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수준별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수준별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s
Authors
허선영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Keywords
초등학교아동수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s. To achieve the these objectives, the specific problem were formulated as follows :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interest? 1-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learning zest? 1-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curiosity? 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attitude? 2-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confidence? 2-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spontaneity? 2-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flexibility? 2-4.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willingness? 2-5.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inclination to reflect? 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mathematical value? 3-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valuing of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s? 3-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on appreciation of the role of mathematics? To verify these problem. 135 elementary students at 5th-grade were selected to be experimental group from 4 classes of an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138 elementary students at 5th-grade were selected to be control group from 4 classes of an W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From the third week of march, 1997 to the first week of December.1997.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learned with the differentiated learning method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ere learned with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 The test scales used were "Mathematical dispositions test scale" and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 both of which were applied to both group prior to and after the field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PC+ for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al inter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he mathematical dispositions test scale. (p<.001) But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al inter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he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 And. of low-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mathematical curiosity(p<.001) and learning zest(p<.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al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he mathematical dispositions test scale.(p<.001) But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al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he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 And, of low-fact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mathematical spontaneity(p<.001) and inclination to reflect(p<.05) and confidence(p<.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o the mean of mathematical confidence of experimental group became lower than th mean of mathematical confidence of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mathematical valu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he mathematical dispositions test scale(p<.001) and the teacher's observation checklist(p<.01). And, of low-fact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of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s(p<.05) and appreciation of the role of mathematics(p<.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sum up,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differentiated learning method could help elementary students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interest, attitude and value positively. Lastly the differentiated learning method could help elementary students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s positively.;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한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적 흥미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1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에 대한 학습의욕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2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호기심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적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1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2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에 대한 자발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3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문제 해결에 있어서의 유연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4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을 하는데 있어서의 의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5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학습에 대해 반성하려는 경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적 가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1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의 적용에 대한 이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2 수준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전통적 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의 수학의 역할에 대한 이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해 서울시 영등포구의 B초등학교 5학년 4학급 135명을 실험 집단으로, 같은 지역의 W초등학교 5학년 4학급 138명을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1997년 3월 14일부터 1997년 12월 6일 까지 실험집단에게는 수준별 학습을. 통제집단에게는 평소대로 전통적 학습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수학적 성향 질문지와 교사 관찰 checklist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사전과 사후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사용하여 t검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학습을 통해 아동의 수학적 흥미는 질문지에 의한 자기 평가가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교사 관할 checklist에 의한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변화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하위요인으로 질문지에 의한 평가에서 호기심의 향상이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관찰 checklist에서는 학습의욕의 향상이 p<.01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수준별 학습을 통해 아동의 수학적 태도는 질문지에 의한 자기 평가가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교사 관찰 checklist에 의한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변화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하위요인으로 질문지에 의한 평가에서 자발성과 반성력의 향상은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신감은 p<.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로 감소되었다. 관찰 checklist에서는 자신감의 감소가 p<.01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반성의 향상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수준별 학습을 통해 아동의 수학적 가치의 향상은 질문지에 의한 자기 평가가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 관찰 checklist에 의한 평가에서는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하위요인으로 질문지에 의한 평가에서 수학의 적용과 수학의 역할에 대한 가치 인식의 향상이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관찰 checklist에서는 수학의 적용과 수학의 역할에 대한 가치 인식의 향상이 p<.05수준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학과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한 학습을 함으로써 초등학교 아동의 수학적 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향상정도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함을 알게 되었다. 즉, 수준별 학습은 아동에게 수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를 높여 주며, 수학을 생활에 잘 적용하며, 수학의 역할과 가치를 잘 인식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동의 능력별 집단 편성을 통한 학습을 통해 수학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하락함을 알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