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승연-
dc.creator고승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4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teachers who want to enforce open education reflect ant practice the openness and autonomy in their classroom instruc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1 teachers who teach at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method of this study is interview and the data are gathered. This study tried to sol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teachers? 2. How do they reflect the openness of open education in their teaching? ① The openness of learning content ② The openness of relation with their children ③ The openness of spatial structure 3. How do they practice autonomy of open education in their teaching? ① The guarantee of children's autonomy ② The practice of teachers' aut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achers have some general educational goals rather than the unique educational goals about open education. 2. At the aspect content construction, they integrate the splitted knowledge by instruction schedule, or they integrate by binding the similar themes in one subject or rearrange the order of units, or they integrate different subjects which have similar themes, or they integrate various subjects to make study one theme as topic learn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n some cases they remake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children's interests, abilities and needs. 3. They try to admit most opinions of children, but they restrain children when they act against the classroom principles, or they don't accomplish their responsibility for their right judgement, practice and keeping social orders. 4. The most teachers who had been in open space referred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autonomy by various experiences as the merits of open space. The teachers who hadn't been in open space approved of the referred merits, but some teachers don't want open space because they think their mind as important rather than open space. 5. The most teachers base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ry to present the content to all children. The subjects which children have some right of selection at the aspect of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are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but a few superior children can get the opportunities of selective activities which they use their extra time. The teachers don't guarantee children' autonomy because of the construction problems of curriculum and the lack of their abilities and efforts. 6. In some degree, the teachers' autonomy is guaranteed by the reconstruction of integrating methods which are mentioned at the second result, but the intervention by the school administrators, the pressure from parents, and the lack of practice according to the autonomy of teachers are the elements of restraints, so there are some cases which the teachers' autonomy is restrained. They desire more perfect construction of environment. By the results as mentioned, it is possible to conclude of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open education. 1. They are overcoming gradually the knowledge-based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goals of life, but they have to establish their educational goals reflecting more unique philosophy and ends about open education. 2. The trial of reconstru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the starting point of flexible curriculum management to be necessary for open education practice. The teachers tried reconstruction using the integrative methods at the aspect of content construction, but the openness of learning content means the curriculum management which has more proper abilities, interests and needs of children rather than the level of reconstruction by the integrative methods. 3. The most teachers restraint about children receiving their opinions. 4. It can be found that open space is necessary for open education by mention of the teachers who have the life experiences in open space. 5. At the aspect of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children's autonomy is guaranteed partially at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and to a few superior children. Therefore, open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oncerned about more various subjects and all of children to give opportunities to select their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and for this, the efforts of teachers are needed absolutely. 6. At the aspect of curriculum content and methods, the teachers mentioned that their autonomy can be exhibited partially because of the manage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ntervention from principals. But at the sixth curriculum, the autonomy of schools and teachers is guaranteed so much insisting school-based curriculum construction, so now the teachers who want to enforce open education don't have to be tied up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hould endeavor to study more broad educational content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For thi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re the ability, efforts and courage of teachers. Regarding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can be phased as follows for improvement of open education. 1. New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eachers' recognition should be change by new education from pre- 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2. The ideal open education can't be accomplished by the manag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reduced a lot not to be focused to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3. A lot of materials which are needed for the enforcement of open education in order to facilitate children's learning desire and to make their learning to be suited to their interests and abilities.;본 연구의 목적은,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이 그의 교실수업에서 열린교육의 특징 중 하나인 개방성과 자율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어떤 교육목적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수업에서 개방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① 학습내용의 개방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② 아동과의 관계에서 개방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③ 공간 구조의 개방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셋째, 교사들은 수업에서 자율성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① 학습내용과 방법면에서 아동의 자율성을 어떻게 보장하고 있는가? ② 교육내용과 방법면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연구대상이 된 교사들은 서울 시내 공·사립국민학교에서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로써 여교사 10명과 남교사 1명이었다. 그들은 교육경력 2 - 22년, 열린교육경험 1 - 9년을 가지고 있었으며, 열린교육에 대한 열의를 가지고 열심히 교육하려는 교사들이었다. 위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교사들과 면담하여 그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 중 연구대상이 된 대부분 교사들은 열린교육을 실시하므로써 가질 수 있는 특별한 열린교육의 목적보다는 일반적인 교육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면보다는 생활면에 관련된 교육목적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들은 국가교육과정의 내용의 구성면에서 차시별로 잘게 쪼개진 지식을 묶어 통합하는 방법, 한 과목안에서 비슷한 주제를 묶어 단원을 통합하거나 단원의 순서를 재배열하는 방법, 비슷한 주제를 가진 다른 과목간의 단원 통합하는 방법, 한 가지 주제를 학습하기 위해 여러 과목을 통합하는 방법인 주제학습(Topic학습)의 방법 등으로 재구성을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아동의 흥미, 능력, 필요에 맞는 내용을 첨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교사 자신의 능력과 노력 부족, 편견 그리고 외부의 압력 등의 문제로 국가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충분히 재구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그들은 아동의 의견을 대부분 수용하려고 하면서도, 아동의 바른 판단과 실천 그리고 사회질서 유지를 위해서 아동이 학급규칙을 어겼을 때나 책임을 다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제재를 가하고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 중 열린공간에서 생활해 본 대부분의 교사들은 열린공간의 장점으로 다양한 경험을 통한 창의력과 자율성 신장,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 배양, 능력별 학습, 자료 수집이나 다른 아동과의 교류 용이 등을 들었고, 단점으로는 소음 문제를 들었지만 큰 문제는 아님을 덧붙이면서 열린공간을 찬성하였다. 열린공간에서 생활해 보지 않은 교사들 중에는 위의 장점으로 찬성하는 교사도 있었고, 건물구조보다는 교사 자신의 마음가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현 전통적인 공간구조에 만족하여 열린공간을 원하지 않는 교사도 있었다. 다섯째,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 중 연구대상이 된 교사들은 대부분 국가교육과정의 내용을 기본적으로 하여 그 내용을 모든 아동에게 제시하려고 하였고, 부분적으로만 아동에게 학습내용의 선택의 기회를 주고 있었으며, 방법면에서도 선택의 기회를 부분적으로 주고 있었다. 아동이 학습내용과 방법면에서 선택권을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고 있는 교과는 산수과와 사회과였으며, 일부 우수한 아동에게만 남는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선택활동의 기회가 주어졌다. 일부 교사들은 구조화된 경험을 보다 풍부하게 하려고 학습방법의 선택권을 주고 있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구성 문제와 교사 자신의 능력과 노력 부족의 문제로 아동의 자율성을 보다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고 있었다. 여섯째, 연구대상이 된 대부분의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은 국가교육과정과 무관하게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새롭게 구성하지는 못하지만, 대체로 둘째 결과에서 지적했던 통합의 방법으로 재구성함으로 어느 정도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받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 행정가들의 간섭, 학부모의 압력, 교사 자신의 자율성 반영에 따르는 실천력 부족 등의 제재 요소로 교사의 자율성을 다소 제재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면에서 좀 더 자율성을 가지기 위해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과 자료들을 원하고 있으며, 좀 더 완벽한 환경이 구성되길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 대상 교사들의 열린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연구대상 교사들이 생활면의 목적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식 일변도의 교육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로서 일반적인 교육목적과는 다른 보다 특별한 열린교육 철학과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목적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학습내용의 개방성을 위해 기존 국가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열린교육의 실천에 필요한 융통적인 교육과정운영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은 내용의 구성면에서 통합의 방법을 사용하여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학습내용의 개방이라 함은 기존 내용을 통합의 방법으로 재구성하는 수준보다 발전하여 보다 아동의 능력, 흥미, 필요에 맞는 내용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은 기존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탈피하여 아동중심적이고 활동중심적인 학습내용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아동과의 개방적인 관계를 가지기 위해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아동의 의견을 수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아동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들의 의견을 수용하려는 교사의 노력은 다른 물리적 환경보다 열린교육의 실천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열린교육을 실시하려면 철저한 생활지도가 필요하므로 아동에 대한 통제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열린교육을 하고자 하는 교사는 아동을 존중하면서도 그들을 학급 질서 속으로 끌어 들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아동이 열린교육에서 필요한 학습자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유도할 수 있도록 교사와 아동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열린공간에서의 생활 경험을 갖고 있는 교사들이 창의력과 자율성 신장,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 배양, 능력별 학습, 자료 수집이나 다른 아동과의 교류 용이 등의 이유를 들면서 열린공간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열린교육에 있어 열린공간은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이상적인 열린교육 실천을 위해서는 열린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내용과 방법면에서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는 아동의 자율성을 보장하려고 노력은 하지만 아직 일부 교과인 산수과와 사회과에, 일부 우수한 아동에게 국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수과와 사회과에 아동의 선택권이 치중 된 이유를 찾아보면, 산수과에서 개인차를 고려하기가 가장 쉽고 능력별 학습을 하기에 적당한 교과이기 때문이며, 사회과에서는 교과서 외의 내용을 첨가하기 쉬우며 교사나 아동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방법이 많이 알려졌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일부 우수한 아동에게만 선택권이 부여된 이유는 교육과정의 내용이 쉽지 않으며 양이 많아 일반 아동과 부진한 아동에게는 선택을 할 수 없으며 교사도 아동의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은, 아동의 능력, 필요, 흥미에 맞게 자신이 원하는 학습내용과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보다 많은 교과와 모든 아동에게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법면에서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는 국가교육과정의 운영과 학교장의 간섭으로 부분적으로만 자신의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실제로 5차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의도대로 교육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 데에 많은 자율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6차교육과정에서는 학교중심의 교육과정구성을 내세우면서 학교와 교사의 자율을 상당히 보장하고 있다. 열린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은 이제 국가교육과정에 얽매이지 말고 보다 넓은 교육내용과 다양한 교육방법의 연구에 힘써야 한다.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학급을 경영하는 데 있어서 교사 자신의 개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자신에게 부여된 자율성을 최대한 발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밝혔듯이 교사 자신의 능력과 노력 그리고 용기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위의 결론을 중심으로 하여 열린교육의 발전을 위해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새로운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열린교육의 교사는 지금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예비교사들의 교육, 현장 교사들의 재교육 등에서부터 새로운 교육이 이루어져 교사들의 인식이 전환되어야만 한다. 둘째, 융통성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곳에서는 보다 이상적인 열린교육이 일어날 수 없다. 각 학교 현장에서 학교와 교사 나름대로 교육내용과 방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현재 학문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해서 교육내용을 대폭 축소하여 지식 전달에 급급한 교육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육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보다 다양한 학습자료 공급에 대한 방안이다. 열린교육에 실시하는 데 필요한 많은 자료들이 공급되어 아동의 학습의욕을 촉진하고 그들의 흥미와 능력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열린교육의 이론적 기초 = 4 B. 열린교육의 교육과정 = 10 C. 열린교육의 개방성·자율성 = 19 D. 선행 연구 = 22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연구 방법 = 28 Ⅳ. 연구 내용 및 해석 = 30 A. 교육목적 = 30 B. 개방성 = 32 C. 자율성 = 39 Ⅴ. 요약 및 결론 = 47 참고문헌 = 53 부록 - A = 56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047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개방성-
dc.subject자율성-
dc.subject열린교육-
dc.subject교사-
dc.title개방성과 자율성의 측면에서 본 열린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Open Education Regarding Its Openness and Autonomy-
dc.format.pageviii, 6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