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성인전기 남성의 배우자 애착과 직무 성과간의 관계

Title
성인전기 남성의 배우자 애착과 직무 성과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connection the attachment with spouse and job performance in the male adult
Authors
황은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connection couple s relationship and job performance. A theoretical fram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Bowlby s theory of attachment. The subjects were 375 married in enterprise, ranging in age from 23 to 40 years. To choose the appropriate measurement for the attachment with spouse, Forced-choice scale, single-item-7likerts scale and multi-item-7likerts scale were compared. in result, multi-item-7likerts scale was used for the attachment with spouse in this study.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ysis.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ere Cronbach 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multiple regression, cluster analysis, F-test and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avoident factor scores in the attachment with spouse were, The lower job quality scores were. The higher anxious/ambivalent factor scores in the attachment with spouse were, the lower job commitment and job quality scores were. Second, Also, According to scores on secure factor, avoident factor and anxious/ ambivalent factor, The attachment with spouse was classified. Three styles of the attachment with spouse were emerged. The group characterized by secure reported the higher scores on job commitment and job quality than the group characterized by avoident and the group characterized by anxious/ambivalent. These results show that couple s relationship provides the secure base for male adults job performance on Bowlby s view. In conclusion, above all, this study serves importance of balance between family and work and importance of family for balance between family and work in male adult life. ; 본 연구는 성인전기 남성의 발달에 있어서 직장에서의 발달적 과제와 가족에서의 발달적 과제를 별개의 것으로 이해하는 기존의 인식을 환기시키고, 동시에 가족과 직장간의 발달적 과제의 조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기의 주요한 발달적 과제인 부부관계와 직장에서의 성취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이 관계를 애착이론으로 설명하여 배우자와의 애착(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애착측정도구로 Hazan과 Shaver의 1992년도 다문항 7점형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측정도구의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삼지선다형 애착측정도구와 단문항 7점형 애착측정도구들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연구방법의 척도의 구성에 제시하였다.)과 직무성과(직무만족, 직무애착 및 헌신, 업무의 질)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의 대기업에 근무하는 23세에서 40세 까지의 기혼남성 즉. 성인전기에 해당하는 남성 총 375명이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 애착의 하위요인은 직무성과중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직무애착 및 헌신 그리고 업무의 질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론적 가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안정요인이 클수록 직무성과중 직무만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회피요인이 클수록 직무만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의 질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안정-양가요인이 클수록 직무만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애착 및 헌신 그리고 업무의 질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 애착집단은 직무성과중 직무만족을 제외하고 직무애착 및 헌신 그리고 업무의 질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론적 가정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안정형과 유사한 집단은 불안정-회피형과 유사한 집단 및 불안정-양가형과 유사한 집단과 직무만족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애착 및 헌신과 업무의 질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애착이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부부관계는 안전기반을 제공해 줌으로써 성인전기 남성로 하여금 직장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직장에서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를 통해 직장에서의 발달적 과제와 가족에서의 발달적 과제가 분리되서는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무엇보다도 성인전기 남성의 가족과 직장간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배우자 애착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