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The Effects of Context,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of a Text

Title
The Effects of Context,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of a Text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TransparencyFamiliarityEFL Reading ComprehensionRecall of a Tex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ding process from the psycholinguistic and schema-theoretic points of view.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 departure was made from those points of view so that this research considers not only the readers' linguistic knowledge but also their prior background knowledge called schema, which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of a text. It is assum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reading comprehension is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relevant schemata possessed by the reader and the linguistic knowledge of the given material. The factors of background knowledge, defined as context,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a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 1 (immediate recall) and Experiment 2 (recall after two day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given: (1) Hypothesis Ⅰ--Texts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xt are easier to read, comprehend and recall. (2) Hypothesis Ⅱ--Transparent texts are easier to read, comprehend and recall. (3) Hypothesis Ⅲ--Familiar texts are easier to read, comprehend and recall. (4) Hypothesis Ⅳ--There are double interactions (transparency X context, context X familiarity, transparency X familiarity). (5) Hypothesis Ⅴ--There is a triple interaction (transparency X context X familiarity). To test these hypotheses, eighty - fou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t the advanced level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four subgroups. Reading booklets were prepared for each of the four between-subjects conditions: (1) context - transparent; (2) context - opaque; (3) no context - transparent; (4) no context - opaque. The booklets contained two texts -- one familiar and one novel. The subjects were told to read, comprehend and write in Korean the ideas that they could recall from the reading passages. In Experiment 1, they recalled immediately after they finished reading and comprehending. In Experiment 2, they recalled what they read and understood after two days. The results show that context,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of the text both in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There was one double interaction between transparency and familiarity only in Experiment 2. There was no triple interaction in Experiment 1 or Experiment 2. Consequently, hypotheses (1), (2) and (3) were confirmed, (4) was partly confirmed and (5) was rejec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as far as the slected students at the advanced level for this study were concerned, EFL students read in the top-down processing mode utilizing context and familiarity, and also in the bottom-up processing mode utilizing transparenc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comprehension abili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relevant background knowledge for Korean students;본 논문에서는 독해과정을 심리언어학적 관점과 도식이론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았고 나아가 EFL 독해에 있어서 학습자의 언어지식 뿐만 아니라 선행지식도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선행지식이 상위 수준의 학습자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선행지식의 구성요소로서 문맥(context)과 단어의 명료성(transparency) 그리고 독해내용(text)에 대한 친숙도(familiariy)를 채택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1) 학습자가 어떤 text에 대한 문맥(context)을 알고 있으면 더 쉽게 읽고 이해하고 회상할 수 있을것이다. (2) 명료한 단어로 구성된(transparency) text를 더 쉽게 읽고 이해하고 회상할 것이다. (3) text에 대한 친숙도(familiarity)가 높으면 더 쉽게 읽고 이해하고 회상할 것이다. (4) 각 두 요소 사이에 상호작용(double interaction)이 있을 것이다. (5) 세 요소 사이에 상호작용(triple interaction)이 있을 것이다.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상위수준의 고등학생 84명을 선발하여 다시 네 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text를 제시 하였다. (1) 문맥과 관련된 그림과 제목이 제시되고 text가 명료한 어휘로 구성된 것 (context - transparent). (2) 문맥과 관련된 그림과 제목에 제시되어 있으나 명료한 어휘로 구성되지 않은 것 (context - opaque). (3) 문맥과 관련된 그림과 제목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명료한 어휘로 구성된 것(no context - transparent). (4) 문맥과 관련된 그림과 제목이 제시되어 있지도 않고 명료한 어휘로 구성되어 있지도 않은 것. 각 하위 집단의 피험자에게 제시된 text는 친숙도가 있는 것 (familiar)과 없는 것 (novel) 두 가지였다. 피험자들에게는 제시된 text를 읽고 이해한 다음 내용을 회상하여 한국말로 진술하는 시험 (recall protocols test)이 실시되었다. 1차 실험에서는 읽고 이해한 직후에 회상하여 쓰도록 하였고 2차 실험에서는 이틀 뒤에 다시 회상하여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문맥과 친숙도 그리고 명료성이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서 각각 각각 독해회상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상호작용은 2차 실험에서 친숙도와 명료성(transparency X familiarity) 사이에만 나타났다. 세가지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triple interaction)은 1차 실험과 2차 실험에서 각각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1), (2)와 (3)은 받아들여지고 가설 (4)는 부분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가설 (5)는 기각 되었다. 이 실험결과에 의거해서 본다면 상위단계의 EFL 학습자는 문맥(context)과 친숙도(familiarity)를 이용하여 하향과정방식(top - down processing)으로 독서를 수행하며 명료성(transparency)을 이용하여 상향과정방식(bottom - up processing)으로 독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FL 학습자에게 적절한 선행지식(background knowledge)을 제공해 줌으로써 독해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