 형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받아쓰기는 듣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받아쓰기를 통합적 평가로 활용하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듣기능력 신장방법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하향식 과정 훈련을 위해서는 부분받아쓰기를 적극 활용하고 상향식 과정 훈련을 위해서는 전체 받아쓰기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연구는 받아쓰기가 한국의 남자 중학교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학습이 고등학교, 대학교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1년이상 장기적으로 실시할 경우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경우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가에 대한 연구도 행해져 각기 다른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절한 받아쓰기 방법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영어 교육에 있어서 받아쓰기의 구체적 활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도 있어야 할 것이다.;Improving th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the goal of Korea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listening comprehension is regarded as an essential and active skill, thu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kill has been emphasiz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any researchers to study methods for improving students' listening 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cta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pot dictation group and full dictati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ctated to in consolidation stage in every English class, but the control group wasn'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stening comprehension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econd, although the full dictation group proved to be highly effective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the spot dictation group, there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hird, spot dictati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lower group's listening comprehension improvement. Fourth, spot dictati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bottom-up listening comprehension process improvement and full dictati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the top-down listening comprehension process impro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use dictation in teaching English. It is also implied that teachers should use dictation in connection with liste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gitudinal study of dictation on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including male and femal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