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영어의 문법 형태소에 관련된 학습자 오류의 자기 교정에 대한 연구

Title
영어의 문법 형태소에 관련된 학습자 오류의 자기 교정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Learner Self-correction of Errors in Grammatical Morphemes
Authors
김임경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영어문법형태소학습자오류자기교정통제작문영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금까지 쓰기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가 범한 오류를 다루었던 연구들이 많이 있어 왔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 연구 결과들이 유용하게 사용되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학생 수가 많고 주로 교사에 의해 수업이 주도되는 우리 나라 영어 학습 상황에서는 효과적으로 학생의 언어 능력을 활성화시키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교사가 일방적으로 목표어의 규칙과 오류에 대한교정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학습자로 하여금 이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오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영어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기 교정(self-correction)을 하는 데에 교사가 제공하는 피이드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대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작문 실험을 실시하고 그 후 각기 다른 유형의 피이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자기 교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자료들을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실험 대상 학생들은 자세한 피이드백이 제공될수록 정답률의 증가를 보여 교사의 구체적인 피이드백이 학습자의 자기 교정에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년이 낮을수록 교사의 보다 자세한 피이드백에 더 의존적이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자세한 암시를 제공받지 않아도 피이드백의 도움을 얻어 능동적으로 자기 교정을 위한 시도를 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려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형태소별로 볼 때, 교정된 정답률이 진행형, 계사 등에서 높았으나, 관사, 불규칙 과거형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관사나 불규칙 과거형의 경우 교정된 비율의 폭은 넓게 나타났다. 즉, 관사나 불규칙 과거형과 같은 형태소는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항목임에도 불구하고 피이드백의 영향을 쉽게 받아 성공적으로 자기 교정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정된 형태소들의 순위와 기존의 형태소 습득 순위에 관한 선행 연구와는 높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학습자가 교정을 하는 활동은 습득과는 다른 의식적 과정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 논의한 것을 종합해 보면, 학습자들은 교사의 피이드백으로부터 상당한 도움을 얻으며, 이를 통하여 스스로 오류를 교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여러 연령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피이드백의 효과를 조사 연구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장기간에 걸쳐 교정적 피이드백이 주는 효과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우리 나라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피이드백의 기술이나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Learners' errors are seen as a natural and indispensable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They are also seen as an inevitable factor in this process. Teachers should provide their students with an adequate feedback as an error treatment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s. It is important for English teachers not to correct their students' errors directly or give them the right answers immediately, but to help them to correct their own err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ar Korean learners can correct their own errors with the help of teachers' cues or hints as a feedback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teacher feedback is effective in Korean learners' writing.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elf-correction. This experiment used students' English writing, teachers' cues or hints as an error feedback, and students' self-correction as research data.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detailed the teachers' cues or hints to the students' errors were, the higher the ratio of learner self-correction achieved. This suggests that teacher feedback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learner self-correction process. Second, less advanced learners had a tendency to depend on the more detailed teacher feedback for self-correction. On the other hand, more advanced learners were less dependent on the teachers' detailed cues, which indicates that more advanced learners are able to activate their linguistic competence to some extent to correct errors by themselves. Third, students generally showed a high ratio of self-correction in copula and progressive. They had difficulty in using the grammatical morphemes, like article and irregular past, correctly. But the ratio of self-correction in these two morphemes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at each feedback stage. That is, Korean learners are much affected by teacher feedback in article and irregular past.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correction order and the acquisition order of grammatical morphemes in preceding morpheme studies was not so significant. This means that self-correction activities are more conscious process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In conclusion, For the efficient learner self-correction in the classroom interactions, different types of teacher feedback should be given to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At the same time, more useful methods and appropriate techniques for teacher feedback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he longitudinal research of self-correction should follow this cross-sectional research for the complet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feedbac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