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生活英語를 中心으로 한 意思疏通能力에 대한 硏究

Title
生活英語를 中心으로 한 意思疏通能力에 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nicative Competence of Practical English : Focused on The Cabin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speaker
Authors
姜姬先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생활영어의사소통능력항공기 내 영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항공기 탑승승객 중 영어의사 소통능력이 가능한 한국인 88명, 일본인 92명, 대만인 90명 총 270명의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해서 비교·검토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서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해내어 간접적으로나마 우리나라의 향후 영어 의사소통능력 배양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1991년 9월부터 1992년 3월까지 인터뷰 형식으로 항공기내 영어를 중심으로 생활영어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했는데, 측정방법은 언어적 표현-이해력, 문법, 어휘, 유창도-과 언어외적 표현을 항목별로 등급을 매겨 점수로 산출하는 방법을 택했고 이 측정결과를 국민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성별, 연령별, 해외체재 경험유무별, 해외체재기간, 교육수준정도, 국적 등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한 변인들을 연구실시하려고 했으나, 개인생활에 직접 관련되는 변인들은 조사에 어려움이 많아 연령별, 성별, 해외체재 경험유무별, 그리고 국적별만을 고려했다. 실험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별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은 별다른 차이가 없고 상호독립적이다. 그러나 연령이 높아질 수록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황의 문맥을 바르게 판단할 줄 아는 능력이 증가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성별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은 상호독립적이다. 일반적으로 여자가 잘하는 항목이면 남자도 잘 했고, 여자가 부진한 항목이면 남자 또한 부진하게 드러났다. 셋째, 해외체재 경험유무별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즉, 영어환경에 오래 노출된 사람일수록 듣고 말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해외체재 무경험자는 자기나라의 영어교과과정만을 이수하여 실제상황에서 의사소통활동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 볼 수 있어서 한국인 해외체재 무경험자의 실험결과는 우리나라 의사 소통 교육의 기능적 적합성과 문제점 여부를 지적해내는 좋은 자료가 된다. 넷째, 국적별에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은 상관관계가 있다. 대만인이 한국인과 일본인보다 이해력과 유창도가 훨씬 높게 나타나 실생활에서 의사전달을 잘 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가정환경이나 특별한 동기 등 여러가지 개인적인 변인 등에 따라 영어의사소통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만인들에 비해 특히 이해력과 유창도에서 뒤떨어지고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문법에서는 대만인들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보다도 더 저조함을 감안해서, 영어교육현장에서는 이해력과 유창도 향상에 중점을 두고, 한국인들이 틀리기 쉬운 문법사항은 학습초기 단계에서부터 잘 습득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해외체재 유무와 영어의사소통능력에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중·고등학교 영어교육과정에 영어권 언어환경과 유사한 언어환경을 개발하여 학습에 이용하는 것이 여러가지 어려움들이 많지만, 가능한 대로 부분적이나마 개선이 이루어지면 학생들의 영어의사소통능력 배양에 도움이 될 것이다.;This paper aims at giving directions on how to develop Korean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using English by compar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270 airline passenger(88koreans, 92Japanese, 90Taiwanese) in which the researcher, acting as a stewardess, investigated, measured, and analyze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each other group classified by nationality. Of course, the 270 passenger were all chosen for their knowledge of English as a subject of investigation. For this paper, from september 1991 to march 1992, the investigation proceeded in the form of interviews, and cabin English was mainly used. Verbal communication -comprehension, grammar, vocabulary, and the degree of fluency-and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itemized and graded. The results are classified by nationality and scored as numerical values. At first, the researcher tried to experiment using sex, age, the experience of stay in an English speaking area, the length of stay in an English speaking area, the degree of education, and nationality. These variables can influence results of the tests but, in the course of the test, some variables which concerned the privacy were judged difficult in this situ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only age, sex, the experience of stay in an English speaking area, and nationality are considered as variables. A summary of the test results is as follows: 1. Age has no relation to communicative competence. As age increases, so does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judge the situational context. 2. Sex has no relation to communicative competence. Generally women and men have something similar abilities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If women make a good score of one item, men usually do too, and vice versa. 3. The experience of stay in an English speaking area has a meaningful interrelationship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to say, those who have been abroad are for the most part good English speakers. Those who have not spent any time abroad can be regarded as people who, in spite of their having finished regular course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an't communicate their thoughts to English-speaking people. The results of test of those Koreans who have no experience of visiting foreign countries furnish data to judge the suitability of English-language teaching in Korea, and to point out some mistakes in the teaching method. 4. The nationality has an interrelationship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Taiwanese makes a higher score in comprehension and fluency than either Korean or Japanese: thus it is certain that Taiwanese are relatively good at practical English. According to many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family background or special motivation, the results of test are different. But generally Koreans make a lower score in comprehension and fluency than Taiwanese, besides a lower than expected score in grammar than either Taiwanese or Japanese. Therefore, the comprehension and fluency must be focused in English education and grammar must be acqui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learning. While considered to have a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stay in an English speaking area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have English-language learners in Korean middle high school study in an linguistic environment similiar to that of English speaking cultural area. At present, this is difficult to accept in Korea but, if partly improved,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show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ir English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