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朴生光 繪畵에 나타난 色彩에 관한 硏究

Title
朴生光 繪畵에 나타난 色彩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lour Scheme in the Paintings of Park Saeng Kwang
Authors
全姬貞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박생광회화색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朴生光은 한국적 회화의 정립이라는 뚜렷한 주제의식을 전제로 한 후에 韓國的 素材를 통하여 새로운 彩色畵의 世界를 구축하고자 했다. 전통색의 예술적 價値를 自已化하여 현시대적인 요구에 맞게 발현, 확산시키려는 한국화 작가로서의 그의 노력은 전통과 창조라는 진정한 예술로서의 발전적인 모습으로서 회화사적으로 큰 의의를 지닌다. 본 論文에서는 朴生光의 繪畵世界를 色彩意識的인 側面과 色彩의 心理的 效果 側面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서, 전통적인 매체를 통하여 현대를 고민하는 작가들에게 현대 한국화를 보다 창의적인 색채에 의한 조형예술로 이끄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硏究의 內容으로는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서 色彩心理 일반론, 韓國的 色彩意識의 형성, 彩色畵의 時代的 變遷過程을 살펴보고, 박생광의 藝術世界와 色彩를 알아본다. 그 다음으로 본론에서는 色彩意識과 色彩의 心理的 效果를 그의 대표적인 작품을 예로들어 分析하였다. 硏究方法은 문헌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고 그 밖에 잡지나 評論을 참고하였으며, 개인화집을 통한 생전의 작품을 토대로 客觀的인 고찰을 하였다. 이러한 分析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적인 면에서 그의 작업성향은 五彩色의 화려한 색감을 기반으로 하는 傳統色彩意識에서 출발하고 있어 전통적인 색채가 현대에 남을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표현방법면에서 그의 작품들은 평면성과 추상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平面的인 畵面에서 動的인 생명감을 불어 넣어주는 색상은 서구 모더니즘 미학의 표현을 이루고 있어 회화적인 시대성, 현실성을 강조하고 있다. 세째 합법상의 특성으로 色彩자체의 자율성을 들 수 있는데, 색채는 화면이라는 현실속에서 주관적으로 재구성되어 그 스스로의 자율성을 지닌다. 네째 色彩의 心理的 效果로서 불화작품에서는 엄숙한 불교적 심성을 표현해 내기 위해 파랑색의 차가운 표현성을 빌리고 있다. 다음으로 민화 소재의 그림은 저채도 보다는 고명도의 밝은 등간격 3색을 사용함으로서 고도의 감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다. 다섯째 巫俗圖에서는 주로 주술적인 분위기의 감정을 고조시키는 보색에 의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주황의 색선은 종교적인 신비스러운 심리적 효과를 유발시킨다. 마지막으로 그의 작품에서 색채의 상징적 이미지는 흰색을 통해 순결성, 결백성을 표출시키고 있으며 검은색이나 보라색은 영적인 존재를 표현한다. 박생광은 전통색채의식의 기반위에 자신만의 고유한 색채표현성을 더하여 색채의 전통성과 현대성의 조화를 통해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The artist Park Saeng Kwang, presuming the determined consciousness of establishing a distinctive Korean way of painting, constantly strove for the realization of a new color scheme through Korean folk subjects.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painting is well established as a Korean artist, whose efforts in popularizing and catering to modern needs the traditional artistic values, have materialized in tradition and creation, in the true sense of art He has achieved an exemplary portrait of a progressive artist. In this study, the colour consciousness aspect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ur are analysed in Park Saeng Kwang's paintings. The purpose was to provide modern artists suffering the incongruencies of a traditional medium with a method of realizing formal art through creative colour schemes. As for the cont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provided by the introduction of a general theory of colour and psychology, the formation of Korean colour consciousness and the progress of colour schemes in Korean Paintings was analysed, also the colour schemes present in Park Saeng Kwang's paintings were studied. The main section deals with colour consciousness an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ur present in Park Saeng Kwang's works.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formed a base from literature research and other journals and critiques. The paintings were objectively chosen from a collection of Park Saeng Kwang's life's work.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forementioned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consciousness aspect, Park Saeng Kwang's paintings displayed a traditional colour consciousness tendency based on the elaborate 5 colour scheme and thus prove that the traditional colours can survive in a modern context. Secondly, Park Saeng Kwang's paintings are dimensional and abstract in the method of expressions. The vibrancy of the paintings are achieved in this 2-dimensional scheme through the use of colours, perfectly mimicking the western values of art and emphasizing the realistic aspects of painting. Thirdly, as a characteristic of his methods, one can note the autonomy of the colours themselves. Colour scheme's in Park Saeng Kwang's paintings seem to subjectively restructure on the canvas and possess an autonomous nature. Fourth, in his Buddhist oriented paintings, a psychological effect of colours is present. It is evident that his faith in Buddhism is being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colder blue hues. In folk art, his paintings use highly volatile and bright colours rather than the darker hues, such as the 3 primary colours, to achieve a highly emotive effect. Fifth, in Moo So¨k do, the necromantic ambience is enhanced by purple hues and especially the orange lines are enough to evoke religious sentiments and psychological effects. Finally, in Park Saeng Kwang's paintings, the image of colours as language is portayed in the whiteness, meaning innocence and etheral presence in black and purple. Park Saeng Kwang paved new possibilities for Korean art through the harmony of modern and traditional colours in his paintings based on traditional colour conscionsness and his own distinctive expression of colour sche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