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교육과 미술교사의 역할

Title
고등학교 미술교육과 미술교사의 역할
Other Titles
(The) Role of Fine Art Education and Fine Art Teachers in High Schools : Focused on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Position
Authors
허경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교육미술교사일반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ine art education plays the role of promoting students' various individual expressions and values and developing persons with balanced personality through training creative sentiment and feeling based on student activities. Because of such a role, fine art education require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effective fine 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fine art teachers must understand students' expectations from fine art education and its teachers and perform the job according to perceived roles. In this viewpoin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educators' role perception and role performance by disclosing students' expectations from fine art education and its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of how the current state of fine art education in high schools is, what high school students expect from fine art education, what are the image and roles of desirable fine art teachers, and how different student's expectation i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tudents' backgroun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a survey. For the survey, the researcher prepar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field teachers' advices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sampled 600 subjects from nin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SAS 8.2 for statistical process, and conducted x^(2)test to determine students '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total score, fine art score and living standar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63.2% of the students replied that fine art education is necessary in high schools, while almost half of the students had interested in fine art and the other half did not. Such a perception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fine art scores. Second, the students expected that the areas of 'design' and 'appreciation' would be expanded in fine art education in high schools. Expectation for design was because they wanted to apply fine art to their everyday life, and that for appreciation was because they thought it would be helpful for leisure life. Third, the students assumed that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methods and the environment for fine art practice would bring about the development of fine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y believed that objectivity and fairness must be guaranteed and students' opinions must be reflected in performanc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with a low total score showed a difference by replying that classes utilizing multimedia must be improved most urgently. Fourth, large part of students regarded 'understanding and concerning over students' as an important quality of fine art teachers, and 'free and marked individuality' as a desirable character, while they disregarded teachers appearance and clothing. Fifth, students most preferred 'the image of teachers who leads classes interestingly', and valued 'teachers who give individual and thoughtful guidance.' Sixth, students believed that i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for the teacher to give demonstrations in practice classes. Expectation for teachers' demonstration appeared high in the group of a low living standard who could not have private lessons. Seventh, students replied that, in addition classes by fine art teachers, they had expectation for teachers' artistic activities, aesthetic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fine art expres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eachers' efficient performance of their roles. First, fine art education in high schools must cast off existing characteristics like one in middle schools, and be materialized and specializ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Second, fine art education in high schools must assess students' performance within a scope not to obstruct their schoolwork, and needs to re-establish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or objective and fair assessment. Third, fine art teachers must be aware that they are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educators as well as of artists. Fourth, being aware of high expectation for practical demonstration, fine art teachers must give group instruction by level or individual instruction. Fifth, fine art teachers must sense quickly their new roles in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inue self -development to be equipped with abilities to perform their roles.;미술교육은 학생의 다양하고 개성 있는 표현과 가치를 지향하며 학생활동이 중심이 된 창의적인 정서와 느낌의 교육, 즉 조화로운 인간을 형성케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수행을 위해 미술교육은 교사·학생간의 밀접한 관계를 요구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미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술교육자가 학생들의 미술교육과 미술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파악하여 역할지각에 따른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술교육과 미술교사의 역할을 학생의 입장에서 밝힘으로써 교육자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현황, 고등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학생의 기대, 바람직한 미술교사상과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가 무엇인지, 학생의 배경별 변인에 따라서는 어떤 기대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연구는 이론적 배경과 현직 교사의 조언, 예비조사의 검증을 기초로 작성하여 사용하였고, 설문 대상자로 서울·경기도 지역 9개 학교에서 600명을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통계 처리는 'SAS 8.2'를 활용하였고, 성별, 내신총점, 미술점수, 생활수준별 배경변인에 따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x^(2)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63.2%는 고등학교의 미술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에 흥미도에 대해서는 비슷한 비율로 양분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은 개인이 성취한 미술점수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디자인'과 '감상' 영역의 비중이 확대되길 기대하였다. 디자인에 대한 기대는 자신의 일상생활에 미술을 직접 적용하길 바라기 때문이며, 감상에 대한 기대는 여가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셋째, 학생들은 수행평가의 방법과 학교 미술작업 환경이 개선되면 미술교육이 발전되리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수행평가 방법 개선에 대해서 객관성과 공정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학생의 의견이 반영되길 기대하였다. 이 결과에서는 내신성적이 낮은 집단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방법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한 변인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생들은 미술교사의 자질로 '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중요시여겼으며, 미술교사의 성격 면에서는 '자유롭고 강한 개성', 미술교사의 외모와 복장에 대해서는 '관계없다'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은 '수업을 재미있게 이끄는 교사상'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개별적으로 자상하게 지도해주는 교사'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여섯째, 학생들은 실기수업 시간에 교사가 시범을 보이는 것은 제작 과정의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교사의 시범에 대한 기대는 사교육을 받기 어려운 생활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학생들은 미술교사의 수업 이외의 역할로 교사의 예술활동에 대한 기대, 학교환경의 미적 개선에 대한 기대, 미술표현을 통한 심리상담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역할수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미술교육은 기존의 중학교 미술교육과 같은 특성에서 벗어나 학생의 필요에 따라 구체화·전문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등학교 미술교육의 평가는 학생에게 학업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객관성과 공정성의 확보를 위해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재형성이 필요하다. 셋째, 미술교사는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예술가로서의 역할기대를 동시에 받고 있음을 지각해야 한다. 넷째, 미술교사는 실기시범에 대한 높은 기대를 지각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수준별 그룹지도 또는 개별적인 실기지도를 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미술교사는 새롭게 변화되는 역할에 대해 빠르게 지각하며, 수행을 위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꾸준히 자기계발을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