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유경-
dc.creator이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37-
dc.description.abstract영어의 문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동사이다. 특히 영어의 동사 시제체계는 한국어 시제체계와 상이하여 영어의 시제와 상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습득하기 어려운 영역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영어 동사의 시제와 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조사 연구하여 학습자가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제와 상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영어 시제의 시간과 상의 개념에 대한 인식능력 및 시제와 상의 사용능력을 고등학생과 대학생 두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생 집단이 고등학생 집단보다 시제와 상에 관한 더 높은 인식 및 사용 능력을 보여 전반적인영어 능력이 높아질수록 시제와상에 관한 인식과 사용능력 또한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 집단 모두에게 시제와 상에 대한 인식능력이 사용능력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문장내에서 시제를 인식하는 능력보다 주어진 문맥내에서 적절한 시제를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제와 상의 인식능력과 사용능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시제와 상의 인식능력에서 사용되는 학습자들의 문법지식이 사용능력에 반드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각 집단의 인식능력 및 사용능력정도의 시제간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은 시제 유형별 인식능력 정도와 사용능력 정도에 있어서 일정한 순서를 보였는데, 그 순서는 두 집단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 모두 현재진행과 단순과거가 가지는 시간 및 상에 대하여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고, 단순현재와 현재완료에서 가장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또한 사용도는 두 집단 모두 단순현재와 단순과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재완료진행과 과거완료진행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시제와 상이 결합되어 형태가 복잡할수록 사용능력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영어능력이 높을수록 시제와 상의 인식 및 사용능력이 높아지며, 전반적으로 인식능력이 사용능력보다 높지만 상관관계는 없고, 한국학생들이 특히 잘못인식하고 있는 시제와 상, 그리고 사용하기에 어려운 시제와 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험방식을 통하여 한국학습자들이 영어 시제와 상의 인식 및 사용능력을 조사연구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자연적인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시제와 상의 습득을 조사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영어 시제와 상에 대한 효과적인 교재 개발과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영어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어려운 시제와 상을 고려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영어를 사용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학생들의 시제 사용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경우 문법지식의 습득 차원을 넘어 이미 습득한 문법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단순한 문장 단위보다는 문맥안에서의 적절한 시제 사용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One of the most important grammatical categories is the verb. Tense system and aspect category of the English verb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Such differences give Korean learners much difficulty in learning English tense and asp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students recognize the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and how they use the grammatical tense and aspect form in a given context,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tense and aspect form is difficult to them.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al groups,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ook a test on recognition and production of tense and aspect. The result came out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had better ability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both recognition and production. This indicates that more proficient learners have a tendency to have better ability of perceiving and using tense and aspect. Second, the learners were able to recognize English tense and aspect better than t o produce. This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are able to utilize their grammar knowledge in passively perceiving tense and aspect rather than actively producing. Thir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cognition and production ability. This indicates that even if a student had high recognition ability in English tense and aspect, he/she could lack the ability of appropriately using them in a given context. Fourth, both in recognition and produ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nse and aspect forms within each group. Both groups recognized present progressive and simple past best, while they perceived simple present and present perfect most inaccurately. On the other hand, their production ability was highest in simple present and simple past, and lowest in present perfect progressive and past perfect progressive. The sequence which was showed in production indicates that the complexity of tense form affects using them. In conclusion,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investigate learners' use of English tense and aspect in a more natural context. Through these researches, more efficient methods and textbooks on English tense and aspect should be developed. Consequently, English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difficulty learners have in recognizing and producing English tense and aspect, and provide enough practice using them in a context. The context should be given in discourse level rather than in setence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영어의 시제와 상 = 3 A. 시제 (Tense) = 3 B. 상 (Aspect) = 14 C. 외국인 영어학습자의 시제와 상의 습득에 관한 선행연구 = 23 Ⅲ.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시제와 상에 대한 인식및 사용능력 조사 = 26 A. 연구 방법 = 26 B. 연구자료 = 28 C. 연구 절차 = 34 D. 연구의 제한점 = 37 Ⅳ. 연구 결과및 논의 = 38 A. 인식및 사용능력 측정에 관한 문항별 실험결과와 집단간 유의도 검증 = 38 B. 인식및 사용능력 측정에서의 시제별 실험 결과와 유의도 검증 = 41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3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3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영어학습자-
dc.subject시제-
dc.subject-
dc.subject인식-
dc.subject사용능력-
dc.subject영어교육-
dc.title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시제와 상에 관한 인식 및 사용능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Learners' Recognition and Production Ability of Tense and Aspect in English-
dc.format.pagev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